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전 비래사(飛來寺)와 옥류각(玉流閣)
    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7. 8. 11. 00:08

     

     

     

    비래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조선 효종2년인 1651년 무염스님이 제작하였는데 유형문화재 제30호이었다가 2014년 보물 제1829호로 승격되었다.

    비로자나불은 손 모양이 특이한 지권인(智券印)인데 금강계(金剛界) 대일여래(大日如來)가 만드는 인상(印相)이란다.

    오른손이 왼손 엄지를 감싼 모습인데 비래사의 지권인은 반대로 왼손이 오른손을 감싸고 있어 고창 선운사 비로자나불과 비슷하다.

    오른손은 불계를 왼손은 중생계를 나타내며 법으로써 중생을 구제한다는 의미라고 하나 손의 위치가 다르니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혼란스럽다.

    중화 3년(883)에 제작됐다는 묵서명이 발견된 해인사 목조비로자나좌불은 보물 제1778호이다.

    지난 목요일에 식장산 산행을 하던 중 소낙비로 불어난 계곡이 폭포수가 되었기에 담아볼까 하다가 물이끼에 미끄러져 사람도 카메라도 잠수를 하였다.

    전면 해체 수리 조립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언제 퇴원하려는지 미지수인지라 단종된 지 오래인 똑딱이 캐논 ixus85is를 들고 다시 찾았는데 색감도 화질도 고전이다.

        그나마 배터리 아웃되는 바람에 유형문화재 제7호인  옥류각(玉溜閣)을 담지 못한 것은 또다른 아쉬움이다.

     

     

     

    한줄금 소나기로 철철 흐르는 옥류 위에 걸터앉은 그 옥류각을 1주 뒤 등반에서 담아와 추가했다.

     

    이 옥류각(玉流閣)은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 의 오언율시 "층암비옥류(層岩飛玉流, 층층 바위에 날리는 옥같은 물방울)”에서 따왔으며,  동춘당을 기리기 위해 1693년(숙종 19)에 제월당 송규렴(霽月堂 宋奎濂)이 지었다. 옥류각은 팔작지붕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니 총 6칸 규모의 자그마하다.  하부 기둥은 굵은 원기둥이고, 마루 기둥은 가는 사각기둥이다. 기둥머리에는 우설(牛舌) 모양의 부재를 끼웠으며, 창방으로 도리를 받고 그 위에 서까래를 얹었다.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송애 김경여(松崖 金慶餘), 창주 김익희(滄州 金益熙) 등 당시의 석학(碩學)들과 함께 학문을 연마하던 곳이 비래암(飛來庵)이다. 玉溜閣 현판은 병자호란시 척화론자인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김수항(金壽恒)의 동생인 김수증(金壽增)의 팔분체(八分體) 글씨다. 바위에 큰 글씨로 超然物外(물질적인 것에 구속되지 않고 초연하다) 넉자를 새겼기에 자연을 훼손하는 낙서가 여기에도 있구나 해서 담아오지 않았더니 송준길의 글씨란다.

    석파정 https://ktk84378837.tistory.com/4956 옥류각 http://ktk84378837.tistory.com/8279 

    팔괘정 https://ktk84378837.tistory.com/9284 함벽정 http://ktk84378837.tistory.com/7148

     

     

    소류지 제방에 피어난 팔랑개비꽃.

     

    오며가며 만난 테두리방귀버섯.

     

    참나무에 나란히 나란히 빗물 먹은 갈색꽃구름버섯.

     

     

    玉溜閣 / 宋浚吉

     

       

    良友隨緣至 扶筇共上臺 (양우수연지 부공공상대)

    層巖飛玉溜 積雨洗蒼苔 (층암비옥류 적우세창태)

    語軟情如漆 吟高氣若雷  (어연정여칠 음고기약뢰)

    天行元有服 七日更朋來 (천행원유복 칠일갱붕래)

       

    좋은 벗 인연 따라 찾아왔기에

    지팡이 짚고 함께 대에 오르네

    층암에는 옥 같은 물 흘러내리고

    장맛비는 푸른 이끼 씻어 내렸네

    부드러운 담론 속에 정 더욱 깊어지고

    소리 높여 시 읊으니 기상 우뢰와 같네

    하늘의 운행에는 복이 있으니

    칠일에 다시 벗이 찾아오리라 

     

    동춘당집 권24, 시, 비래암시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