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박물관
-
중앙박물관 보물순례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3. 8. 25. 17:21
농경문청동기, 보물1823호. 1971년대전서 구입, 크기 12.8cm×7.3cm. 나경(裸耕)이 새겨져 있는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 裸耕은 벌거벗은 몸으로 경작하는 행위인데 하늘과 땅에 대한 주술적 소통으로 해석된다. 가는 줄무늬 띠와 격자무늬[格文] 띠로 좌우로 나눠진 표면에는 두 마리의 새가 나뭇가지에서 서로 마주보고 앉아 있다. 왼쪽에는 끈을 꼰 것 같은 둥근 고리가 한 개 붙어 있는데, 고리가 끼어 있는 반원형의 꼭지는 다뉴세문경(多鈕細文鏡)의 손잡이꼭지[鈕]와 똑같다. 뒷면도 좌우 두 부분으로 나누어졌는데, 왼쪽 부분에는 손을 내밀고 그 앞에 빗살문살무늬(빗살격자무늬)가 있는 항아리가 있다. 오른쪽에는 머리채가 긴 사람이 두 손으로 따비를 잡고 한 발로 힘있게 따비를 밟고 있으며, 따비 밑..
-
중앙박물관 국보 순례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3. 8. 25. 16:46
진흥왕순수비(眞興王 巡狩碑), 국보3호, 신라 진흥왕(540∼576)이 세운 순수척경비(巡狩拓境碑) 가운데 하나로,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한 뒤 왕이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원래는 북한산 비봉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비(碑)를 보존하기 위하여 경복궁에 옮겨 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포항 냉수리 신라비 국보264호,이 비는 1989년 마을주민이 밭갈이를 하던 중 발견하였으며, 재산분배를 확인하는 증명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형태는 네모난 자연석으로 밑부분이 넓고 위가 줄어드는 모습이며, 앞면과 뒷면, 그리고 윗면의 3면에 글자를 새겼다. 비문은 거의 닳지 않아 눈으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좋다. 글자는 총 231자이고 서체는 해서체로 보이나, 예..
-
미라[mirra]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08. 11. 7. 10:58
계룡자연사박물관. 영어로 mummy 라 하는 미라는 포루투칼어이며 시체 처리방식 중의 하나다. 사막지대에서는 습기가 없으므로 천연으로 출토되고, 그 외 지역에서는 보통 방부처리를 한 미라가 주류를 이룬다. 학봉장군 미라는 계룡산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남성 미라로 밝혀졌다. 학봉장군 미라를 보면서 나는 묘한 의문에 빠졌다. 오늘날까지도 금기시되고 있는 조상과 묘에 대한 불가침 의식이 살아있다고 본다면, 묘 자리에서 명당을 쓰겠다고 풍수지리를 진리처럼 여겼을 터이고 자손 잘 되기를 얼마나 기원하였는가. 600년이 지난 오늘에 와서 묘지가 파헤쳐지고 주검이 만천하의 구경거리로 소개된다면 이 묘는 잘 쓴 것인가 못 쓴 것인가. 게다가 그 소중한 이름까지 바꿔 버렸으니 저승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