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5. 6. 15. 11:21
큰땅빈대 spotted-spurge, nodding-spurge. 큰점박이풀, 반엽지면초(班葉地綿草). 학명 Euphorbia maculata L.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일년초. 높이는 20~60cm이며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보다 잎이 크다. 땅바닥에 빈대처럼 납작하게 붙어 자라므로 부르는 이름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빈대는 피를 빨아먹는 야행성 곤충으로 몸길이는 6.5∼9mm이고, 몸빛깔은 대개 갈색이다. 큰땅빈대 http://ktk84378837.tistory.com/1047 http://ktk84378837.tistory.com/2752 http://ktk84378837.tistory.com/6606 땅빈대 http://ktk84378837.tistory.com/2..
-
암대극 岩大戟 Jolkin's spurge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5. 4. 23. 22:20
암대극 岩大戟 Jolkin's spurge, peking-euphorbia, 갯바위대극, 우독초, 경대극(京大戟), 천층탑(千層塔), 택칠(澤漆),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Euphorbia jolkinii Boiss. 높이 40~80cm.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3~8cm, 너비 6~12m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중륵에 흰빛이 돈다. 줄기 끝에 5개의 잎이 돌려나고 5개의 가지가 나와서 산형으로 달리는 꽃은 검은 갈자색이다. 삭과는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길이 1.8mm 정도의 넓은 타원형으로 겉이 밋밋하다. 잎에 톱니가 있고 꼬부라진 털이 있는 것이 ‘암대극’과 다르고 ‘참대극’..
-
붉은여우꼬리풀 Acalypha reptans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5. 3. 30. 15:40
붉은여우꼬리풀 Acalypha reptans. Acalypha pendula, 영명이 Red cat's tail(고양이꼬리)이며 여우꼬리(red fox tai)l, dwarf chenille plant. 붉은꼬리깨풀(홍미철현; 紅尾鐵莧, 红尾铁苋), 붉은고양이꼬리(묘미홍; 貓尾紅, 猫尾紅). 원산지가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인 말피기목 대극과 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속명 'Acalypha'는 '쐐기풀'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akalúphē'에서 파생되었으며, 잎의 모양이 쐐기풀 같음을 가리킨다. 라틴어 종명 'pendula'는 '매달려 있는' 또는 '디룽디룽 흔들리는'을 의미하며, 꽃차례의 매달려 늘어진 형상에서 기원한다. 붉은여우꼬리풀 http://ktk84378837.tistory.com/639..
-
크로톤 croton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5. 3. 20. 11:12
코리에움 바리에가텀 나선엽계 크로톤(C. variegatum var. pictum) 잎이 나선형으로 말리는 종류로 잎끝에 가시가 없다. 열대성 관목으로 1.8m이상 자라지 않는다. 크로톤의 서식지는 적도 부근으로 강우량이 많으며 토양이 산성인 곳이다. 크로톤은 고온, 고광도, 높은 습도, 잦은 강우에 잘 적응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코디에움 바리에가텀(C. variegatum)의 원예품종이다. 잎의 모양에 따라 광엽계, 비엽계, 나선계 등 7계통으로 나누어지며 잎 색깔도 녹색, 흰색, 노란색, 주황색(오렌지색), 빨간색 등으로 다양하고 변화가 있어 매우 아름답다. 일반적으로 늙은 잎일수록 주황색과 빨간색이 많다.한밭수목원. 크로톤 http://ktk84378837.tistory.com/6367
-
자트로파 인테그리마 jatropha integerrim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5. 2. 15. 23:06
야트로파 인테게리마 Jatropha integerrima, 페레그리나(peregrina), 스파이시 자트로파(spicy jatropha)로 알려진 대극과의 상록 관목. 마타피아(금엽산호琴葉珊瑚), 提琴桜(제금앵) 같은 별명이 있다. 쿠바 히스파니올라 섬이 원산. 마타피아는 원산지인 남태평양 마타피아 산호섬에서 비롯되었다. 높이는 3~4m. 잎이 3~5 갈래로 갈라지거나 밋밋한 두 가지 모양으로 나타난다. 종자는 유독성이라 식용은 안되고 비누나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된다. 유액에서 나오는 Jatrophine는 항암작용, 피부병, 류머티즘, 지혈, 구충,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야트로파 포다그리카(Jatropha podagrica 산호유동)는 줄기가 짧고 불록하다. 야트로파 베를란디에리(Jatropha be..
-
오구(烏桕)나무 Chinese Tallow Tree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4. 11. 18. 12:09
천리포수목원. 오구(烏桕)나무 tallow tree, Chinese Tallow Tree. 학명 Triadica sebifera (L.) Small 중국 남부 원산. 쥐손이풀목 대극과 사람주나무속의 낙엽교목. Tallow는 수지양초라는 뜻인데 목랍(木蠟)으로 덮여 있는 열매로 초와 비누, 기름을 만든다고 한다. 높이는 10m. 잎은 어긋나며, 난형으로 길이 3-8cm이며,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매끈하며, 두껍다.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차례 윗부분에는 10-15개의 수꽃이 달리고, 아랫부분에는 2-3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술은 2-3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둥근 타원형이며, 길이 1cm, 하얀색을 띤다. 새 잎이 새의 부리를 닮아 鳥口나..
-
사람주나무 열매 Sapium japonicum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4. 10. 3. 21:49
한밭수목원. 사람주나무 Tallow Tree. 학명 Sapium japonicum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낙엽 소교목. 키는 6m. 산호자나무,신방나무,쇠동백나무, 사람의 피부처럼 하얀 수피와 가을의 단풍이 하도 붉어 주(朱)를 붙였다고 한다. 내가 보기에는 늦봄 이름여름에 핀 꽃의 모습이 마치 사람이 서 있는 듯해서 부르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꽃은 6월무렵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맺힌다. 열매는 검은 반점이 있는 씨가 3개 들어 있는 삭과로 맺힌다. 잎은 산호자라 하여 쌈으로 먹는다...씨는 먹거나 기름을 짜서 사용하고, 짜낸 기름은 물건이 썩지 않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물건 겉에 바를 때 쓰거나 등유로 이용된다. 종자와 나무껍질을 이뇨제로 쓴다고 한다. 떠도는 이름의 유래는 수피가 사람의 피부처..
-
자트로파 인테게리마 Jatropha integerrim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4. 8. 20. 22:39
자트로파 인테게리마 Jatropha integerrima, 페레그리나(peregrina), 스파이시 자트로파(spicy jatropha)로 알려진 대극과의 상록 관목. 쿠바히스파니올라 섬이 원산. 높이는 3~4m. 잎이 3~5 갈래로 갈라지거나 밋밋한 두 가지 모양으로 나타난다. 종자는 유독성이라 식용은 안되고 비누나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된다. 유액에서 나오는 Jatrophine는 항암작용, 피부병, 류머티즘, 지혈, 구충,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야트로파 포다그리카(Jatropha podagrica 산호유동)는 줄기가 짧고 불록하다. 야트로파 베를란디에리(Jatropha berlandieri)는 키 30cm이며 자주색꽃이 핀다. 야트로파 물리피다(Jatropha multifida) 는 큰잎이 11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