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밭수목원
-
티보치나 Tibouchina urvilleana초목류 wild flower/들모란과,산석류과 Melastomataceae 2014. 8. 20. 23:09
티보치나 Tibouchina urvilleana. 일명 야모란, 노보단. 학명 멜라스토마 칸디둠 Melastoma candidum . 도금양목 산석류과(야모란과) 티보치나속의 식물. 아메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 꽃색은 자주색이나 보라색 등이다. 한밭수목원. 티보치나 Tibouchina urvilleana http://ktk84378837.tistory.com/5964 Tibouchina 'jules' http://ktk84378837.tistory.com/6314
-
자트로파 인테게리마 Jatropha integerrim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4. 8. 20. 22:39
자트로파 인테게리마 Jatropha integerrima, 페레그리나(peregrina), 스파이시 자트로파(spicy jatropha)로 알려진 대극과의 상록 관목. 쿠바히스파니올라 섬이 원산. 높이는 3~4m. 잎이 3~5 갈래로 갈라지거나 밋밋한 두 가지 모양으로 나타난다. 종자는 유독성이라 식용은 안되고 비누나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된다. 유액에서 나오는 Jatrophine는 항암작용, 피부병, 류머티즘, 지혈, 구충, 소화불량 등을 치료한다. 야트로파 포다그리카(Jatropha podagrica 산호유동)는 줄기가 짧고 불록하다. 야트로파 베를란디에리(Jatropha berlandieri)는 키 30cm이며 자주색꽃이 핀다. 야트로파 물리피다(Jatropha multifida) 는 큰잎이 11갈래..
-
눈개승마 goat’s-beard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4. 6. 14. 20:00
눈개승마 goat’s-beard 묵나물로 먹으면 고기맛이 난다 하여 고기나물,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하여 재배한다. 죽토자. 장미과의 다년초. 학명 Aruncus dioicus 본초명 가승마(假升麻) 승마초(升麻草) 라 하여 보신, 수렴, 해열작용이 있으며 타박상과 피곤으로 근골이 아 픈데 쓴다. 한밭수목원. 눈개승마 https://ktk84378837.tistory.com/5778 개승마 / 김종태 이름처럼 승마보다 못나지도 않다 보드라울 것 같지만 생각보다 거칠고 따뜻할 것 같지만 마음보다 더 차갑다 다 핀 것 같지만 마음 줄 때마다 피어나고 더 필 것 같지만 고개 돌리면 시들어버린다 알 것 같지만 하나도 모르고 모르는 것 같은데 다 알 것도 같다 방울방울 숨겨왔던 기쁨은 십년을 기다렸다가 그 벌나..
-
아네모네 버지니아 Anemone virginian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14. 6. 5. 10:39
바람꽃속의 Anemone virginiana 로 나온다. 꺽다리바람꽃. 키큰바람꽃(tall anemone), 골무잡초(thimble-weed). 북미 원산.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다년초. 줄기는 30~80cm. 초여름에 흰색 또는 초록빛이 도는 흰색 꽃이 피는데 종종 늦여름에 피기도 한다. 열매는 둥근 골무 모양의 고밀도 수상화서로 맺는다. 텀블위드(tumbleweed)"라고도 불리지만 식물체가 굴러다니는 것은 아니고 종자 분산 모습에서 온 이름으로 추정된다. 한밭수목원. 아네모네 버지나아 http://ktk84378837.tistory.com/4857 https://ktk84378837.tistory.com/5737
-
대극 大戟 peking-euphorbi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14. 5. 4. 14:47
대극 大戟 peking-euphorbia. 대극과의 다년초. 북한명 버들옻. 학영 Euphorbia pekinensis Rupr. 본초명 천층탑(千層塔), 택칠(澤漆). 줄기는 60~80cm. 줄기 끝에 5개의 잎이 돌려나고 5개의 가지가 나와서 산형으로 달리는 꽃은 검은 갈자색이다. 삭과는 돌기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잎에 톱니가 있고 꼬부라진 털이 있다. 암대극은 톱니도 털도 없다. 根(근)을 大戟(대극)이라 하며 瀉水逐飮(사수축음), 消腫散結(소종산결)의 효능이 있다. 등대풀 http://ktk84378837.tistory.com/254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 시사랑꽃사랑 (tistory.com) 대극 http://ktk84378837.tistory.com/5652 ..
-
가침박달나무 Exochorda serrat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4. 2. 18. 11:02
가침박달 Common Pearlbush. 유앵(柳櫻), 장미과 가침박달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 높이 1 ~ 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3 ~ 8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도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날개가 달리고 7월 ~ 8월 중순에 익는다. 이름은 박달이지만 자작나무과가 아닌 장미과이다. 털가침박달은 잎의 뒷면에 털이 많은데 함경도에서 자란다. 가침은 실로 감아 꿰낸다는 뜻인데 5칸으로 나뉘어진 씨방의 모습이 그렇다는 뜻이고, 수질이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물론 집안도 달라서 가침박달은 장미과이며 박달나무는 자작나무과다.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
-
이나무 열매 Idesia polycarpa초목류 wild flower/이나무과 Flacourtiaceae 2013. 11. 4. 12:15
이나무 Idesia. Igiri Tree. 학명 Idesia polycarpa. 제비꽃목 이나무과 이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이름이 독특하여 이 나무가 이나무냐? 고 농의 대상이 되는 나무. 먼나무가 먼나무냐 하고 같은 유머스런 이름이다. 잎자루 끝에 2개의 선점같은 밀샘(냄새나는 물질을 분비하는 점 같은 조직)이 있는데 이 밀샘이 마치 인체의 기생충인 이처럼 보인다던가, 수피에 이 같은 무늬가 있기에 부른 이름이라고 하는데 재미난 유권해석이다. 중국에서 금슬(琴瑟)을 만드는 나무로 의동(椅桐, 넓은 잎이 오동을 연상시킨다는 뜻)을 쓴다고 하고, 북한에선 의나무라고 한다. 학명은 Idesia polycarpa 인데, 속명인 Idesia는 네델란드인 Yobrants Ides 씨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며 ..
-
가침박달 열매 Common Pearlbush (柳櫻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4. 12:13
가침박달 열매 Common Pearlbush. (柳櫻), 장미과 가침박달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 높이 1 ~ 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3 ~ 8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도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날개가 달리고 7월 ~ 8월 중순에 익는다. 이름은 박달이지만 자작나무과가 아닌 장미과이다. 털가침박달은 잎의 뒷면에 털이 많은데 함경도에서 자란다. 자작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70 http://ktk84378837.tistory.com/4749 물박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65 http://ktk8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