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투구꽃 Aconitum jaluense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23. 9. 30. 22:02
투구꽃 Aconitum jaluense, 바꽃,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 초오(草烏), 오두(烏頭)라 부르는 뿌리는 독성이 강하고 새발처럼 생겼다.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에 달리며 작은꽃줄기에 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털이 나며 뒤쪽의 꽃잎이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는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어지며 씨방은 3∼4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가 붙어 있고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부자(附子)는 초오 ..
-
새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23. 9. 30. 21:58
새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의 반기생(半寄生) 한해살이풀. 높이 50cm.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포가 달걀모양인 것이 다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예리하게 뽀족해지며 기부가 둥글거나 수평이고 양면 맥 위와 가장자리 및 엽병에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달걀모양이며 적자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해야 한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해야 한다. 원종인 애기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의 반기생(半寄生) 한해살이풀. 높이 60cm 산..
-
산앵도 Vaccinium koreanum초목류 wild flower/진달래과 Ericaceae 2023. 9. 30. 21:36
산앵도 Vaccinium koreanum. 한방에 욱리(郁李), 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월에 연붉은색 또는 붉은색의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8~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씨는 약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산기슭 숲속에 난다. 열매는 둥글게 생겼지만 남아 있는 꽃받침 때문에 절구처럼 보인다. 산이스랏, 까치밥 열매를 동의어로 쓰기도 하나 산이스라지는 장미과이며 까치밥은 범의귀과이므로 전혀 다르다. 정암사.
-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초목류 wild flower/노박덩굴과 Celastraceae 2023. 9. 27. 23:16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 사위모(絲衛矛) 노박덩굴과의 낙엽관목. 높이 2m. 가지는 녹색이며 사마귀 같은 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짧은 잎자루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적갈색이며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이삭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지만 주맥에 달린 것처럼 보인다. 꽃의 부분은 4수성이고 단추처럼 곱고 예쁘게 생겼다. 열매는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4개의 능선이 있다. 씨는 검은색이다. 관상용으로 이용하며 나무껍질에 발달한 섬유가 있다. 회목이 무슨 말이지? 목이 긴 신발 혜(鞋)를 만드는 혜목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글쎄다.. 태백 정암사.
-
참회나무 Euonymus oxyphyllus초목류 wild flower/노박덩굴과 Celastraceae 2023. 9. 27. 22:59
참회나무 열매 Euonymus oxyphyllus 노박덩굴과의 소교목. 높이는 5-6m.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또는 거꿀달걀형이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안으로 굽은 톱니의 끝이 뾰족하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삭과로 5개의 능선이 약간 나타나고 붉은색이며,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어린잎을 식용하고 생약명은 수사위모(垂絲衛矛)이며 초기의 이질, 骨折損傷(골절손상), 關節酸痛(관절산통), 陰囊濕痒(음낭습양)을 치료한다. 태백 정암사.회나무라는 이름은 무슨 말일까. 이른 봄에 나물로 식용하는 잎의 모양이 생선을 포뜬 회(膾)를 닮았고 그와 비슷한 맛(?)이 나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물명고>는 '회닙'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닙>잎은 회잎나무이므로 회나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