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뿔목이 Auricularia cornea초목류 wild flower/버섯 mushroom 2023. 9. 26. 15:14
죽은 소태나무 둥치에 목이버섯이 한창 피어난다. 털목이라고 불리던 뿔목이다. 꼬들꼬들하니 식감이 좋은 버섯이다. 뿔목이 Auricularia cornea, 목이과 목이속, 자실체는 아교질로 신선할 때는 자실체 전체가 투명하다. 1.2mm로 술잔 또는 귀 모양, 아래 표면에 가는 맥상의 주름이 있다. 자루는 없거나 아주 짧다. 색깔은 신선한 황갈색 또는 갈색, 때로는 황색, 갈색, 암녹색, 갈색 등 다양하다. 표면에 길이 220μm 털이 있고 자실층은 광택이 나고 밋밋하다. 식장산.
-
물봉선 Impatiens textori초목류 wild flower/봉선화과 Balsaminaceae 2023. 9. 26. 15:03
물봉선 touch-me-not. Field touch-me-not, 가봉선화(假鳳仙花), 학명 Impatiens textori Miq. 봉선화과. 높이 50~100cm. 8~9월에 개화하는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홍자색이다. 열매는 길이 1~2cm 정도의 피침형이다. ‘노랑물봉선’에 비해 전체가 억세고 줄기는 홍색을 띠며 꽃은 홍자색이다. ‘봉선화’와 달리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전초를 야봉선(野鳳仙)이라 하며 淸凉(청량), 해독, 祛腐(거부)의 효능이 있다. 惡瘡潰瘍(악창궤양)을 치료한다. 식장산. 물봉선 3 / 김종태 어차피 다 가지지 못할 줄 뻔히 알면서 커다란 입 쩌억 벌리고 그래 나를 통째로 삼켜라 나에게 어차피 모 아니면 도뿐이다 네 속 구중궁궐보다 더 깊은 속내는 여자라는 어린애 같은 이유 ..
-
가시박 burcucumber초목류 wild flower/박과 Cucurbitaceae 2023. 9. 13. 19:44
가시박 burcucumber, 소편과(小扁瓜), 안동대목, 북한명 안동오이, 학명 Sicyos angulatus L. 북미 원산. 제비꽃목 박과 가시박속의 덩굴성 일년초. 덩굴줄기는 4~8m 정도로 각이 지고 연모가 밀생한다. 3~4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며 기어오른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3~12cm 정도이고 잎몸은 지름 7~14cm 정도의 원형이며 5~7개로 천열 된다. 꽃은 자웅동주로 수꽃은 황백색이며 암꽃은 담녹색이다. 뭉쳐 달리는 열매는 장타원형으로 가느다란 가시로 덮여 있다. ‘돌외’와 달리 잎이 단엽이며 가시 같은 털이 있다. 돼지풀은 물론 환삼덩굴과 함께 도로변이나 황무지에서 다른 식물을 덮어 생태계를 교란하는 잡초이다. 살충, 청열에 도움을 준다. 옥천.
-
스피아민트 spearmint초목류 wild flower/골풀과 Labiatae 2023. 9. 13. 19:32
스피아민트 spearmint 학명 Mentha species. 유라시아, 아프리카, 지중해 원산. 꿀풀과의 숙근성 다년초 허브식물. 높이60cm.줄기는 네모진다. 양끝은 좁고 마주보며 잎가는 거치가 있고 엽병(葉柄)이 있다. 꽃은 7~9월에 연보라색으로 윗부분과 가지의 엽액(葉腋)에 모여 달리며 층을 이룬다. 열매는 분과(分果)로 타원형이다. 속명의 Mentha는 박하(mint)의 뜻이지만 그리스 신화의 여신 Menthe에서 유래했다. Menthe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님프(Nymphs). 저승의 지배자 하데스의 사랑을 받았으나, 하데스(Hades)의 아내 페르세포네(Persephone)가 그녀를 질투하여 꽃으로 변하게 하였다고도 하고, 페르세포네가 밟아 죽이려는 순간 박하로 변하였다고도 한다. 이로 인..
-
유홍초 留紅草 Quamoclit초목류 wild flower/메꽃과 Convolvulaceae 2023. 9. 13. 17:40
새깃유홍초 留紅草 cypress vine, 누홍초(縷紅草), 금풍모(金風毛), 면병봉(綿屛封), 취령초(翠翎草), 학명 Quamoclit pennata. 잎은 어긋나며 잎몸이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7~8월에 깔때기 모양의 붉은색 또는 흰색 꽃이 피고 10월에 달걀꼴의 삭과가 달린다. 둥근잎유홍초와 구별하기 위해 새깃유홍초라고도 부른다. 생약명은 유홍자(留紅子) 이며 변비, 복통, 사하, 소종양, 위통, 이뇨, 학질에 사용한다. 둥근잎유홍초와 새깃유홍초, 분홍색꽃과 주황색꽃이 어우러져 있다. 둥근잎유홍초 star-ipomoea, small-red-morning-glory, 능조라. 누홍초(縷紅草), 금병봉(錦屛封). 취령초(翠翎草), 학명 Quamoclit coccinea Moench 가지목 메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