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초목류 wild flower/쐐기풀과 Urticaceae 2024. 4. 2. 15:02
펠리온나무 Pellionia scabra Benth. 만적거(蔓赤車). 제주물풍뎅이, 산초풀, 쐐기풀과. 펠리온나무는 한반도 중부 이남 특히 제주의 산골짜기 습지에 나는 희귀종 낙엽관목. 밑부분은 목질이고, 윗부분은 연질로 높이는 40cm이다. 전체가 검은 청록색이며 줄기에 회색의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줄기 윗부분에서 어긋나며 일그러진 피침형,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cm이다. 꽃은 식물 위의 줄기에 붙어 있는 흰색 소구체로,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꽃가루를 작은 연기처럼 방출한다. 세종수목원.
-
빌레나무 Maes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빌레나무과 Maesaceae 2024. 4. 2. 14:46
빌레나무 Maesa japonica. 빌레나무과 빌레나무속의 덩굴성 소관목. 높이 1m. 제주 곶자왈 고유종이다. 빌레는 제주어로 노출된 암반이 많고 토양 심도가 얕은 지역을 말하는데 빌레나무는 빌레지역에서 자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자웅이주로 잎은 측맥( 側脈)은 5-8개이며 꽃은 4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는 꽃차례)에 달린다. 세종수목원.
-
섬노루귀 Hepatica maxim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24. 4. 2. 14:38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울릉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초. 꽃이 지고 잎이 나올때 동그랗게 말려진 잎에 잔털이 있는 것이 노루의 귀를 닮았다. 울릉도특산식물이며 봄에 피고 여름에 열매를 맺는다. 잎은 심장형이며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로 갈라졌다. 열편은 둥근 난형이며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며 뒷면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피며 꽃받침조각은 6~8개이며, 긴 타원형으로서 꽃잎같이 생기고 꽃잎은 없으며, 많은 수술과 암술이 있다. 수과(瘦果)는 방추형이며 털이 없다. 세종수목원 섬노루귀 / 김승기 섬에 갇혔다 마음껏 풀을 뜯는 초원도 없고 뛰어 내달릴 수 있는 언덕도 없는 섬 팔딱팔딱 뛰어봐야 언제나 제자리, 드넓은 설원도 아닌 눈 쌓인..
-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24. 4. 2. 14:28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Nakai, 미나리아재비과, 애기노루귀, 남해 섬의 산지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다. 뿌리에 검은빛의 수염뿌리가 달린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뿌리에서 뭉쳐나고 두껍다. 겉면은 짙은 녹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있고 양면에 털이 나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4월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한 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있다. 한국 고유종인 새끼노루귀는 전체적으로 작고 열편의 끝이 다소 둔한 반면, 노루귀는 비교적 크고, 열편의 끝이 뾰족하다. 진통, 진해, 소종의 효능이 있어 전초를 약용한다. 세종수목원. 새끼노루귀의 꿈 / 유유 어릴수록 꿈이 많다고 하지요 마술봉 손에 쥔 날개 달린 천사가 되고 싶고 이름 없는 별나라에서 온 어린 왕자도 되고 싶고 장..
-
큰졸방제비꽃 Viola kusanoana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24. 4. 2. 14:14
큰졸방제비꽃 Viola kusanoana Makino. 제비꽃과. 이명 섬오랑캐,섬제비꽃,왕졸방나물,죽도오랑캐. 높이 40cm. 근생엽은 원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 다. 엽병은 윗부분의 것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달걀모양이고 빗살처럼 갈라지며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탁엽이 중열한다. 뿌리는 단단하고 뿌리줄기의 마디가 밀접하다. 5월에 줄기 위에서 엷은 자색 꽃이 핀다. 꽃은 액생하고 연한 자주색이며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세모진다. 졸방제비꽃에 비해 잎은 둥글고, 낚시제비꽃과 비슷하나 턱잎이 넓고, 얕게 갈라지며, 잎이 둥근 모양이고, 끝이 뾰족한 것이 다르다. 세종수목원.
-
울릉제비꽃 Viola ulleungdoensis초목류 wild flower/제비꽃과 Violaceae 2024. 4. 2. 14:01
울릉제비꽃 Viola ulleungdoensis M. Kim & J. Lee., 제비꽃과. 높이 20cm.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짧은 거치가 있다. 꽃은 자주색이며 꽃자루에 털이 보이지 않는다. 꽃잎은 5개이며 꽃받침은 녹색이다. 열매는 도란형 삭과이다.. 뫼제비꽃과 비슷한바 울릉제비꽃은 부정아가 없고 개화 후 잎이 커지며 식물체가 크고 저지대에서 자라는 반면에, 뫼제비꽃은 부정아가 있고 개화 후 잎이 커지지 않으며 식물체가 작고 고지대에 자란다. 세종수목원. 위 사진은 3월 27일 촬영했다. 4월 5일 새우난초를 보기 위해 갔더니 큰졸방제비꽃 사이에 있던 울릉제비꽃이 사라졌다. 마침 물을 주는 관리인에게 이야길 했더니 기가 막혀 말문이 막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