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제비동자꽃 Lychnis wilfordii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8. 30. 13:35
제비동자꽃 Lychnis wilfordii, 석죽과의 다년초. 높이 80cm.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마주 달리고 자루가 없으며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짙은 홍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선형 또는 선상 바소꼴이고 작은꽃줄기에 황갈색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로서 윗부분이 잘게 갈라지고 후부에 비늘조각이 2개씩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머리는 5개이고 씨방은 긴 타원형이며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결실한다.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동자꽃같이 생겼으나 꽃잎의 형태가 제비꽁지처럼 생겼으므로 제비동자꽃이라고 한다. 대관령 이북 풀밭에 분포하며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이다. 세종수목원.
-
황금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초목류 wild flower/측백나무과 Cupressaceae 2024. 8. 30. 13:30
황금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Henry. 측백나무과의 상록 침엽목. 이명학명 Sabina sargentii (A.Henry) Miyabe & Tatew. 원줄기는 포복성으로 옆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해 자란다. 수피는 암갈색. 잎은 바늘형과 비늘형 잎이나 대부분 비늘잎이다. 바늘잎은 섬향나무처럼 찌르지 않는다. 비늘잎은 마름모형이다. 세종수목원.
-
연산 백중놀이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4. 8. 30. 11:00
연산백중놀이는 논산시 연산면 일대에서 전승되어 온 민속놀이이다. 조선 성종 때 좌의정을 지낸 서석 김국광(金國光, 1415~1480)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처음 시작되어 500여년이 넘는 전통을 지녔다. 1481년 백중날(음력 7월 15일)에 당시 연산면의 27개 마을 주민들이 김국광의 묘소를 참배한 후 크게 난장을 트고 대동놀이를 편 것이 그 시초였다. 그때 백중날은 농사가 끝나 머슴들이 쉰다고 하여 ‘머슴날’이라고도 했다. 이날 음식을 차려놓고 놀던 풍속이 오늘까지 이어진 것이다.김국광의 후손들이 연산면 일대에서 많이 거주하게 되면서 백중놀이는 크게 성해졌다. 한 때는 연산을 오가는 길손은 물론 전국의 한량들까지 모여들어 함께 즐기는 축제로 성황을 이루었다. 당시 놀이비용을 전담한 광산 김씨 친가의 ..
-
서천 장항 맥문동풍경 landscape 2024. 8. 26. 16:30
해변 숲속길이라 이 뜨거운 여름날 산책코스로는 안성맞춤인 듯. 장항해변 방풍림 사이에 식재한 맥문동의 보라보라한 색채에 퐁당! 빠져들지 않을 수 없다. 권혁춘 시인의 맥문동 시비서천 출신 나태주 시인의 풀꽃 시비쿼바디스(Quo vadis)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서천갯벌.달랑게 Ocypode stimpsoni 눈자루는 자유로이 세웠다 눕혔다 할 수 있고, 각막 부분은 부풀어서 크다. 시력이 좋아 사람이 50m거리까지 다가가도 재빨리 구멍 속으로 숨는다. 갯벌 위쪽 모래바닥에 깊이 50-70m 구멍을 수직으로 파고 숨어 지내다가 낮이나 밤에 나와 활동하는데, 주로 밤에 활동한다. 별명 유령게. 해양 보호 생물.스카이워크(Sky-walk) 전망대서천 시큐리움(sea curious rium, 국립해양생..
-
창평향교(昌平鄕校)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4. 8. 26. 15:33
창평향교의 외삼문 전면과 후면창평향교(昌平鄕校)는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교산리 언덕배기에 우뚝 가파르게 서 있다. 1399년(정종 1)에 창건되고 1479년(성종 10)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1689년(숙종 15)에 현령 박세웅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였다. 향교 건물 2동이 국가보물로 지정된 것은 창평향교가 유일하다며 해설에 진지한 전교(典校)명륜당의 홑처마대성전에서 본 명륜당과 마주 보는 동서재의 문. 창평향교 명륜당. 정면 4칸, 측면 3칸(우측면은 2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며, 양 박공 면에 풍판을 설치하지 않아 목구조가 잘 드러나 보이고, 대성전을 향하는 전면이 창호 없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호남지방 향교에서는 보기 드문 사례임. 명륜당 부재의 짜임은 기둥머리에 헛첨차..
-
황금소나무 Pinus densiflora 'Aurea'초목류 wild flower/소나무과 Pinaceae 2024. 8. 26. 14:03
황금소나무 Pinus densiflora 'Aurea'. 소나무과의 상록침엽교목으로 잎이 노란 색을 띠는 희귀식물이다. 예부터 천기목(天氣木), 신목(神木)이라 하여 가뭄의 징후가 있으면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장마가 다가오면 녹색으로 변하며, 전쟁이 일어나면 붉어진다는 속설이 있다. 엽록소가 다른 소나무에 비해 부족해서 잎이 누렇게 변하는 것이므로 성장속도 또한 느리기 때문에 수십 년이 지나도 크기가 그만그만 하다고 한다. 수령 50년의 울진 주인리 황금소나무는 경상북도 기념물이다. 한반도 지형으로 이름난 안남의 둔주봉 정자 옆에도 한 그루가 있다. 담양세종수목원의 황금소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