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
만첩(萬疊)빈도리 Deutzia crenat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0. 6. 8. 11:50
만첩(萬疊)빈도리 Deutzia crenata. 높이 2m. 범의귀과의 일본 원산인 낙엽성관목. 어린 가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오래된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별 모양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잎은 여러 장이 겹쳐서 난다. 빈도리는 홑꽃인 말발도리가 지고 나서 이제사 흐드러졌다. 빈도리는 홑꽃이고 만첩빈도리는 겹꽃이다. 보문산.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122 빈도리 & 만첩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35 만첩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
-
털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ckii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0. 6. 1. 10:07
털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ckii. 범의귀과 고광나무속의 낙엽성활엽관목. 높이 1-1.5m. 잎의 표면과 뒷면과 가장자리에 엽병에도 모두 잔털이 있다. 꽃 모양이 희고 매화와 닮았다하여 산매화(山梅花)라고도 한다.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두산대백과사전에는 충북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충북 영동에서 발행하는 영동신문 2008년 6월 5일자에는 고광나무가 소개되어 있다. 이름 때문에 혼동되는 광나무는 잎이 두껍고 윤이 나는데 물푸레나무과다. 장미과의 야광나무는 꽃이 하도 희고 화려해서 밤에도 보인다는 뜻이다. 범의귀과인 고광나무 종류로 털고광나무, 애기고광나무, 얇은잎고광나무 등이 있다. 고광나무 http://ktk84378837.t..
-
매화(梅花)말발도리 Deutzia uniflor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0. 4. 26. 12:44
매화말발도리 deutzia. 댕강목. 학명 Deutzia uniflora Shirai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다. 열매가 말발굽에 끼는 편자처럼 생겼으며 꽃은 매화를 닮은데서 유래하다. 매화말발도리는 묵은 가지에서 꽃이 피지만 바위말발도리는 새로 난 가지에서 꽃이 핀다...꽃잎은 5장으로 백색이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종모양이며 10월 중순에 익는다. 열매를 피부염, 가려움증에 사용한다. 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122 빈도리 & 만첩빈도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3..
-
산(山)괭이눈 Mountain golden saxifrage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0. 4. 14. 20:28
산(山)괭이눈 Mountain golden saxifrage. 범의귀과 괭이눈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rysosplenium japonicum. 길이 10-15cm. 근생엽은 3-4개이고 둥글며 심장저이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길며 표면에 털이 있다. 꽃은 연한 녹색이고 화경끝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편원형이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2개가 서로 젖혀진다. 삭과는 처음에는 2개의 뿔같지만 4개로 갈라진다. 관촉사. 흰털괭이눈 http://ktk84378837.tistory.com/319 http://ktk84378837.tistory.com/3380 애기괭이눈 http://ktk84378837.tistory.com/3351 http://ktk84378837.tistory.co..
-
흰털괭이눈Chrysosplenium pilosum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10. 4. 12. 20:54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장미목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금요자. 힌괭이눈, 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높이 3~9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모여나기하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황록색이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고양이가 햇볕을 받으며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모습과 같다 하여 괭이눈이라 부른다. 꽃이 작아 벌과 나비가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꽃받침과 그 주변의 잎까지 노란색으로 물들인다. 열매는..
-
물매화(梅花) Wideword Parnassi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9. 10. 12. 15:26
물매화(梅花) Wideword Parnassia. 풀매화, 물매화풀, 다자매화초, 학명 Parnassia palustris L. 범의귀과 물매화속으로 산에서 자라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물기가 있는 땅에서 피는 매화 같은 꽃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화 모양의 꽃이 피는 풀이란 의미로 매화초(梅花草)라고도 부른다. 높이 20-40cm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둥근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밑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8-10월에 1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2-3cm다. 꽃잎은 5장이며 둥근 난형이다. 수술은 5개이다. 헛수술은 5개이며 12-22갈래로 실처럼 갈라지고 각 갈래 끝에 둥글고 노란 헛꿀샘이 있다. 꽃잎 열과 수술 열 사이에 발달하는 헛수술이 매우 특징적..
-
빈도리 Deutzi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9. 6. 22. 13:30
빈도리 Deutzia, 일본말발도리, 수국과 말발도리속의 낙엽활엽관목. 학명 Deutzia crenata , 일본 원산. 줄기의 속이 비어 있고, 꽃이 말발도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빈도리라고 한다. 높이 2m이다. 어린 가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오래된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별 모양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구형이며 별 모양 털로 덮여 있다. 과실을 수소라 하며 신체나 피부의 熱(열)을 다스린다. 꽃잎이 여러 겹으로 피는 품종을 만첩빈도리(for. plena Schneid.)라..
-
털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ckii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9. 5. 29. 09:47
털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ckii. 범의귀과 고광나무속의 낙엽성활엽관목. 높이 1-1.5m. 잎의 표면과 뒷면과 가장자리에 엽병에도 모두 잔털이 있다. 꽃 모양이 희고 매화와 닮았다하여 산매화(山梅花)라고도 한다.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두산대백과사전에는 충북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충북 영동에서 발행하는 영동신문 2008년 6월 5일자에는 고광나무가 소개되어 있다. 이름 때문에 혼동되는 광나무는 잎이 두껍고 윤이 나는데 물푸레나무과다. 장미과의 야광나무는 꽃이 하도 희고 화려해서 밤에도 보인다는 뜻이다. 범의귀과인 고광나무 종류로 털고광나무, 애기고광나무, 얇은잎고광나무 등이 있다. 고광나무 http://ktk84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