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골드크리스트 윌마 Goldcrest wilma초목류 wild flower/측백나무과 Cupressaceae 2024. 1. 14. 21:49
골드크리스트 윌마 Goldcrest wilma, Monterey cypress, 학명 Cupressus macrocarpa 'Wilma' 측백나무과, 유통명 율마, 북미 원산, 부드러운 연두빛의 침엽수를 연상하게 하는 실내식물로 허브 향을 지녔다. 바람에 약하며 줄기 아랫부분의 잎이 떨어지면 황량한 느낌이 있으므로 동물 모양 등 토피아리(topiary)로 키우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오일을 채취하거나 원예치료에 쓰이기도 하며, 최근에는 전나무 대신 크리스마스 트리용으로도 사용한다. 스페인에서 사이프러스의 열매를 본 기억이 있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8955 보문산사정공원.
-
세이프리지야자 Chamaedorea seifrizii초목류 wild flower/야자나무과,종려과 Palmae 2024. 1. 14. 21:42
세이프리지야자 Chamaedorea seifrizii Burret, 대나무야자(bamboo palm), 야자과, 멕시코 원산, 높이 4m, 줄기 2cm, 가늘고 호리호리한 줄기 여러 대가 뿌리에서 나와 군생한다, 대나무와 비슷하고 환상무늬가 있다. 암꽃은 육수꽃차례를 이뤄 노란색으로 알모양으로 꽃자루 없이 꽃줄기에 어긋난다. 수꽃은 연노란색이다. 검은색 열매는 독성이 있다. 1989년 나사(NASA)에서 발표한 50종의 우수실내정화식물로 증산작용이 뛰어나고 휘발성 화학물질 제거 능력이 우수한 공기정화식물이다. 유사종에 테이블야자(Chamaedorea elegans)가 있다. 보문산사정공원.
-
주목 朱木 Japanese yew초목류 wild flower/주목과 Taxaceae 2023. 12. 25. 20:15
주목 朱木 Japanese yew.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침엽교목. 학명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재질이 붉어 주목이 되었다. 키는 약 16m까지 자란다. 배수가 좋은 기름진 땅에서 잘 자라지만 뿌리가 얕게 내리기 때문에 옮겨 심기가 힘들다. 바늘잎이 달리며 4월에 꽃이 피어 8~9월에 열매가 익는다. 대부분 솔방울을 달고 있는 구과(毬果)식물인데 주목만 열매가 다른 모습이다. 빠알간 부분을 가종피라 하며 홍시같이 무르고 끈적거리며 달다. 가종피가 감싸고 있는 까만 씨앗은 하나인데 독성이 있다. 햄릿에서 왕을 죽인 독약이 서양주목의 씨앗으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일본에선 술을 담기도 한다. 잎을 말린 주목엽은 신장병과 위장병 치료나 구충제로 쓰인다. 결이 고르고 광택이 좋..
-
계수나무 Katsura Tree초목류 wild flower/계수나무과 Cercidiphyllaceae 2023. 12. 25. 14:13
계수나무 Katsura Tree, 계수(桂樹), 계수나무과의 교목. 높이 30m. 학명 Cercidiphyllum japonicum. 중국명 연향수(連香樹). 일본명 카쯔라(桂, katsura)이다. 중국 일본 원산. 달나라의 계수나무와는 아무 관련이 없으며 일본을 통해 도입시 계(桂)자만 보고 계수나무라 하였는데 정작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이름이다. 원산지인 일본에서는 ‘가쓰라(계, 桂)’가 가쓰(香出)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이 나무의 잎은 향기가 있어 향(香)을 만드는 원료로 쓰이므로 그런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중국이름은 연향수(連香樹)이고, 한자 계(桂) 자는 중국에서는 목서(木犀)와 같이 향기 나는 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중국의 유명한 관광지 계림(桂林)에 많은 나무 역시 목서이다..
