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
공세리 성지성당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15. 2. 8. 22:50
마리아와 예수. 성당 외관. 성당 입구. 성당 내부. 성당 내무 창문. 고해실. 순교자 묘지. 박물관. 박물관(옛 사제관)에 들어가면 유명한 ‘이명래 고약’이 전시되어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종기 없는 사람이 없었고 이명래고약 붙여보지 않은 사람 없을 정도로 종기치료의 특효약이었다. 종기 환부에 붙여놓으면 검은 고약에 노란 농덩어리가 붙어나와 환부에 구멍이 뽕 뚫렸다. 많은 사람들이 종기로 고생하자 공세리성당의 에밀 드비즈 신부가 종기 퇴치 고약을 제조했고 그 방법을 신자인 이명래에게 전수했다. 이명래는 1920년 서울 중림동에 이명래고약집이라는 진료소를 연다. 그의 사후 사위인 이광진에 이어 그의 사위인 임재형에 의해 서대문구 신촌동에 "이명래 고약집명래 한의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수령 350..
-
서울 명동성당(明洞聖堂)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10. 5. 14. 11:37
천주교 서울대교구주교좌 명동대성당. 한국 천주교의 총본산으로 1892년에 착공해 1898년에 준공했다. 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으며 종현성당, 명동천주교당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근대 시기에 지어진 대표적인 건물로 평면은 라틴 십자형 삼랑식이고, 고딕 양식의 벽돌 건물이다. 설계와 감독은 프랑스인 신부 코스트가 담당했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순교자들의 유해를 지하 묘지에 안장했으며, 1945년 이름을 종현성당에서 명동대성당으로 바꾸었다. 명동성당이 세워진 곳은 원래 역관 김범우의 집이 있던 자리로 이승훈, 정약전의 3형제, 권일신 형제 등이 모여 조선 천주교회를 탄생시킨 곳이다. 서울 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은 한국 가톨릭 교회 공동체가 처음으로 탄생한 곳으로 순교 성인들의 유해를 모시고 있는 한국..
-
세례식(洗禮式)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08. 8. 30. 09:35
여기는 수락계곡, 입교하는 청소년에게 모든 죄악을 씻는 표시로 의식을 베풀고 있다. 무슨 교회일까? 대둔산 수락계곡. 세례받는 날 / 조창환 공기와 하늘이 포개 얹힌 틈새로 새들이 날아다닌다 새들이 날아다닌 흔적을 따라 모래알 같은 은빛 비행기가 지나가고 기쁜 날, 기쁜 날 소리치면서 희고 긴 비행구름이 하늘 아득한 곳에 눈부신 수평선을 긋는다 누가 세례받는 날인가 보다 왈칵, 눈물 솟구치도록 살아 숨쉬는 시간들이 눈부시다 수록시집 피보다 붉은 오후 ( 문학동네 )
-
전주 전동성당(殿洞聖堂)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08. 5. 22. 15:48
전주 전동성당. 전주 전동성당. 전주 전동성당은 사적 제288호로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워졌다. 이 건물은 천주교 신자들을 사형했던 전라북도 전주시 전동 풍남문(豊南門) 밖에 지어진 성당이다. 조선시대의 전주는 전라감영이 있었으므로 천주교회사에서 전동은 자연히 순교지의 하나가 됐다. 정조 15년(1791)에 진산사건의 주동자인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 순조 원년(1801)에 호남 첫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윤지헌(프란치스코) 등이 이곳에서 박해를 받고 처형됐다. 신유박해(1801년) 때는 이곳에서 유항검(柳恒儉)과 유관검 형제가 육시형을, 윤지헌, 김유산, 이우집 등이 교수형을 당했다. 이들의 순교의 뜻을 기리고자 1891년(고종 28)에 프랑스 보두네(Bau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