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만첩백도 萬疊白桃 Prunus persi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5. 14. 12:55
만첩백도 萬疊白桃 Prunus persica f. alboplena,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6m.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잔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백색꽃이 만첩으로 피며 1-2개씩 달리고 꽃자루가 짧다. 꽃잎은 긴타원상 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이며 수술은 많고 씨방은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 5cm이상이며 8-9월에 등황색으로 성숙한다. 핵은 과육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는다. 유사종인 옥매는 백도와 달리 꽃자루가 길다. 한밭수목원. 개복숭아 http://ktk84378837.tistory.com/2371 http://ktk84378837.tistory.com/5593 복숭아나무 http://ktk84378837.ti..
-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5. 8. 22:18
가침박달 Common Pearlbush. 유앵(柳櫻), 장미과 가침박달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 높이 1 ~ 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3 ~ 8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도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날개가 달리고 7월 ~ 8월 중순에 익는다. 이름은 박달이지만 자작나무과가 아닌 장미과이다. 털가침박달은 잎의 뒷면에 털이 많은데 함경도에서 자란다. 가침은 실로 감아 꿰낸다는 뜻인데 5칸으로 나뉘어진 씨방의 모습이 그렇다는 뜻이고, 수질이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물론 집안도 달라서 가침박달은 장미과이며 박달나무는 자작나무과다. 가침박달 http://ktk8437..
-
꽃뱀무 Scarlet Aven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5. 3. 14:12
꽃뱀무 Scarlet Avens, Chileans avens. Grecian rose. 뱀무쿠키, 붉은뱀무, 코키네움 뱀무, 학명 Geum coccineum Sibth. & Sm , 겹꽃의 학명은 Geum chiloense, 터키 발칸반도 원산.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뱀무를 개량하여 만든 원예종이다. 꽃잎은 5~6장. 주황색 이외에 노란색도 있다. 진잠. 가락지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758 http://ktk84378837.tistory.com/1438 http://ktk84378837.tistory.com/2141 물안개 http://ktk84378837.tistory.com/4172 개구리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113 ht..
-
꽃사과 Malus pru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4. 12. 21:37
꽃사과나무 Crab Apple, 학명 Malus prunifolia, 중국 원산. 진분홍색의 꽃이 대부분이지만 원예품종은 하얀 꽃이 피기도 한다. 나무 전체를 뒤덮어 버릴 만큼 많은 꽃이 잎과 함께 핀다. 키 5~6미터에 지름은 한 뼘 정도로 굵지 않다.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의 앞뒷면으로 털이 나 있어서 희끗희끗하게 보인다. 열매와 마찬가지로 잎이나 껍질모양도 사과나무를 많이 닮았다. 열매는 떫고 별다른 맛이 없으나 과일주를 담그기도 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http://ktk84378837.tistory.com/6093 청실배나무 http://ktk843..
-
자두나무 Prunus Salici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4. 9. 21:43
보문산 오얏꽃. 오얏은 자두의 고어. 자두나무 plum tree, 자도(紫桃)나무, 오얏(李)나무, 학명 Prunus Salicina. 중국 원산. 장미과의 낙엽교목. 높이 10 m.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 또는 타원형 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흰색이며 보통 3개씩 달린다. 열매는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구형으로서 자연생은 지름 2.2cm이지만 재배종은 길이가 7cm에 달한다. 7월에 노란색 또는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연한 노란색이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자두나무는 1920년대 들어온 개량종 서양자두(학명 Prunus domestica)이며, 재래종 오얏나무는 차장보기 어렵다. 열매인 李子(이자)는 虛勞骨蒸(허로골..
-
만첩풀또기 Prunus trilob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4. 8. 21:29
우리나라 함경도 원산의 갈잎떨기나무라니 방언 연구를 하다보면 풀또기란 말의 어원을 알 수 있지 않을까? 만첩풀또기 Prunus trilobal.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거꿀달걀모양이며 잎맥을 따라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복엽으로 홍매처럼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으로 피고 수술은 30개 가량이고 씨방에 털이 있다.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8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를 郁李仁(욱리인)이라 하며 大腸氣滯(대장기체), 燥澁不通(조삽불통), 小便不利(소변불리), 大腹水腫(대복수종), 四肢浮腫(사지부종), 脚氣(각기) 등을 치료한다. 풀또기 / 김상련 빨간 가죽옷 입고 쭉 뻗은 가지가지마다 하늘 향해 손짓하는 풀또기. 오늘은 처음으로 봄..
-
홍매화 Prunus mume 오사카주카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3. 27. 17:50
梅花 Prunus mume,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가 기본형이고 7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성숙하기 전의 매실을 청매, 성숙하고 난 뒤의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다.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
-
인가목 人伽木 Rosa marretii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5. 3. 16. 16:57
인가목 rosa marretii. 산해당화.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 강원도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줄기에 가시가 밀생하고 잎은 어긋나기하며 3~5개의 작은 잎으로된 깃모양 겹잎이다. 꽃은 여름에 가지 끝에 연분홍으로 1~3개가 핀다. 열매 끝에 털이 있다. 한밭수목원. 해당화 http://ktk84378837.tistory.com/259 http://ktk84378837.tistory.com/1485 http://ktk84378837.tistory.com/2058 인가목 http://ktk84378837.tistory.com/4622 http://ktk84378837.tistory.com/122 http://ktk84378837.tistory.com/6055 ktk84378837.tistory.com/6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