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
꽃말발도리 매지시안 Deutzia Gracilis Magician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6. 5. 25. 16:15
한밭수목원. 말발도리 매지시안 Deutzia Gracilis Magician. 범의귀과의 낙엽관목 재배종이다. 영명 Magician Deutzia. Magician Deutzia. Magician x hybrid. Deutzia Gracilis 는 애기말발도리이고 Magician 한 것이니 꽃말발도리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이다. 매지시안은 범의귀과의 관목으로 학명은 Deutzia gracilis 'Magician' 또는 Deutzia x hybrida 'Magician', Deutzia 'Magician' 등으로 표기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3.5~10cm이며 잔톱니가 있다. 5~6월에 묵은 가지에서 흰색 바탕에 붉은색의 꽃이 핀다. 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
-
애기괭이눈 Stolon golden saxifrage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6. 5. 4. 23:33
해마다 이 자리, 고마운 괭이눈, 애기괭이눈 Stolon golden saxifrage. 덩굴괭이눈, 만금요, 범의귀과 괭이눈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대부분의 괭이눈은 잎이 마주나지만 애기괭이눈의 잎은 어긋난다. 꽃이 마치 봄날 고양이의 눈과 비슷하고 괭이눈보다 약간 작고 가늘고 길어 애기라는 명칭이 붙었다. 키는 15㎝. 잎은 둥근 하트 장형이며 꽃은 4~5월에 피는데, 연한 황록색이며 가운데 노란색 꽃이 있다. 열매는 6월경에 속이 여러 칸으로 나누어진 씨방에 많은 종자가 달린다. 봄에 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기도 한다. 대둔산 수락계곡. 흰털괭이눈 http://ktk84378837.tistory.com/319 http://ktk..
-
매화말발도리 deutzi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6. 4. 18. 22:23
매화말발도리 deutzia. 장미목 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이며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4월 초 ~ 6월 초에 전년도 가지의 측면에서 1 ~ 3개씩 단일꽃차례로 피며 꽃받침통은 씨방에 붙어 있고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조각은 털이 거의 없으며 꽃잎은 5장으로 백색이며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종모양이며 10월 중순에 익는다. 일년생가지에 별모양 털이 밀생한다. 한국 특산의 암생식물이다.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는 금년의 새가지에 꽃이 핌) 식장산. 바위말발도리를 어디 가야 만날 수 있을까. 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122 빈도..
-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6. 4. 3. 16:33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장미목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금요자. 힌괭이눈, 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높이 3~9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모여나기하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황록색이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고양이가 햇볕을 받으며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모습과 같다 하여 괭이눈이라 부른다. 꽃이 작아 벌과 나비가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꽃받침과 그 주변의 잎까지 노란색으로 물들인다. 열매는..
-
까마귀밥나무 열매 Ribes fasciculatum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5. 12. 1. 10:28
까마귀밥나무 Japanese Currant. 일본명 수산사자(藪山査子), 수산사(藪山査), 까마귀밥여름나무, 사람은 못먹고 까마귀나 먹는 열매라는 뜻으로 지어졌다.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학명 Ribes fasciculatum 높이 1 ~ 1.5m. 잎은 어긋나기로서 둥글고 3 ~ 5개로 갈라지며 뒷면과 잎자루에는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 달린다. 수꽃은 작은꽃대가 길고 꽃받침통이 술잔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노란색이고 난상 타원형이다. 암꽃 씨방은 거꿀달걀형이고 1실이며 꽃받침통은 술잔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고 9∼10월에 붉게 익으며 쓴맛이 난다. 식장산. 까마귀밥나무 http://ktk84378837.tistory...
-
까마귀밥나무 열매 Japanese Currant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5. 10. 18. 21:50
까마귀밥나무 Japanese Currant. 일본명 수산사자(藪山査子), 수산사(藪山査), 까마귀밥여름나무, 사람은 못먹고 까마귀나 먹는 열매라는 뜻으로 지어졌다.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학명 Ribes fasciculatum 높이 1 ~ 1.5m. 잎은 어긋나기로서 둥글고 3 ~ 5개로 갈라지며 뒷면과 잎자루에는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 달린다. 수꽃은 작은꽃대가 길고 꽃받침통이 술잔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노란색이고 난상 타원형이다. 암꽃 씨방은 거꿀달걀형이고 1실이며 꽃받침통은 술잔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고 9∼10월에 붉게 익으며 쓴맛이 난다. 직지사. 까마귀밥나무 http://ktk84378837.tistory...
-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5. 8. 6. 22:19
나무수국(水菊) panicle hydrangea, tree hydrangea. 범의귀과 수국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 ~ 3m. 꽃은 7 ~ 8월에 가지 끝에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무성꽃과 양성꽃이 한 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한다. 중성화란 무성화(無性花)라고도 하는데 불임성화(不稔性花)와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양성화란 자웅동화(雌雄同花)라고 해서 암술과 수술이 한 그루에 있다. 열매는 삭과로 10 ~ 11월에 익는다. 粉團花(분단화)는 消濕(소습), 破血(파혈)의 효능이 있다. 뿌리는 말라리아, 爛喉(난후)를 치료한다. 또 接骨(접골)의 효능이 있다. 수국(水菊)이라고 해서 까딱하면 국화과 식물로 혼동을 주는데 전혀 다른 범의귀과 식물이다. 일본에서..
-
산수국 Mountain hydrange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5. 7. 2. 11:06
산수국 山水菊 Japanese hydrangea, Mountain hydrangea. Tea of heaven, 학명 Hydrangea serrata. 범의귀과 수국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1m.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나 있다. 7-8월에 당해에 자란 가지끝에 꽃차례가 달리는데 수국꽃은 모두 무성꽃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뿌리를 토상산(土常山)이라 하며 종기치료에 사용한다. 헛꽃을 피우는 아이들이 백당나무, 라나스덜꿩나무, 산수국, 나무수국이 있다. 보문산. 꽃수국 http://ktk84378837.tistory.com/2063 http://ktk8437883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