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기
-
수중다리노래기 Juliformia동물 Animal/배각류 倍脚類 Diplopoda 2021. 9. 26. 17:38
계룡산. 구봉산. 수중다리노래기 Juliformia. 각시노래기목. 원통형노래기류, 실린더노래기류. 노래기의 향명은 노내기. 한자어 마륙(馬陸)이다. 절지동물 배각류를 통틀어 이르기도 한다. 각시노래기목은 원통 모양의 마디가 60개에 이른다. 각시노래기목에 수중다리노래기와 갈퀴노래기가 있는데 갈퀴노래기는 수중다리노래기에 비해 더듬이가 길어보인다. 대부분의 몸마디에 방어선이 있는데, 여기서 알데히드·페놀 따위의 분비물을 분비하여 불쾌한 냄새를 일으킨다. 눈의 기능이 퇴화된 야행성 동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자극을 감지하는 발달된 촉각을 가진 대표적인 절지동물이다. 한국산은 1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유득공(柳得恭 1748~1807, 영조 24~순조 7년)의 경도잡지(京都雜志)에 2월 초하룻날 풍속에..
-
왕지네 Scolopendra동물 Animal/배각류 倍脚類 Diplopoda 2017. 6. 17. 17:44
식장산. 다리가 42개인 왕지네. 절지동물의 최강자. 꼬리에 보이는 것도 다리라고 한다. 그러면 44개인 셈이다. 한자어는 오공(蜈蚣)이다. 지네발란을 오공란(蜈蚣蘭), 톱풀(yarrow)을 오공초(蜈蚣草)=시초(蓍草), 복주머니란(개불알꽃)을 오공칠蜈蚣七), 생이가래를 오공평(蜈蚣萍), 파대가리를 수오공(水蜈蚣)이라 부르는 이유는 지네 다리처럼 많은 발을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시대 옥담사집을 펴낸 이응희의 蜈蚣(오공)이란 오언율시가 전한다. 진천의 농다리를 지네처럼 보고 지네다리라 하기도 하는데 사실은 대그릇 농(籠)이니 지네다리는 잘못된 표현이다. 그리마 http://ktk84378837.tistory.com/6095 왕지네 http://ktk84378837.tistory.com/8180 진천 ..
-
갯강구 Wharf roach동물 Animal/배각류 倍脚類 Diplopoda 2012. 7. 4. 14:15
갯강구 Ligia exotica Roux ,영명 Wharf roach인 등강목 갯강구과의 절지동물. 부산에선 강구를 바퀴라고 한다. 바퀴벌레를 닮았다는 말이니 갯강구는 바다바퀴 쯤 된다. 바퀴벌레처럼 생기긴 했다. 주로 바위 틈이나 습한 해조류 부근에서 흔히 발견되고 조간대 하조선 부근에 떼로 몰려다녀 무섭기도 하다. 해충인가 했더니 바닷가 음침한 곳에서 시체를 청소하는 착한 애란다.혐오스럽기는 해도자세 보니 등껍질 색깔도 예쁘다. 갯강구 http://ktk84378837.tistory.com/45 갯강구 / 김종상 해수욕장에서였어요 텐트 안에 들어온 아기갯강구 한 마리를 엉겁결에 밟아버렸어요 수영복을 입고 나가니 바닷가 갯강구네 마을에 「아기를 찾습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어요 엄마 갯강구가 나에게..
-
공벌레 Armadillidium vulgare동물 Animal/배각류 倍脚類 Diplopoda 2008. 6. 19. 14:39
공벌레 pillbug, Armadillidium vulgare. 절지동물인 쥐며느리류는 습기가 많고 음습한 곳을 좋아하는 아직은 혐오성 곤충이다. 쥐며느리류에 몸을 둥글게 말지 못하는 녀석은 쥐며느리고 몸을 둥글게 말아 공벌레, 콩만하다고 콩벌레다. 몸길이는 17~19mm 정도로, 머리와 7개의 마디로 된 가슴, 5개로 이루저진 배로 이루어져있다. 몸색은 어두운 갈색이거나 회색이다. 몸을 마는 행위는 적의 눈을 속여 자기 몸을 보호하려는 꾀에서 나온다. 공벌레는 꼬리가 보이지 않지만 쥐며느리는 두 갈래 꼬리가 보인다. 아래는 쥐며느리 공벌레 / 복효근 이 다족류는 슬픔의 유전자가 다리에 새겨져 있다 날거나 뛰어버리는 족속에게는 없는 영원한 비효율을 넘어서기 위하여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근면을 운명처럼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