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귀룽나무 Prunus pad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23. 22:15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 학명 Prunus padus. 깊은 산골짜기에 산는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키 1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갈색이며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며 털이 없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6~7월에 둥근 핵과가 버찌처럼 까맣게 달려 익는다. 구룡목(九龍木)이라는 한자 이름에서 온 구룡나무가 귀룽나무로 되었다. 구룡목, 구름나무 같은 이명도 있다. 미국 원산의 세로티나벚나무(미국귀룽나무)와 구분이 어렵다. 계곡에서 불어오는 봄바람에 흔들리는 꽃을 보면 얼핏 중국의 용춤이 생각난다. 우리나라 5대 약재목은 귀룽나무, 마가목, 오갈피나무, 꾸지뽕나무, 음나무라..
-
만첩홍도 Prunus persi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21. 16:16
만첩홍도 Prunus persica f. rubroplena.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6m.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둔한 잔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 2.5-3.3cm로서 적색 만첩꽃이 피며 1-2개씩 달리고 꽃자루가 짧다. 꽃받침조각은 달걀모양으로 털이 많고, 꽃잎은 긴타원상 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이며 수술은 많고 씨방은 털이 밀생한다. 눈에 잘 띄는 상징적인 고향의 꽃이다. 열매는 핵과로 지름 5cm의 원형이며 8-9월에 등황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종자는 도인(挑仁)이라 하며 어혈, 타박상, 변비를 치료한다. 서산 개심사에서. 개복숭아 http://ktk84378837.tistory.com/5593 http://ktk84378837.ti..
-
청벚나무 Prunus yedo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21. 16:12
왕벚나무 Japanese Cherry, Yoshino Cherry, 일본앵화(日本樱花), 학명 Prunus yedoensis.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상 달걀꼴이고 뒷면의 맥 위와 잎자루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이중 거치 발달했다. 꽃은 4월 초 ~ 중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백색 또는 홍색이고, 짧은 편평꽃차례에 3 ~ 6개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6 ~ 7월에 검은색으로 성숙한다. 왕벚으로 대표되는 일본이 아니었던가. 그러나 1939년에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가 제주도의 벚나무를 조사하다가 드디어 제주도 왕벚이 일본 왕벚의 부모임을 밝혀냈다. 그러함에도 지금까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음은 심히 유감스런 일이다. P.lan..
-
산벚나무 Sargent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18. 22:34
식장산. 대금산. 산벚나무 Sargent cherry, 山櫻, 학명 Prunus sargentii ,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20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톱니가 발달해 있다. 꽃은 4월 말 ~ 5월 중순 개화하고, 연홍색 간혹 백색으로 2~3개가 산형으로 달린다. 꽃잎은 둥글고 끝이 오므라지며, 향기가 없고, 암술대 및 씨방은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은 1cm이며 검은 보라색으로 6월 말 ~ 8월 말에 성숙한다. 섬벚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31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21 처진올벚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17 수양벚나무 http://ktk843..
-
개복숭아 Chinese wild peach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12. 17:47
식장산. 개복숭아 Chinese wild peach, 까틀복숭아, 장미과. 산간지역에 자생하는 야생 복숭아를 말한다. 작고 신맛이 강하다. 개복숭아는 유기산 및 알코올류, 팩틴 등 섬유소질이 풍부하다. 특히 개복숭아는 기침과 천식에 효과가 읶고, 몸속 노폐물과 니코틴 배출 등 금연에 도움이 된다. 진산. 개복숭아 https://ktk84378837.tistory.com/285 http://ktk84378837.tistory.com/5593 http://ktk84378837.tistory.com/7245 복숭아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99 만첩홍도 http://ktk84378837.tistory.com/5611 http://ktk84378837.tistory.com/..
-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9. 22:47
양지꽃 陽咫 Cinquefoil, 치자연(雉子筵), 만산홍(滿山紅), 학명은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 장미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 3~13개의 작은 잎들로 구성된 깃꼴겹잎이고 잎자루가 길고 톱니가 있다. 4~6월에 노란색의 5판화가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10송이 정도 달려 핀다. 꽃잎은 5개이고 거꿀달걀꼴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꽃턱에 털이 있다. 全草(전초)는 雉子筵(치자연), 根(근)은 雉子筵根(치자연근)이라 하며 구창, 보신·보익, 붕루(혈붕), 비뉵혈, 월경불순에 사용한다. 유사종으로 작은 잎이 3장이면 세잎양지꽃, 바위틈에서 자라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크면 돌양지꽃, 잎이 손바닥 모양이면 가락지나물, 잎이 ..
-
황매화 黃梅花 Japanese Kerr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9. 22:30
황매화(黃梅花), Japanese Kerria, 수중화, 출단화(黜壇花), 출장화(黜墻花), 지당화(地棠花), 학명 Kerria japonica. 장미과 황매화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1.5-2m. 잎과 함께 피는 꽃이 매화를 쏙 빼닮았고 색깔이 노랗다고 하여 황매화이다. 햇볕 들고 촉촉한 곳에 잘 산다. 원산은 중국이다. 소화불량이나 해수, 천식에 쓰며 이뇨효과가 있어서 부기를 빼는데 이용한다. 민간 처방에서 황매화꽃을 달여 하루 3번 먹으면 기침도 멎고 가래도 삭혀준다. 이와 비슷한 겹황매화가 있는데 죽단화라는 정명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죽단화라는 말은 사전에도 나오지 않고 죽도화, 죽매화, 출장화(黜牆花)같은 이명만 나온다. 황매화 & 겹황매화 http://ktk84378837.tistory.co..
-
줄딸기 Korean creeping rasp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6. 4. 6. 22:30
줄딸기 Rubus oldhamii. Korean creeping raspberry, 덩굴딸기, 만경현구자, 덤불딸기,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길이 2-3m,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꽃은 5월에 햇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연한 분홍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열매는 복과이며, 둥글고 7-8월에 붉게 익는다. 거제. 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45 거제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4462 곰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382 http://ktk84378837.tistory.com/2111 http://ktk843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