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
주홍조밥나물 Hieracium aurantiac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6. 14. 12:52
주홍조밥나물 Devil's Paintbrush. 초롱꽃목 국화과의 일년초. 유럽 원산. 학명 Hieracium aurantiacum. 주황색 알프스민들레. 잎과 줄기에 흰털이 있으므로 털민들레. 홍화민들레, 붉은꽃조밥나물. 홍화민들레 Polosella aurantiaca, 이명 Orange Hawkweed, fox-and-cubs, orange hawk bit, devil's paintbrush, grim-the-collier, 한국명 주홍조밥나물, 붉은꽃조밥나물, 안질방이다. 줄기의 높이가 60cm, 꽃은 6~8월에 피며, 오렌지색에서 붉은 색으로 열매는 7~9월에 맺한다. .민들레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817 강화도 서양민들레 & 흰민들레 http://ktk84..
-
쇠채아재비 Goat's bear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6. 4. 15:08
쇠채아재비 Goat's beard. yellow goatsbeard .초롱꽃목 국화과 쇠채아재비속의 일이년초. 유럽 원산. 학명 Tragopogon dubius Scop. 쇠채를 닮은 건 꽃봉오리 뿐만이 아니다. 홀씨의 모양을 봐도 쇠채를 닮았다. 높이 30-100㎝.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핀다. 모인꽃싸개조각은 8-13개이며 유사종인 쇠채는 5-7개이다. 뿌리를 식용한다. 쇠채아재비 http://ktk84378837.tistory.com/97 http://ktk84378837.tistory.com/4756 http://ktk84378837.tistory.com/4858 쇠채는 쇠를 쳐서 소리를 나게 하는 도구이다. 장구는 가죽으로 되어 있으니 장구채는 물론 아니다. 쇠로 된 것은 ..
-
인진쑥 Capillary wormwoo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6. 2. 09:06
인진쑥 茵蔯 Capillary wormwood 전라북도 진안군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국화과의 사철쑥. 더위지기, 애탕쑥, 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 높이 30cm ~ 1m 눈 내리는 한겨울의 추위에도 살아남아 사철쑥이라 불리며 일반적인 약쑥인 애엽(艾葉)과는 조금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 채취 시기는 음력 5월 단오 전후.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여름에 더위를 먹고 쓰러지거나 심한 구토와 현기증 등으로 고생할 때 짓이겨 즙을 내어 냉수에 타서 마시면 곧 증상이 없어진다 하여 일명 더위지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본초명은 호(角蒿), 인진(茵蔯), 인호(茵蒿), 파파호(婆婆蒿)이다. 쑥 http://ktk84378837.tistory.com/4797 물쑥 http://ktk8..
-
선씀바귀 Ixeris strigosa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5. 29. 14:53
선씀바귀 Short bristle-like haired ixeris. 학명 Ixeris strigose 국화과의 다년초. 고거(苦苣), 고채(苦菜), 사엽고채(絲葉苦菜), 산고매(山苦買), 활혈초(活血草). 강원고 정선에서는 쏙쌔, 높이 20~4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5~6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2.5cm 정도로 백색에 연한 자주색을 띤다. 수과는 길이 5.5~7mm 정도의 방추형으로 10개의 능선과 백색의 관모가 있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毒蛇咬傷(독사교상), 尿結石(요결석), 無名腫毒(무명종독), 陰囊濕疹(음낭습진), 肺炎(폐렴), 타박상, 骨折(골절)을 치료한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씀바귀 홀씨 http://kt..
-
솜방망이 ragwor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3. 5. 3. 20:40
솜방망이 ragwort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구설초(拘舌草), 산청채(山靑菜), 정미청(精米靑), 풀솜나물이라고도 한다. 학명 Tephroseris kirilowii 전체가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여 있어 솜방망이라고 부른다. 건조한 양지에서 높이 20∼65cm까지 자란다. 원줄기에 흰색 털이 빽빽이 나고 자줏빛이 돈다.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꽃 부분을 거담제로 사용한다. 높은산 습지에서 자라는 물솜방망이, 솜털이 없는 민솜방망이, 잎이 가는 가는솜방망이 등이 있다. 솜방망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307 http://ktk84378837.tistory.com/4598 http://ktk84378837.tistory.com/3192 물솜..
-
털머위 leopard-plan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2. 11. 19. 16:38
털머위 leopard-plant. 갯머위, 넓은잎말곰취. 북한명 말곰취. 학명 Farfugium japonicum (L.) 독각련(獨脚蓮), 연봉초(蓮蓬草), 염엽로(艶葉蕗), 후엽로(厚葉蕗). 국화과 털머위속의 상록성 다년초. 남부지방 산지에 분포한다. 높이가 30-50cm.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수과는 길이 5~7mm 정도의 흑갈색이고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와 잎을 식용하고 전초를 蓮蓬草(연봉초)라 하며 風熱感氣(풍열감기), 咽頭腫痛(인두종통), 癰腫(옹종), 정창, 나력, 타박상을 치료한다. 민간에서는 상처, 습진, 생선 해독제로 사용한다, 여수. 털머위 http://ktk84378837.tistory.com/4388 머위 http://ktk84..
-
만수국아재비 wild-marigol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2. 11. 19. 16:31
만수국아재비 wild-marigold 청하향초, 학명 Tagetes minuta L. 남미 원산으로 해안가 모래밭이나 길가 공터 등 아무곳에나 사는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발견자인 전의식은 만수국을 닮아 만수국아재비라 하였고, 이창복은 청하에서 만난 향이 좋은 풀이라 하여 청하향초라 하였으며, 이영로는 쓰레기풀이라 하였다. 쓰레기나물 같은 이명이 있으니 나물로 먹을 수는 있으나 맛이 없어서 버릴만한 풀이라는 뜻일까? 만수국 http://ktk84378837.tistory.com/981 http://ktk84378837.tistory.com/56 http://ktk84378837.tistory.com/3593 http://ktk84378837.tistory.com/2676 만수국아재비 http://ktk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