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세에만니아 실바티카 Seemannia sylvatica 'Bolivian Sunset'초목류 wild flower/제스네리아과 Gesneriaceae 2024. 11. 17. 14:03
세에만니아 실바티카(Seemannia sylvatica 'Bolivian Sunset'), 제스네리아과의 다년초. 남미 원산. 고산지대 숲에서 자란다. 높이 40cm. 잎길이 15cm. 꽃은 8~12월 또는 연중 내내 간헐적으로 피고, 종 모양의 주황색이며 꽃잎 안쪽은 노란색 바탕에 붉은 반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미세한 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밭수목원.
-
청송 대전사(靑松 大典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24. 11. 9. 20:49
주왕산 기암괴석을 칭칭 감은 운무를 뒤로하고 앉은 대전사의 범종각가을비 부슬부슬거리는 날 범종각 방면에서 보는 대전사 전경동근 보름달 같이 노랗게 물든 둥근 은행나무청송 대전사 보광전(靑松 大典寺 普光殿), 보물 제1570호, 대전사는 신라 문무왕(文武王) 12년(672)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보광전은 1976년 중수시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여 그 건축년대(1672년, 강희 11년 임자 5월초 119일, 현종 13년)가 밝혀져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조선 현종 13년(1672)에 중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물 구조는 화강석 기단위에 화강석 초석을 놓고 약간 흘림이 있는 원주를 세워 구성된 정면3칸, 측면3칸의 건물이다. 지붕은 전면에만 부연을 단 겹처마의 맞배지붕이고, 구조는 2고주..
-
청송 주왕산(周王山)풍경 landscape 2024. 11. 9. 20:26
주왕산 내력이 길다. 높이 722.1m에 풍광이 뛰어나고 계곡이 깊다보니은둔자들과 선사가 많이 살았다 하여 대둔산(大屯山).바위로 둘러싸여 석병산(石屛山), 병풍산(屛風山).신라 선덕여왕 때 무열왕계의 김주원(金周元)이상대등 김경신(원성왕)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피신 와서 주방산(周房山).고려의 고승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1320~1376)선사가 이곳에서 수도할 때 주왕산.또한 진나라 때 복야상서를 지낸 주의의 팔대손(孫) 주도(周鍍)가 진나라를 재건하겠다고장안으로 쳐들어갔다가 패하여 신라의 석병산에 도망왔으나 마일성 상장군에게 토벌된 이후 주왕이 머문 산이라 하여 주왕산...길목에 대전사(大典寺)는 신라 문무왕(文武王) 12년(672)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보광전(普光殿)은 ..
-
충주호풍경 landscape 2024. 11. 3. 22:02
충주호의 명승은 제비봉, 신선봉, 강선대, 구담봉, 금수산, 채운봉, 현학봉, 옥순봉을 꼽는다. 요즘은 악어섬이 핫한데 몇 년 전에 촬영한 바 있다. 단원 김홍도의 '옥순봉도'가 전한다.옥순봉도. 단원 김홍도 작.충주호가 남고 청풍호는 사라지고 간판만 남았다고 선장이 아쉬워한다.강선대 아래에 두향(杜香) 의 무덤이 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이 48세에 단양군수로 부임했을 때 그 고을 관기(官妓)였던 18세의 어린 두향이 선생의 수발을 들었다. 두향은 선생의 인품에 감복해 흠모하였고, 퇴계 선생도 부인과 아들을 잇따라 잃었던 터라 공허한 가슴에 두향이를 옆에 두었다. 두향과 관계된 애틋한 여러 일화가 전해온다. 단양문화보존회에서는 해마다 시월 하순에 장회나루 일원에서 두향제를 지낸다. 두향묘 /..
-
백일홍(百日紅) Zinnia elegan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24. 11. 3. 20:46
군락이라 더 아름다운 백일홍(百日紅) Zinnia elegans, dahlia Flowered. 국화과의 다년초. 북미 남미 브라질 원산, 높이 90cm. 애초에는 잡초였으나 독일의 식물학자 요한 고트프리드 진(Zinn, 1727~1759)이 발견하여 인도와 서양 화훼가들의 손을 거쳐 아름다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원종의 꽃은 자주색에 가까웠다는데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수많은 색깔의 품종들로 진화했다. 한국에서의 백일홍은 이가환(李家煥, 1742∼1801)이 초고를 쓰고, 그의 아들 이재위(李載威, 1745-1826)가 엮은 어휘집 물보(物譜, 순조2년(1802)에 나오는 만큼 200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 모습을 대전 갑천변에서 싱싱하게 마주하다니 고맙고 고맙다.어디선가 들어본 전설도 뒤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