분류 전체보기
-
벼메뚜기 Oxya chinensis sinuosa동물 Animal/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Orthoptera 2024. 10. 10. 21:27
메뚜기의 교미. 도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방중술(房中術)에 접이불설(接而不泄)이라 했거늘...벼메뚜기 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 1951. 메뚜기과 남방매미충속. 몸길이 27~37mm. 8~10월에 나타난다. 무분별한 농약사용으로 귀한 몸이 되었으나 유기농을 하는 논이나 그 주변의 논두렁에서 가끔은 볼 수 있다. 유충의 앞가슴등판에는 흰 줄무늬가 있다. 몸빛은 잔날개벼메뚜기와 같다. 보문산.삼국사기에 대규모 메뚜기 출현으로 인한 30여회 이상의 피해 기록이 있다 하고, 동서고금 메뚜기 피해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 다만 벼메뚜기가 아닌 풀무치로 해석이 된다. 산골짝 논두렁에서 잡아 볶아먹던 낭만의 메뚜기가 아니다. 아프리카에 등장했던 500km에 달하는..
-
털군자란 Haemanthus albiflos초목류 wild flower/수선화과 Amarylidaceae 2024. 10. 10. 20:38
털군자란[Haemanthus albiflos], 밍크붓꽃, Fireball Lily, 호이란(虎耳蘭), elephant's tonggue, powder puff, royal paint brush, shaving brush plant, white lily, 수선화과 털군자란속의 다년초. 열대 아프리카 원산. 신초의 잎과 꽃잎에 하얀 털이 밀생한다. 수술이 많다. 흰색 자주색 황색 주황색 꽃이 핀다. 사정공원.
-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24. 10. 6. 22:55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꽃의 모양이 수탉의 볏과 비슷하여 한자로 계관화(鷄冠花)라고 하는 맨드라미와는 형태가 전혀 다르다. 봉두난발(蓬頭亂髮) 단발 머리가 바람에 날리는 모양이 중국산인지 일본산인지 우리가 만들어낸건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한밭수목원. 맨드라미 / 나영채 아침빛에 감긴 꽃밭그 밭머리에 쪼그리고 앉았다색깔놀이 중인 꽃들늦여름, 꽃숭어리 갈피마다 씨앗이 그득하다빛과 바람이 머물다간 자리마다 꼭꼭 박힌 씨앗이젠 발등으로 떨군다 해거름에 배송된 씨앗무더기타오르던 태양과 날아든 벌 나비 품고땅위에 몸을 눕힌다어둠의 땅그 속에서 까맣게 타버린 마음이 발아될 때까지씨앗은 숨을 참는다 푸드덕 여름새가 날자 온몸을 곧추세운 맨드라미한 움큼 씨앗을 흩뿌리고 있다암..
-
가시여뀌 Persicaria dissitiflora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24. 10. 6. 21:45
가시여뀌 참 오랜만이다. 십 년도 넘은 강원도 어디서 만났던 기억이다. 가시여뀌, 좁쌀역귀라고도 한다, 북한명 벌여뀌. 학명 Persicaria dissitiflora. 마디풀과의 일년초.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줄기는 높이 50~100cm이며 적색의 선모가 밀생한다. 계룡산 갑사. 가시여뀌 사랑법 / 강경보(1965- ) 솜털같이 촘촘한 가시들이 사실은 꽃이었다네꽃같이 붉은 횃불머리가 사실은 열매였다네숲 해설사 선생님 이 대목에서 갑자기 톤이 높아지네저, 생의 오묘함을 설명하려는 해설사의 기묘한 자세바꿈꿀벌이나 나비가 찾지 못할 아주 작은 가시꽃을 달고한숨 푹푹 내쉬었을 가시여뀌 상상을 해보라 하네좁쌀만한 횃불머리 열매에 공갈 꽃화장을 하고촌 먼지 길 나서는 발 없는 여인을 보라 하네온 힘..
-
먼로 Echeveria 'Laurinze'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24. 10. 6. 21:12
먼로 Echeveria 'Laurinze'. Marilyn Monroe 에서 이름을 따왔을까? 햇빛을 받아 좀더 영롱하고 분홍스런 빛을 낸다면 그럴 수 있겠다고 짐작해 본다. Echevreia Monroe라고도 한다. 지름 10cm, 뽀얀 분을 덮고 있는 옥빛의 몸색이 우아하고 아름답다. 라우린제 Echeveria 'Laulindsayna' 보다 붉은 빛이 적고 더위에 약하다. 한국산 잡종인 에케베리아 먼로는 에케베리아 라우이와 에케베리아 콜로라타의 교배종이라고 한다 . 봄, 가을, 초겨울에 색이 가장 아름답지만 흰 솜털 같은 잔여물이나 작은 흰색 벌레가 보인다면 밀웜 감염일 수 있다. 한밭수목원.
-
황금세덤 Sedum japonic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24. 10. 6. 21:09
황금세덤 Sedum japonicum. 황금기린초. 영명 gold sedum. 길이 20cm. 돌나물과. 세덤에는 멕시카넘 Sedum mexicanum, 비단세덤(화남산) Delosperma cooperi, 아크레 Sedum acre, 색상귤레 Sedum sexangulare, 바위채송화 Sedum polystichoides, 무늬돌나물 sedum lineare f., 노랑세덤(상록애기기린초), 파랑세덤 Sedum repestre, 분홍세덤 Sedum sprium 등이 있다. 한밭수목원.
-
네오레겔리아 12종 Neoregelia초목류 wild flower/파인애플과 Bromeliaceae 2024. 10. 6. 21:06
네오레겔리아 로이스 스페셜 Neoregelia 'Roy's Special' 네오레겔리아 스타워즈 Neoregelia star wars. 네오레겔리아는 일반적으로 파인애플과의 브로멜리아드 (Bromeliad)라 불린다. 네오레겔리아 캐스 파자마 neoregelia cat's pajamas. 네오레겔레아 루시퍼 Neoregelia 'Lucifer'는 무늬가 굵고 전체적으로 검붉다. 네오레겔리아 릴라 Neoregelia Lila 네오레겔리아 조한니스 Neoregelia johannis. 브리에세아 타이거팀 Vriesea 'Tiger Tim’ 파인애플과. 얼룩 무늬 녹색 잎 사이에서 길게 돋아난 새빨간 화포가 아름다운 중형종이다. 특징 짙은 녹색에 광택이 있는 잎은 길이가 25~30cm, 폭은 3~4c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