-
한겨울을 달구는 남천죽자(南天竹子)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23. 12. 25. 13:55
역시 남천을 눈을 맞아야 제멋이지... 남천(南天) Nandina domestica. 매자나무과의 남천속으로는 유일한 식물이란다. 열매가 붉은 촛불처럼 자란다고 하여 남천촉(南天燭)이라 불리기도 하고 잎이 대나무 잎 같다고 남천죽(南天竹)으로도 부른다. 남천의 잎을 넣고 지은 밥을 남촉반(南燭飯) 이라 한다. 이 밥을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며 젊어진다고 성죽(聖竹)이라고 한다. 과실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으며 천식(喘息)이나 백일해(百日咳) 등에 진해제(鎭咳劑)로 사용되며, 민간에서는 잎을 강장제로 사용한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잎이 미려하고 꽃과 단풍과 열매도 일품이므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南天 / 김춘수 南天과 南天 사이 여름이 와서 붕어가 알을 깐다. 南天은 막 지고 내년 봄까지 눈이 아마 두..
-
앨버트글라우카가문비나무 코니카 Picea glauca albertiana 'Conica'초목류 wild flower/소나무과 Pinaceae 2023. 12. 25. 12:06
앨버트글라우카가문비나무 코니카 Picea glauca var. albertiana 'Conica', 백운채(白雲杉), 별명 Dwarf Alberta white spruce, 영명 sqruce dwarf alberta. 북미원산의 소나무과 교목, 본종은 높이 15m. 가문비나무속의 수명 3백년. 수피는 검회색 갈라진다. 수목원 왜성종은 1904년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발견되었다. 3m의 침엽관목. 회갈색의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광택이 나는 가지는 약간 분홍빛을 띠는 갈색이다. 잎은 바늘처럼 생겼는데, 청록색의 기공이 있으며 분쇄시 불쾌한 냄새가 난다. 솔방울은 붉은색, 녹색 등을 띠는데 색깔에 따라 성숙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성숙한 솔방울은 황갈색을 띠며 가지 끝 쪽에 매달려 있다. 다양한 날씨도 잘 ..
-
오절무(五節舞) Kalanchoe prolifera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23. 12. 12. 21:31
오절무(五節舞), 칼랑코에 프롤리페라 Kalanchoe prolifera. 일반명 블루밍 박스(Blooming Boxes). 마다가스카르 원산. 고산의 암석지대에서 자란다. 다년생 이년초 촛대 모양, 종 모양의 꽃이 핀다. 튼튼하고 가지가 없는 줄기와 깃 모양의 겹잎을 가진 다육식물이다. 높이 3m. 잎은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수놓은듯 귀여운 보라색이 쪼르르 이어진다. 줄기는 직립하고 다소 4각 진다. 구절초(九節草)는 줄기가 아홉번 꺾어진다든가 음력 9월 9일(중양절) 쯤에 약효가 가장 빼어나다고 유래된 이름이라는데, 오절(五節)은 다섯 번 꺾이는 것인가, 아니면 감나무처럼 다섯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舞 자는 왜 붙은 것일까. 잎이나 줄기가 곡선을 이루며 춤을 추는 듯 보이기 때문이다 선녀무(仙女舞..
-
칼랑코에 마르모라타 kalanchoe marmorata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23. 12. 12. 21:17
칼랑코에 마르모라타 kalanchoe marmorata Baker, 강호자(江戶紫), 점박이칼랑코에, penwiper, penwiper plant, 돌나물과 칼랑코에속의 다육식물. 꽃은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리고 흰색 별모양이며 나팔꽃 모양으로 지름 10cm 이상이고 4갈래로 갈라져 있다. 높이 40cm 줄기는 원기둥형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도란형이며 두꺼우며 회녹색 바탕에 적갈색 반점 또는 물결무늬와 가장자리 톱니가있다. 잎자루는 없다. 일교차가 커지면 무늬가 좀더 선명해진다. 그 반점이 마치 말괄량이 삐삐의 얼굴에 난 주금깨처럼 귀엽고 이쁘다. 한밭수목원. *강호자(江戶紫)는 무라사키라고 해서 일본의 색채학자 조우 가즈오가 166가지 특이한 색의 유래를 설명하면서 부른 색의 이름이다. 우리말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