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
-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2. 6. 26. 11:08
땅채송화 Coastal mosslike stonecrop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년초. 학명 Sedum oryzifolium Makino 이며 갯채송화라 한다. 남쪽 바닷가에서 해풍 맞으며 살아야할 녀석이 도심지에 와서 비들거리고 있다. 바위채송화에 비해 잎이 짧고 도툼하다. 한밭수목원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4990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340 http://ktk84378837.tistory.com/3116 말똥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709 http://ktk84378837.tistory.com/1439 땅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71 송엽국 ht..
-
말똥비름 Sedum bulbifer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1. 6. 13. 15:53
말똥비름 Bulbos stonecrop 장미목 돌나물과의 이년초. 학명 Sedum bulbiferum Makino 높이 10-20cm. 小箭草(소전초)라 하여 寒熱(한열)학질, 食積腹痛(식적복통), 풍습탄탄(류머티즘에 의한 반신불수), 瘟疫發疹(온역발진-급성 전염병의 발진)을 치료한다. 이름의 유래가 불분명하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128 http://ktk84378837.tistory.com/4990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340 말똥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709 말똥비름 &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439 땅채송화 http://ktk843..
-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1. 6. 6. 23:05
기린초[麒麟草] Kamchatka stonecrop. 높이 5~3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거꿀달걀모양이며 둔한 거치가 있다. 꽃은 6-7월에 황색꽃이 피며 수술은 10개이다. 꽃과 잎이 전설 속 동물인 기린의 뿔을 닮아 기린초가 되었다. 기는 수컷이고 린은 암컷이다. 돌나물과의 다육식물이다. 연한 잎은 식용한다. 백삼칠(白三七), 費菜(비채)라 하여 타박상, 咳嗽時 出血(해수시 출혈), 토혈, 혈변, 心悸(심계), 癰腫(옹종)을 치료한다. 가는기린초. 넓은잎기린초, 섬기린초, 속리기린초, 큰기린초, 태백기린초 등이 있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4990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340 http://ktk84378837.t..
-
돌나물 Sedum sarmentosum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0. 7. 10. 21:55
돌나물 stonecrop 보통 돈나물이라 부르는 돌나물과의 다년초. 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특유의 향과 신선도가 있어 나물로 먹는다. 본초명은 석상채(石上菜), 불갑초(佛甲草), 반지련(半支蓮), 불지갑(佛指甲), 석지갑(石指甲), 수분초(垂盆草)라 하며 咽喉腫痛(인후종통), 간염, 熱(열)로 인한 小便困難(소변곤란), 癰腫(옹종), 화상, 蛇,蟲咬傷(사,충교상)을 치료한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74 땅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71 돌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340 송엽국 http://ktk84378837.tistory.com/701 말똥비름 http://..
-
말똥비름 Bulbos stonecrop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0. 6. 6. 21:48
말똥비름은 줄기가 퍼지지 전 어릴 때의 모습이 풀밭에 떨어진 말똥과 비슷해서 붙은 이름이다. 말똥비름은 잎이 주걱형이라 알돌나물이라고도 한다. 말똥비름은 돌나물과의 두해살이풀이고 돌나물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말똥비름은 열매로 번식하지 못하고 살순으로 번식한다. 말똥비름 Bulbos stonecrop 장미목 돌나물과의 이년초. 학명 Sedum bulbiferum Makino 높이 10-20cm. 小箭草(소전초)라 하여 寒熱(한열)학질, 食積腹痛(식적복통), 풍습탄탄(류머티즘에 의한 반신불수), 瘟疫發疹(온역발진-급성 전염병의 발진)을 치료한다. 이름의 유래가 불분명하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tistory.com/128 http://ktk84378837.tistory.com..
-
채송화(菜松花) Portulaca grandiflor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09. 8. 3. 12:31
강원도, 함남도 방언은 앉은뱅이꽃. 불갑초(佛甲草), 만년초(萬年草), common-portulaca, 따꽃, 댕명화, 양마치현, 대명화, 학명 Portulaca grandiflora, 석죽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10-20cm, 잎자루는 없고 어긋나며 원주형이며 잎겨드랑이에 흰 털이 나며 다육질이다. 꽃은 가지 끝에서 1-3개씩 피며 붉은색,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피고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없다. 꽃잎은 5장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대는 5-9갈래다. 열매는 삭과이며 익으면 갈라져서 터진다. 아주 작은 씨는 많고 검은색이다. 全草(전초)를 半枝蓮(반지련)이라 하며 咽喉腫痛(인후종통), 타박상, 濕瘡(습창), 탕,화상(湯,火傷)을 치료한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
-
부용 Echeveria harmsii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08. 2. 27. 11:15
하름시. 학명 Echeveria harmsii. Echeveria pulv oliver. 부용, 부영, 금황성(pulvinata) X 함시(harmsii=oliveranthus elegans), 영명: Echeveria Red., 돌나물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멕시코 페루 원산. 돌나물과(경천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키 20cm. 잎과 줄기는 부드러운 흰 솜털로 덮여있어서 햇볕을 받으면 은빛이 난다. 잎이 둥글고 도톰하며 퍼지듯이 붉은빛으로 물들고, 부용은 잎이 가늘고 잎가장자리에 선을 이루며 핑크빛으로 물든다. 여름에 오렌지색 꽃이 핀다. 유사종으로 금황성(錦晃星)이 있다. plush plant, 학명 Echeveria pulvinate, 멕시코 페루 원산. 돌나물과(경천과) 에케베리아속의 다육.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