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
-
파평윤씨 종학당(宗學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2. 6. 24. 12:01
종학당(宗學堂),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39-6 (노성면 병사리 95-1). 1625년 인평대군의 스승이었던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 1596~1668)가 자녀교육을 위해 세웠다. 그는 돈암서원에 배향된 기호학파의 거두 김장생(金長生)의 제자이기도 하다. 백록당 정수루 종학당 보인당을 합쳐 종학원이라 한다. 파평윤씨 문중의 교육기관으로 윤석열대통령 당선축하 현수막이 펄럭이고 있다. 파평은 오늘날 파주의 옛지명이다. 보인당 원래 노성면 두사리 물레고개에 본당과 동서재를 갖춰 학문을 연구하고 운영하던 건물을 이곳으로 옮겨왔다. 정수루, 병산서원의 만대루를 보는 느낌이 살짝 왔다. 앞건물이 정수루, 뒷건물이 백록당이다. 오가백록(吾家白鹿, 주자가 살던 지명으로 윤씨문중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백록처럼 고결하게..
-
꼬마백금거미 Leucauge subblanda동물 Animal/거미류 arachnid 2021. 7. 23. 17:57
꼬마백끔거미 Leucauge subblanda. 갈거밋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암컷이 9~11mm, 수컷이 6~8mm이다. 두흉부는 엷은 갈색, 배는 은빛 흰색이며, 몸의 밑면에는 검은 갈색에 넓은 줄무늬가 있고 거미줄돌기 앞쪽과 뒤쪽에는 누런색 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갑천. 꼬마백금거미 https://ktk84378837.tistory.com/9725 咏蛛網 (영주망) 거미줄을 읊다 / 윤증(尹拯, 1629-1714) 蜘蛛結網罟 (지주결망고) 거미가 거미줄을 치고 있는데 橫截下與上 (횡절하여상) 가로지른 다음에는 아래 위로 하네. 爲我語蜻蜓 (위아어청정) 내가 잠자리를 위해 말을 하니 愼勿簷前向 (신물첨전향) 조심하여 처마 앞으로는 가지 말아라. -명재유고에 유시작(幼時作)이라 기..
-
논산 백일헌 종택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9. 11. 18. 11:42
백일헌(白日軒) 이삼장군(李森將軍)의 고택이다.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7호. 신원사 탐방 전후로 볼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있다. 인근 노성면의 명재(明齋) 윤증(尹拯)의 제자인 이삼 장군은 1705년(숙종 31) 무과에 급제, 정주목사를 거쳐 평안도, 함경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이후에도 포도대장, 어영대장, 한성판윤, 공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내고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 이 가옥은 1727년 훈련대장이 되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하사받은 것이다. 후손이 살고 있어 안채 출입은 양해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왠만하면 밖에서 어물거리다 나온다. 안내판을 보면 ㄷ자형의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가 천체적으로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중앙에 3칸통칸의 대청이 있고 좌측에는 안..
-
장수갈거미 Tetragnatha praedonia동물 Animal/거미류 arachnid 2019. 9. 4. 17:07
장수갈거미 Tetragnatha praedonia L. Koch, 1878 갈거미과. 몸길이는 암컷이 13.0~15.0mm, 수컷이 10.0~12.0mm 배갑은 적갈색으로 머리 뒤쪽과 가장자리 등의 색이 진하다. 다리는 적갈색으로 크고 길며 가시털이 많다. 배는 긴 원통 모양이고, 등면은 황갈색 바탕에 은빛 비늘무늬가 덮여 있으며, 세로로 길게 뻗은 1쌍의 흑갈색 물결무늬는 가운데 부분이 밝다. 보문산. 갈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553 http://ktk84378837.tistory.com/5282 풀갈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2226 논갈거미 https://ktk84378837.tistory.com/8884 장수갈거미 http:..
-
논산 명재고택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4. 12. 11. 08:48
윤증(尹拯) 1629년(인조 7)~ 1714년(숙종 40)본,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자인(子仁), 호는 명재(明齋), 유봉(酉峰). 29세 때에는 김집의 권유로 송시열(宋時烈) 문하에서 예론(禮論)을 배웠다. 1663년(현종 4)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숙종대에도 호조참의, 대사헌, 우참찬, 좌찬성, 우의정, 판돈녕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했다. 1680년(숙종6) 김수항(金壽恒), 민정중(閔鼎重) 등이 경연에 나오도록 청하고, 박세채(朴世采), 조지겸(趙持謙) 등이 거듭 출사를 권했으나 사양했다. 그는 송시열, 김석주(金錫胄), 김만기(金萬基), 민정중의 세도가 바뀌어야 하고, 서인과 남인의 원한이 풀어져야만 출사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일로 최신(崔愼)이 스승인 송시열을 배반했다고 ..
-
정중동(靜中動)심상 image 2009. 10. 27. 21:26
동학사. 동학사 https://ktk84378837.tistory.com/1789 노론-소론의 분리가 된 회니시비(懷尼是非, 1665)는 가을 동학사에서 있었다. 회니시비(懷尼是非)는 숙종 때 사제 관계에 있었던 송시열(宋時烈)과 윤증(尹拯)의 불화 때문에 그들의 제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분쟁으로, 서인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갈라지게 한 사건이다. 숙종조에 충청도 회덕(懷德)에 살았던 저명한 우암(尤庵) 송시열과 그의 제자로서 이산(尼山)에 살았던 명재(明齋) 윤증은 여러 가지 일로 불화를 빚었다. 그들의 사사로운 불화는 1684년(숙종 10) 4월에 송시열의 제자 최신(崔愼)이 조정에 윤증을 고발하고 처벌을 요구함으로써 국가 차원의 정치적 분쟁이 되었다. 두 사람의 제자들은 각기 스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