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애기범부채 Montbretia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08. 7. 16. 12:14
애기범부채 Montbretia. 백합목 >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Tritonia crocosmaeflora. 높이는 50~100cm이며, 잎은 좌우로 편평하다. 유럽에 주로 분포한다. 7~8월에 피는 꽃은 긴 타원형으로 심홍색, 진홍색, 오렌지, 황금색, 주홍색, 황금색, 주홍색을 띠며, 아래쪽에는 진한 반점이 있다. Crocosmia aurea의 교배종으로 Victor Lemoine이 1880년에 처음 만들었으며, 많은 개량 품종이 있다. 범부채꽃은 꽃잎이 하늘을 향해 위로 피어있는 반면 애기범부채는 꽃잎이 살짝 아래로 쳐져 있다. 뿌리줄기는 '사간(射干)'이라고 하여 약재로 쓰는데 범부채와 효능이 같다. 애기범부채 http://ktk84378837.tistory.com/2918 http://k..
-
모감주(無患子)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초목류 wild flower/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2008. 7. 16. 12:09
무환자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 열매로 염주를 만들었기에 염주나무라고도 한다. 《훈몽자회》에서는 "木+患"을 무환자나무가 아닌 "모관쥬 환"이라 하면서 속칭 무환목이라 한다(俗呼無患木) 하였고, 《동의보감》에서는 무환자피(無患子皮)를 "모관쥬나못겁질"이라 하였으며, 《酉陽雜俎》에서는 “무환자나무를 일명 "桓"이라 한다 (無患木一名桓)”고 되어 있다. 이로 볼 때 "모감주/모관쥬"라는 말의 어원은 "無患子(무환자/muhuanzi)"라는 한자음에서 유래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안면도와 발산리와 완도 대문리의 모감주나무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조선 태종 6년에는 명나라 사신이 금강자(金剛子) 3관을 예물로 바쳤다는 하니 귀한 식물임에 틀림없다. 열매 삶은 물은 세탁용으로 쓰며, 민간에서는 귀신..
-
흑삼릉[黑三稜] Sparganium erectum초목류 wild flower/흑삼릉과 Sparganiaceae 2008. 7. 14. 12:06
흑삼릉과의 여러해살이풀인데 연못가나 도랑에 서식한다. 위는 수꽃이며 암꽃은 자색으로 수꽃보다 좀 작다. 근경을 흑삼릉이라 하니 黑검은 三稜 여러개의 모서리를 가진 모양일 게다.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능선이 있다. 뿌리줄기를 소종·통경제·최유제로 사용한다. 토욜, 아침부터 구름이 껴서 여름과 햇빛을 싫어하는 아내를 살살 꼬드겼다. 간만에 연꽃마을에나 가 봅시다. 가서 당신은 거기 벤치에 앉아 스님과 얘기나누고 백련차라도 팔아주는 사이에 나는 사진 찍으면 되잖소. 흔쾌히 대답하기에 얼싸 좋다 하고는 엊그제 선골 가서 사온 찰토마토 스님 갖다줄 요량으로 몇 개 넣어가지고 갔다. 스님보다는 거기 일하는 아이디를 머슴으로 부르는 젊은사내에게 주고 싶어서였다. 먼저 왔다가 가려고 짐 싸는 에비님을 거..
-
논뚝외풀 Small-flower false pimpernel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7. 14. 12:05
논뚝외풀 Small-flower false pimpernel. falsepimpernel. 고추풀, 거치엽모초, 학명 Vandellia angustifolia Benth. Lindernia micrantha D.Don 현삼목 현삼과의 밭둑외풀속의 한해살이풀. 외풀은 밭이나 들에서 높이 높이 8-20cm,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줄기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자루는 꽃받침길이의 3-4배이다. 열매는 삭과, 선형이다. 외풀은 달걀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고 잎의 결각이 뚜렷하다. 밭둑외풀의 잎에는 결각이 없다.논둑외풀은 잎에 결각이 약하게 있다. 옻이 오르면 참밥나무 껍질을 벗기고 잔대줄기를 캐고 외풀 뿌리를 삶아서 씻으..
