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7. 8. 3. 21:58
4월 중순이면 금산에서는 20만평이나 되는 산기슭에서 조팝나무축제가 벌어진다. 조팝나무는 조밥나무에서 온 이름이다. 조밥나무는 가난한 시절 곡식의 하나인 조를 튀겨 밥처럼 보인 것이니 대개 흰색 꽃이다. 참조팝, 갈기조팝 공조팝, 가는잎조팝이 다 그렇다. 분홍색의 참조팝도 있다. 꽃줄기가 꼬리처럼 긴 꼬리조팝도 붉은색이며 같은 시기에 핀다. 여기 일본이 원산지인 일본조팝은 6월부터 자주빛이 짙은 홍색으로 핏물처럼 선연하다.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 홍조팝나무.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이며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나 중앙부에 연한 홍색이 돈다.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둥글며 수..
-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7. 7. 31. 23:19
장미과의 짚신나물은 열매의 모양이 마치 짚신을 닮아 부른 이름이다. 선학초(仙鶴草), 황아초, 자동풍, 자모초, 황우미, 지초, 개구리눈 등의 이름을 가진다. 봄에 돋아나는 새싹의 모습이 용의 이빨 같다고 용아초(龍牙草)라고 부른다. 속명 아그리모니아 agrimonia 는 가시가 많다는 뜻이니 짚신나물과 마찬가지로 외형에서 온 이름이다. 서양의 파르나소스 산에서 신하에게 독살될뻔한 미트라다테스 왕이 이 풀을 먹고 해독되어 살아났다는 전설이 있어 마법의 풀이라고 전해진다. 용아초는 지사, 수렴, 소염, 해독작용을 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무치거나 튀겨서 먹으며 염료도도 사용한다. 산짚신나물은 특산식물이다.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 등골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북짚신나물, 학명 Agri..
-
물싸리 Shrubby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7. 7. 29. 22:58
물싸리 Shrubby cinquefoil. 학명 Potentilla fruticose, 장미과 양지꽃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로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3~7개(보통5개)이며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 잔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황록색이다. 수과는 달걀꼴로 7 ~ 9월에 성숙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은물싸리라고 한다. 김용택의 에는 물싸리꽃이 나온다. "밭 언덕에 물싸리꽃은 오래된 무명 적삼처럼 하얗게 피었습니다." 물싸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166 http://ktk84378837.tistory.com/4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