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
애기송이풀 Radical-flower lousewort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4. 5. 4. 14:53
애기송이풀 Radical-flower lousewort. 천마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edicularis ishidoyana 수량이 많은 계곡의 그늘진 북사면에서 주로 자란다. 뿌리에서 잎과 꽃대가 바로 올라온다. 잎은 한 번 갈라지는 깃꼴 겹잎이고,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겹쳐서 나오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정렬되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10~15cm이다. 연보라 빛 꽃이 5~6월에 핀다. 꽃받침은 긴 원통처럼 길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개성 천마산에서 채집되어 1937년 보고된 한반도 고유종이며 자생지가 매우 적다. 멸종위기 2급식물. 제천 덕동계곡. 송이풀 http://ktk84378837.tist..
-
켈로네 Chelone lyonii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4. 4. 29. 21:48
파렌하이트 아파트화단에서 본지 3년만에 켈로네라는 이름을 얻었다. 개화기간이 한 달여로 길다. 켈로네 리오니 Chelone Lyonii 'Hot lips', Chelone obliqua L. 자라송이풀, 거북머리, 오블리쿠아 켈로네, Pink Turtlehead, Twisted shell flower, Red Turtlehead 로 불린다. 북미 조지아주 원산.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7~10월에 자주색, 핑크색, 흰색, 붉은색으로 다양하게 핀다. 꽃 모양이 거북이가 목을 내밀고 있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켈로네 리오니 Chelone lyonii http://ktk84378837.tistory.com/5647
-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10. 22. 09:00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나호(糯蒿), 토인진(土茵陳), 현삼과 나도송이풀속의 반기생(半寄生) 한해살이풀이라는 설명인데 반기생인지 확인하지 못했다. 풀잎이 쑥을 닮아 송호(松蒿), 가지와 잎에 부드러운 분백색 털이 많아 초백지(草柏枝)라고도 부른다. 송이맞이풀이라는 이름도 있는데 이 꽃이 필 때쯤 송이버섯을 따기 시작했다고 한다. 즉 송이버섯을 딸 때쯤 피는 꽃이니 송이풀이라는 말도 있다. 높이가 30-60cm. 전체에 부드러운 선모(腺毛)가 많이 나고 끈적거린다. 8~9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위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끝은 입술 모양이다. 윗입술꽃잎은 반쯤 말린다.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종 모양이며 잔톱니가 ..
-
큰개현삼 Kakuda Figwort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9. 6. 22:33
큰개현삼 Kakuda Figwort, 현삼과 현삼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80-15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취산꽃차례가 모여서 큰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검붉은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다. 화관은 단지 모양익, 윗입술이 아랫입술보다 길다. 열매는 삭과이며 넓은 난형이다. 현삼(S. buergeriana Miq.)은 꽃은 녹색이 도는 노란색이고, 토현삼(S. koraiensis Nakai)은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폭보다 2배이상 길고 끝은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뿌리를 玄蔘(현삼)이라 하며 의한 煩渴發斑(번갈발반-皮膚發赤(피부..
-
산꼬리풀 Mountain spike speedwell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9. 4. 10:34
산꼬리풀 Mountain spike speedwell. 북꼬리풀, 긴잎자주꼬리풀, 각시꼬리풀, 기관염초(氣管炎草), 낭미화(浪尾花), 학명 Veronica rotunda.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 가지가 거의 없으며 굽은 털이 산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좁은 난형이다. 꽃은 8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총상꽃차례는 연한 짧은 털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길다. ‘섬꼬리풀’에 비해 잎은 자루가 거의 없고 꽃차례는 짧으며 꽃은 밑을 향한다. ‘큰산꼬리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다. 식용하고 생약명은 일지향(一枝香)이며 기관지염, 방광염, 외상, 요통, 중풍, 폐기천식, 해수에 사용한다. 긴산꼬리풀 http://ktk84378837.tistory.com/583 ht..
-
흰마주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albiflora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9. 4. 10:20
흰송이풀. 학명 Pedicularis resupinata f. albiflora. 현삼과 송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꽃받침은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뒤쪽은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이고 수술은 둘긴수술이다. 과실은 삭과이다. 덕유산. 마주송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992 흰송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5089 송이풀 & 흰송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589 나도송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901 http://ktk84378837.tistory.com/2648 http://ktk84378..
-
문모초 蚊母草 Veronica peregrina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5. 4. 21:47
문모초 蚊母草 Purslane speedwell. purslane-speedwell. 벌레풀, 털문모초, 북한명 벌레집꼬리풀. 학명 Veronica peregrina L. 학명 선도초(仙桃草), 활혈접골단(活血接骨丹), 현삼과 개불알풀속의 한두해살이풀. 논밭 근처와 냇가 등 습지에서 자라므로 모기가 숨어살기 좋은 서식처라는 뜻으로 문모초라 부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20cm, 약간 육질이다. 줄기 아래쪽 잎은 마주나고 위쪽 잎은 어긋난다. 잎자루는 없다. 잎은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에 다소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연분홍색 또는 흰색이다. 열매는 삭과, 편평한 원형이다. 밑에 가지가 갈라져서 뭉쳐..
-
땅주름잎 Mazus reptans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13. 5. 4. 21:33
땅주름잎, 렙탄스주름잎(Mazus reptans), 학명 Mazus reptans N.E.Br. 영명 creeping mazus(기는주름잎). 유통명 핑크주름잎. 현삼과 Mazus (주름잎속)의 다년초. 히말라야 원산. reptans는 포복성의 뜻이다. 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874 http://ktk84378837.tistory.com/3762 선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3318 땅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4611 누운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1427 흰주름잎 http://ktk84378837.tistory.com/1428 주름잎 / 김승기 내 작은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