-
워터칸나 water canna초목류 wild flower/마란타과 Marantaceae 2008. 7. 14. 12:04
워터칸나 water canna. 학명 Thalia dealbata, 한자명 수죽우(水竹芋), 영명은 탈리아(Thalia). 앨리게이터 플래그(powdery alligator-flag), 하디워터칸나(hardy water canna), 파우더리 탈리아(powdery thalia), 북미 원산의 마란타과의 수생식물. 식물 높이 1.8m 정도이며, 경엽 위로 올라온 꽃줄기 끝에 길이 20cm 정도의 원추화서에 작은 보라색 꽃이 핀다. 잎은 길이는 40~60㎝, 폭은 15~25㎝이고, 청록색의 난형 피침형이며 흰색 가루가 덮여 있어서 물에 젖지 않는다. 공원 연못에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칸나 http://ktk84378837.tistory.com/3924 http://ktk84378837.tistory.com/..
-
질경이택사(澤瀉) Alisma orientale초목류 wild flower/택사과 Alismataceae 물양귀비과 2008. 7. 14. 12:03
질경이택사 oriental-waterplantain. 학명 Alisma orientale . 택사과 택사속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높이 60~90cm. 근경은 짧으며 수염뿌리가 돋는다. 질경이를 닮은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길이 30cm 내외의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없다. 5-7맥이 있으며 잎 사이에서 화경이 나오고 가지가 돌려나며 그 끝에 꽃잎이 3개인 흰색의 꽃이 7~8월에 핀다. 수과는 둥글게 돌려 달리고 편평하며 도란형이다. 택사와 달리 잎은 타원형이며 밑은 급히 좁아진다. 수과는 뒷면에 깊은 골이 2개 있다. 덩이줄기는 澤瀉(택사)라 하며 祛濕熱(거습열), 이뇨 및 止渴(지갈)의 효능이 있다. 벗풀 http://ktk84378837.tistory.com/3906 보풀..
-
능소화 trumpet creeper초목류 wild flower/능소화과 Bignoniaceae 2008. 7. 14. 12:01
능소화 凌霄花. Chinese trumpet creeper. 양반꽃, 구중궁궐의꽃이라는 이명이 있다. 기생꽃으로 부르는 이도 있으나 기생꽃은 따로 있으니 부르지 않는게 좋겠다. 전설에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에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 번도 찾아오지를 않았다. 다른 여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 까지 기거 하게 된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 오기만을 기다렸다. [연합뉴스 2006-09-20 14:37] (서울=연합뉴스) 김정선 기자 = 1998년 경북 안동의 무덤에서 발견된 400여 년 전 '원이 엄마의 편지'를 소재로 한 소설 ..
-
수련(睡璉) 3종세트 water-lily초목류 wild flower/수련과 Nymphaeaceae 2008. 7. 14. 11:59
수련에 대해서 어떤 이들은 水蓮이 아니라 睡璉이라고 아는 체를 한다.나도 첨엔 그렇게 아는 체를 하였다.곰곰 생각해 보니 水蓮이면 어떻고 睡璉이면 어떨까 싶어 이젠 아는 체를 않는다.물에서 자라고 물에서 죽으니 水蓮으로 말할 수도 있겠고, 오전에 피었다가 오후에닫으니(잠을 자니) 睡璉이라 말했다면 그도 옳으니 따질 이유가 있을까.그렇다고 이미 언약된 睡璉을 굳이 水蓮으로 쓰는 고집도 부릴 필요가 없겠다.똑같은 꽃인데 색깔만 달라도 다른 이름을 붙이고, 점 하나만 찍혀도 다른 종을 발견한 양 떠들어대는 폼새가 너무 가볍다.사람들은 제 생각만 옳고 남의 생각은 그른 것처럼 인정하지 않는데 이는 그릇된 편견이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열대야 현상에 사람들이 종종 미치고 싶은가 보다.자정이 넘어 어쩔 수 없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