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황매화 & 겹황매화(죽단화) Kerri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2. 4. 20. 10:00
황매화(黃梅花) Kerria japonica, Kimbai-so seeds , 금매화(金梅花), 중국 원산. 장미과 황매화속 키2m 정도의 낙엽성 떨기나무로, 가지에 어긋나는 긴 타원형 잎은 길이가 3~7cm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4~5월경 가지 끝에 피는 노란색 꽃은 지름이 3~4cm로 꽃잎은 5개 수술은 많고 암술은 5~8개이고, 9월경 꽃받침 속에 5개의 수과 열매가 흑갈색으로 성숙한다. 겹황매화는 죽단화라고 부른다. 서울역공중공원. 춘원 이광수의 금매화는 장미과를 이르는 것이 아니고 미나리아재비과의 금매화를 노래한 것이다. 금매화(金梅花) / 이광수(1892-1950) 오늘 오는 비는 진달래 떨우는 비 비마저 흙 묻어 송이송이 지는 그를 금매화 뒤이어 피니 더욱 비감하여라. 죽단화(겹황매화..
-
수양만첩백도 Prunus persica f. albople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2. 4. 16. 09:42
수양만첩백도 Prunus persica f. alboplena C.K.Schneid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높이6m.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고 털이 없으며 둔한 톱니가 있다. 흰겹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꽃잎은 5개이며 수술은 많고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핵과로 원형이며 털이 많다. 수피는 암홍갈색인데 동에 털이 있다. 종자인 도인(挑仁)은 약용한다. 유사종에 백도는 백색꽃이 핀다. 만첩홍도는 적색꽃이 만첩이며, 바래복사는 붉은 빛이 도는 백색 비슷한 꽃이 핀다. 감복사는 감처럼 편평하다. 숭도는 열매에 털이 없다. 용인복사는 핵이 잘 떨어지며 밑부분이 들어 가고 끝이 뾰족하며 둥글다.
-
꽃사과 Crab Appl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1. 12. 19. 14:59
첫눈이다. 꽃사과나무 Crab Apple, 학명 Malus prunifolia, 중국 원산. 진분홍색의 꽃이 대부분이지만 원예품종은 하얀 꽃이 피기도 한다. 나무 전체를 뒤덮어 버릴 만큼 많은 꽃이 잎과 함께 핀다. 키 5~6미터에 지름은 한 뼘 정도로 굵지 않다.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의 앞뒷면으로 털이 나 있어서 희끗희끗하게 보인다. 열매와 마찬가지로 잎이나 껍질모양도 사과나무를 많이 닮았다. 열매는 떫고 별다른 맛이 없으나 과일주를 담그기도 한다. 도안동.
-
춘추벚나무 Prunus subhirtell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1. 10. 9. 22:04
몇년전이던가 천리포수목원 입구에서 처음 보고 놀랐던 기억이 있다. 봄을 잊은 이상기후 탓이려니 했는데 알고보니 가을에 피는 종이었다. 2년 전 11월 초순에 대청호 추동생태공원에서 다시 만났을 때는 분홍색 꽃송이가 듬성듬성했다. 한달 앞당겨 시월 초순에 보는 춘추벚은 그야말로 흐드러졌으나 하늘이 높은 가을분위기라선지 가슴을 설레고 들뜨게 하는 맛이 떨어지는 느낌이다.춘추벚나무(Prunus subhirtella), Cherry Blossom, 이름처럼 일 년 중 봄과 가을에 각각 꽃이 핀다. 꽃은 두 겹으로 춘추화, 춘추벚꽃이라 부른다. 봄에는 보름 정도 가을에는 두 달가량 피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 가을보다 봄에 더 많은 꽃이 핀다. 대청호추동생태공원.
-
좀짚신나물 Agrimonia pilos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1. 7. 30. 21:45
좀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기본종인 짚신나물에 비해 전체가 약간 섬세하며 털도 연하고 소엽은 3-5개로 끝이 둔하며 꽃잎은 긴타원모양으로 끝이 둔하게 끝난다(잎뒤에 선점이 적고 꽃의 지름 5mm내외, 구자는 2mm 내외이다). 잎의 모양이 짚신을 닮아서 혹은 열매끝이 갈퀴처럼 구부러져 길섶을 지날때 짚신에 달라붙는다고 짚신나물이라고 한다. 짚신나물은 수술이 10~12, 산집신나물은 20이상, 좀짚신나물 5~8개이다. 도안동.
-
채진목 采振木 Korean service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1. 5. 27. 23:31
채진목 采振木 Amelanchier asiatica, 영명 Korean serviceberry, 장미과 채진목속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5~10m.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예두이며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다. 꽃은 짧은 가지끝에 산방상 총상꽃차례로 4~5월에 백색으로 핀다. 콩팥모양의 열매는 흑갈색으로 익으며 끈적이며 달짝지근하여 식용할 수 있으나 작은 씨앗이 여러개 씹힌다. 새의 먹이로도 훌륭하다. 采振木의 유래는 일본에서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린 수술을 ‘채배’라고 하는데, 이 나무의 열매뭉치와 비슷한 모양인데서 유래되었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한라산에 자생한다. 북한명은 독요나무로 생소한 편이다. 북미 원산의 채진목에는 소교목인 Amelanchier lamarckii..
-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21. 5. 22. 18:03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줄기는 모여 나고 높이 1m에 달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 또는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연한 분홍색, 드물게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우산모양꽃차례에 달린다. 도안동. 일본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767 https://ktk84378837.tistory.com/9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