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
괭이사초 Nerved-fruit sedge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5. 11. 23:07
괭이사초 Nerved-fruit sedge 사초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기슭의 습한 풀밭이나 논둑, 길가에서 자란다. 학명 Carex neurocarpa Maxim. 높이 30∼60cm. 습기 있는 산기슭과 풀밭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50cm로, 단면은 삼각형이고 짙은 갈색의 잎집이 아래쪽을 감싸고 있다. 잎은 줄기보다 길고, 폭 2-4mm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작은이삭에는 암꽃과 수꽃이 같이 달리며 윗부분에 수꽃이 핀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풍습성 관절염에 내용한다. 괭이사초 http://ktk84378837.tistory.com/3218 애괭이사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380
-
개찌버리사초 Carex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5. 6. 14:58
개찌버리사초 East Asian sedge 사초목 사초과의 다년초. 학명 Carex japonica Thunb. 꽃대의 높이는 20~40cm. 꽃은 5~6월에 핀다. 그늘진 숲 속이나 습한 풀밭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꼭대기의 작은이삭은 수꽃이며 옆쪽 작은이삭은 암꽃이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 개찌버리사초 http://ktk84378837.tistory.com/204 http://ktk84378837.tistory.com/4760 http://ktk84378837.tistory.com/3244
-
삿갓사초(莎草) Umbrella sedge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5. 3. 20:03
삿갓사초는 당연 그늘을 만들기 위한 삿갓의 재료로 사용했다는 얘기. 三度笠[산도가사]는 얼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깊이 쓸 수 있도록 삿갓사초(莎草)로 엮은 삿갓. 원래는 에도(江戸), 교토(京都), 오사카(大坂)의 세 곳을 매월 세 번씩 왕복하던 파발꾼을 삼도비각(三度飛脚 산도히캬쿠)이라고 불렀는데 그들이 주로 썼던 삿갓에서 연유하여 三度笠[산도가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http://blog.daum.net/bksscdll/2338 삿갓사초 Umbrella sedge 사초과 사초속의 다년초. 학명 Carex dispalata Boott. 삿갓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한 일본에서 유래한다. 꽃대는 높이 40~100cm로서 삼각형이고 윗부분이 깔깔하거나 밋밋하다. 5~7월에 개화하고, 줄기 상부에 4~7..
-
대사초 Broadleaf Sedge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4. 23. 14:18
대사초 Broadleaf Sedge, Creeping broad-leaf sedge, Siderosticta. 사초과 사초속의 다년초. 학명 Carex siderosticta Hance 높이 10-40cm. 줄기 아래는 밤색의 잎집으로 싸여 있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5-6장이 모여 난다. 꽃은 4-5월에 피며 작은이삭 4-8개가 성글게 붙어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사초가 모두 그렇듯이 윗부분에 수꽃이 피고 아래에 암꽃이 핀다. 암꽃의 비늘조각은 난형이며 흰색 막질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세모 모양이다. 뿌리를 崖棕根(애종근)이라 하며 婦人血氣(부인혈기) 및 五勞七傷(오로칠상)을 치료한다. 지리(智異) 대사초(莎草) 사초과 사초속의 다년초. 학명 Carex okamotoi Ohwi. 지리산의 반그늘에서 ..
-
파대가리 green-kyllinga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7. 9. 28. 10:38
파대가리 green-kyllinga. 큰송이방동산이, 가시파대가리, 학명 Kyllinga brevifolia Rottb. 북한명 파송이골, 본초명 삼협초(三莢草), 수오공(水蜈蚣), 수향부(水香附), 한기초(寒氣草),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운데는 파의 대가리처럼 생긴 파대가리가 있다. 사실 파의 대가리 보다는 아직 덜 핀 절굿대를 판박이한 것 같다. 대가리라는 말은 이미동물의 머리를 뜻하거나 머리의 비속어로 정착되었기에 듣기가 좀 거북스럽다. 그도 모자라 비하를 더하기 위해서 접미사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멋대가리 없다든가 맛대가리 없다는 말이 그렇다. 그래도 대가리는 친근함과 투박함과 진솔함이 있어 좋다. 파대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740 파대가리에게 파꽃이 하는..
-
바람하늘지기 grasslike-fimbristylis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7. 9. 27. 11:13
하늘지기라니? 바람하늘지기 grasslike-fimbristylis Globe fringe-rush. 참으로 교만하기 짝없는 이름인지 위풍당당한 이름인지 사초과 하늘지기속의 잡초치고는 너무 한다. 높이 15~40cm. 줄기 밑부분에 잎이 달린다. 잎몸은 실같이 가늘다. 8~9월에 개화한다. 꽃차례는 침형이며 짧다. 수과는 도란형이며 둔한 3능형으로 흰빛이 돈다. 검정하늘지기와 달리 암술머리는 3개이고 과실은 백색으로 익으며 잎은 좌우로 편평하다. 작은이삭이 1∼2개이고 잎이 바늘 모양인 것을 가는하늘지기, 잎집과 잎에 털이 많은 털하늘지기가 있다. 하늘지기와 비슷하지만 수과에 그물무늬가 없고 평활하며 어두운 갈색으로 성숙하는 갯하늘지기도 있다. 全草(전초)를 日照飄佛草(일조표불초)라 하며 暑熱少尿(서열소..
-
올챙이고랭이 bulrush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7. 9. 27. 10:52
사초과 고랭이속 의 여러해살이풀인 올챙이고랭이를 보면 올챙이 몇 마리가 줄기에 붙어있는 것처럼 흥미로운 모습이다. 올챙이고랭이 bulrush, 높이 30~80cm. 6~7월에 개화한다. 연못가와 냇가의 물이 얕은 곳이나 논에서 자란다. 고랭이는 골에서 온 말이 아닐까? 골은 골짜기이며 고랑은 두둑 사이를 이름이니 이랑과 대비되는 뜻이다. 골풀은 줄기에 골이 가 있는 풀이고 결국 골에 접미사 앙이 붙어 고랑이 되고 다시 접미사 이가 붙어 고랑이인데 역행동화가 일어나 고랭이가 된 것으로 추리해 본다. 그리 해석된다면 골과 고랭이는 사촌보다 가까운 관계로 볼 수 있겠다. 생약명 야마제초(野馬蹄草)는 구토, 악심, 어혈, 진통, 최유, 통경, 학질 등ㅇ에 효능을 보인다. 올챙이고랭이 http://ktk84378..
-
알동방사니 smallflower-flatsedge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7. 9. 26. 21:14
알동방사니 smallflower-flatsedge. Small-flowered umbrella sedge. Difformed Galingale, 이형사초(異型莎草), 학명 Cyperus difformis L. 사초과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30~60cm. 줄기는 삼각형이며 잎은 황갈색이다. 8~9월에 개화한다. 포는 꽃차례보다 길며 꽃차례는 흑갈색이다.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으로 색이 연하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자갈색이다. 全草(전초)를 異型莎草(이형사초)라 하며 熱淋(열림), 小便不通(소변불통), 타박상, 토혈을 치료한다. 동방사니는 이집트에서 기원전 2400년경부터 하천 주변에서 자라는 종려방동사니로 종이(파피루스)를 만들었다. 파피루스 https://ktk8437883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