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향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24. 10. 12. 22:36
향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 Eupatorium japonicum, 국화과의 다년초, 중국 원산, 등꽃 향이 난다고,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사람의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므로 향등골나물 이름이 붙었다. 높이 70cm. 영명 Boneset는 뼈를 붙인다(接骨)는 뜻이다. 서사(暑邪, 열사병)를 물리친다는 뜻의 패란(佩蘭)이란 이름도 있다. 세종수목원.
-
홉스키올디아 상귀네아 Holmskioldia sanguinea초목류 wild flower/마편초과 Verbenaceae 2024. 10. 11. 22:25
예술가의 모자를 연상시키는 희안하게 생긴 꽃도 다 있다. 청 황제가 쓰던 만다린 모자 같기도 하다. 게다가 핏빛이다. 홉스키올디아 상귀네아 Holmskioldia sanguinea, 파라솔꽃, 동홍화(冬紅花), 영명 Chinese hat plant(중국모자), mandarin's hat(만다린모자). cup-and-saucer plant(컵과 접시), 꿀풀과 혹은 마편초과, 히말라야 인도 네팔 벵글라데시 원산이며 동남아에서 재배하고 있다. Holmskioldia는 덴마크 식물학자 요한 테오도르 홀름스키올드(Johan Theodor Holmskiold, 1731-1793)의 이름과 붉은 혈액을 의미하는 sanguinea이 합성어다. 세종수목원.
-
사만자귀나무 Samanea saman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24. 10. 11. 22:12
사만자귀나무 Samanea saman (Jacq.) Merr. Rain Tree. Albizia saman, Calliandra saman, Enterolobium saman. 원숭이 꼬투리, 우수(雨树), 중남미 사바나 원산. 콩과의 교목. 키 30m. 꽃은 흰색 분홍색으로 핀다. 흐린 날과 초처녁에 잎이 접히기 때문에 말레이어로 5시를 뜻하는 Pukul Lima라고도 부른다. 세종수목원.우리나라에서 자귀나무는 밤에 잎을 오무리고 자는 모습이 잠 자는 귀신 같다 하여 자귀라 했다. 혹은 남녀가 화합하는 상징적 의미로 야합수(夜合樹), 合歓木, 合婚樹. 유정수 같은 한자어가 생겼다. 향명에 소가 잘 먹는다고 소찰밥나무. 소풀이 있다. 영어명은 mimosa tree. Silk Tree. 날이 어..
-
붕어꼬리야자 Caryota urens초목류 wild flower/야자나무과,종려과 Palmae 2024. 10. 11. 21:51
잎이 붕어꼬리처럼 생겼나요? 팻말에는 붕어꼬리야자 Caryota urens 라 써 있는데, 붕어꼬리 검색하면 Chamaedorea tenella로 나온다. 팻말에 쓰인 Caryota urens L.를 검색하면 공작야자(孔雀椰子, Caryota mitis)라고 나온다. 뭐가 뭔지 어지럽다. C. erumpens는 대나무야자, C. seifrizii는 세이프리지야자, C. elegans는 테이블야자다. 세종수목원. 옆에 큰붕어꼬리야자를 보니 잎이 크긴 크다. 공작야자와 비슷해 보여서 어지럽긴 마찬가지다. 큰붕어꼬리야자 Caryota maxima Blume.
-
구봉산 운해풍경 landscape 2024. 10. 11. 21:44
대전 구봉산의 운해와 일출, 구름이 좀 탁하고 산만한 듯하지만 땀 흘린 상쾌함과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노루벌의 누런 황금들판이 남아 있건만 기대만큼 밝은 색을 낼 수가 없어 아쉽다. 주왕산 운해 /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1538~1593) 共憑西嶺望仙鄕 (공빙서령망선향) 서산 마루에 함께 올라 신선 고을 바라보니雲外千峯吐劍鋩 (운외천봉토검멍) 일천 봉우리 구름 위로 삐죽삐죽 드러나네願借惠連詩筆健 (원차혜련시필건) 바라는 건, 혜련의 훌륭한 시작 솜씨 빌려片時收拾入奚囊 (편시수습입해낭) 잠시 시주머니에 거두어 넣는 것이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