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
큰방가지똥 prickly-sow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5. 27. 21:49
똥풀에 애기똥과 방가지똥이 있다. 애기똥은 노란 것이 찔끔 똠방 떨어졌으니 이쁘기도 하다. 이쁘니까 향도 곱다. 방가지는 무엇일까. 방가지똥은 덜 노랗고 굵다. 향도 없고 거칠다. 게다가 큰방가지똥이니 고울 리 있겠는가. 자주꽃을 피우는 자주방가지똥은 백두산쪽에서나 볼 수 있다. 벙거지>방가지는 무리일까? 그러고 보니 뒤집어 놓은 벙거지를 닮았다. 벙거지는 본래 조선시대 궁중 또는 양반집의 군노나 하인이 쓴 털로 만든 모자다. 지금은 의미가 확대되어 보통의 둥근 모자를 뜻하기도 한다. 큰방가지똥 prickly-sowthistle. Spiny Sow-thistle, 개방가지똥. 북한명 큰방가지풀. 고거채(苦苣菜), 속단국(續斷菊). 학명 Sonchus asper (L.) 국화과 방가지똥속의 일이년초. 유럽..
-
조뱅이 Creeping 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5. 25. 23:40
조뱅이 Breea segeta ,영명 Creeping thistle, 한자어 자계채(刺薊菜), 야홍화(野紅花) 한방에서 엉겅퀴는 큰 가시가 있다고 대계(大薊 큰가시)라 하고 조뱅이는 조그만한 가시가 있다고 소계(小薊)라 한다. 소계를 우리말로 조방거새라 하다가 한자 음을 차용한 조방거새(曺方居塞)라고 하였다. 이후 음의 변화를 일으켜 조방거ㅅ.ㅣ>조방거싀>조방이>조뱅이로 변화하였다고 한다. 즉 조뱅이는 조그만한 가시를 가진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이우철의 '한국식물명의 유래' 참조). 한밭수목원. 뻐꾹채 http://ktk84378837.tistory.com/1516 http://ktk84378837.tistory.com/6475 조뱅이 http://ktk84378837.tistory.com/149..
-
뻐꾹채(菜) Uniflower swisscentaury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5. 16. 09:51
뻐꾸기의 가슴무늬를 닮은 뻐꾹나리가 있다. 어쩜 저리 멋진 이름을 찾아냈을까 감탄을 하게 한다. 뻐꾹채 역시 꽃받침이 뻐꾹새의 가슴팍을 연상케 한다. 뻐꾹나물이라 해야지 뻐꾹채는 왠 말인가. 채는 나물이니 어린 잎을 먹을 수 있다. 그래서일까, 개체가 점점 줄어드는 느낌이다. 뜯어가면 괜찮은데 캐 가면 문제가 된다. 무덤가를 좋아하는 뻐꾹채. 뻐꾹채(菜) Uniflower swisscentaury 초롱꽃목 > 국화과 > 뻐꾹채속의 다년초. 학명 Rhaponticum uniflorum (L.) 높이 30~70cm 잎은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6~9cm로서 홍자색으로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根(근)은 漏蘆(누로)라 하며 淸熱(청열), 해독, 消腫(소..
-
선씀바귀 Short bristle-like haired ixeri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5. 12. 14:44
선씀바귀 Short bristle-like haired ixeris. 학명 Ixeris strigose 국화과의 다년초. 고거(苦苣), 고채(苦菜), 사엽고채(絲葉苦菜), 산고매(山苦買), 활혈초(活血草). 정선에선 쏙쌔. 높이 20~4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5~6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2.5cm 정도로 백색에 연한 자주색을 띤다. 수과는 길이 5.5~7mm 정도의 방추형으로 10개의 능선과 백색의 관모가 있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毒蛇咬傷(독사교상), 尿結石(요결석), 無名腫毒(무명종독), 陰囊濕疹(음낭습진), 肺炎(폐렴), 타박상, 骨折(골절)을 치료한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http://ktk84378837.ti..
-
뽀리뱅이 oriental-hawksbear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5. 10. 10:22
뽀리뱅이 oriental-hawksbeard 박주가리나물, 박조가리나물, 학명 Youngia japonica (L.) 고채약(苦菜藥), 귀전평자(鬼田平子), 황과채(黃瓜菜). 국화과 뽀리뱅이속의 이년초. '뽀'는 '길다'는 뜻이고 '뱅이'는 '줄기 끝에 달리는 풀' 이므로 유래한다고도 하고, 보리밭에 잘 자라므로 뽀리뱅이라고도 한다. 높이 15-100cm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줄기잎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7-8mm.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항바이러스와 항종양 성분이 혈액을 순화시키고, 설사를 치료하며, 감기약으로 쓰인다. 화상, 대상포진, 유방염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다. 뽀리뱅이 http://ktk84378837.tistory.com/1546 ht..
-
서양민들레 Dandelion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4. 26. 12:43
서양민들레 dandelion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초. 유럽 원산. 학명 Taraxacum officinale 약포공영, 약민들레, 들민들레, 포공영(蒲公英). 꽃 지름 2∼5cm. 바깥쪽 포 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안쪽 포 조각은 곧게 선다. 민들레는 포 조각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먹고,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포공영은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한다. 서양민들레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817 강화도 서양민들레 & 흰민들레 http://k..
-
흰민들레 white-dandelion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0. 4. 13. 22:00
흰민들레 white-dandelion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초.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학명 Taraxacum coreanum Nakai 구공영(鳩公英), 복공영(僕公英), 지정(地丁), 포공영(蒲公英). 4~6월에 혀처럼 내민 흰 꽃이 피고 7~8월에 길이 3.5mm 정도의 수과가 달려 익는다. 연한 잎은 나물로 먹는다.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한다. 민들레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817 강화도 서양민들레 & 흰민들레 http://ktk84378837.tistory.com/2316 흰민들레 h..
-
육지로 강제 시집온 제주해국(海菊) Aster spathulifoliu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9. 11. 17. 13:08
해국(海菊) Aster spathulifolius. 국화과 참취속의 다년초. 바닷가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는 대한민국 자생식물이다. 키는 30~60cm 이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개화시기는 7~11월이며 열매는 11월에 성숙한다. 사정공원. 해국 http://ktk84378837.tistory.com/988 http://ktk84378837.tistory.com/5387 제주해국 http://ktk84378837.tistory.com/1765 http://ktk84378837.tistory.com/5228 해국海菊의 눈물 / 김귀녀 무엇이 그렇게도 그립고 또 그리워 절벽 틈 차디찬 돌바닥에 주저앉아 낮과 밤이 없는 긴 기다림의 벽에서 말없이 서성이는지 들려오는 건 쉴 사이 없이 철석 대는 파도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