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행초
-
한밭수목원 산책초목류 wild flower/종합세트 synthesis 2025. 5. 11. 16:56
털설구화 핑크뷰티 Viburnum plicatum f. tomentosum 'Pink Beauty'. 인동과의 낙엽 관목. 높이 1-3m.수구화(繡毬花) Vibumum plicatum. 설구화(雪毬花). 영명 Snowball bushjapanese. 인동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키 2~3m. 비단에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이 달린다. 잎은 덜꿩나무, 꽃은 수국백당과 흡사하다.포테르길라 가르데니 Fothergilla gardenii. 실꽃풍년화, 실목련, 백화만작, 조록나무과의 관목. 마름모 모양의 잎이 나오기 전에 향기가 있는 하얀색 꽃이 모여 피는 점이 특징이다. Fothergilla는 영국식물학자 포터길(1712-1780)을 기리는 이름이고 gardenii는 스코틀랜드 의사인 알렉산더 가든(1730-..
-
코노피툼 프루테스켄스 Conophytum frutescens초목류 wild flower/번행초과 Aizoaceae 2024. 11. 17. 14:14
코노피툼 프루테스켄스 Conophytum frutescens N.E.Br.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앙골라 잠비아 원산. Conophytum은 뿔cone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konos(라틴어conos)와 식물plant을 뜻하는 phytum의 합성어이며 식물체의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Conophytum 명명자인 N.E.Br는 영국의 에드워드 브라운 nicholas edward brown(1849-1934)이며 리톱스라는 속명도 명명하였다. 분홍 흰 노란꽃이 핀다. 리톱스 Lithops. 영명 stoneface. 번행초과, 나미비아 원산. 속명은 그리스어의 lithos(돌)와 ops(얼굴)가 합쳐져 된 말. 극도로 건조한 편마암 대지의 바위 틈이나 자갈에 묻혀서 자생한다. 주변의 자갈과 빛깔 모양이 비슷하여..
-
리톱스 Lithops초목류 wild flower/번행초과 Aizoaceae 2022. 10. 19. 21:26
리톱스 Lithops. 번행초과(석류풀과). 아프리카 사막에서 이슬을 먹고 자란다. 고대 그리스어 líthos(돌)과 óps(얼굴)의 합성어로 돌 같은 모양을 뜻한다. Lithops는 그리스어의 lithos(돌)와 ops(얼굴)가 합쳐져 된 말이다. 한 쌍의 잎이 두껍게 돌 모양을 한 의태(擬態)로써 땅에 박혀 햇빛과 동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래서 '살아있는 돌'이라 부른다. 상피창(epidermal windows 잎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걸러진 햇빛은 엽록체가 있는 잎의 밑부분에서 광합성을 한다. 유사종인 코노피툼(conophytum)은 상피창이 없다. 새싹은 잎 사이에서 자라며 꽃은 흰 노란색으로 하나씩 핀다. 이들은 모두 메셈류(mesembryanthemum)로 통합되기도 한다. ..
-
번행초 蕃杏草 tetragonia초목류 wild flower/번행초과 Aizoaceae 2015. 8. 27. 12:22
번행초(蕃杏草) common-tetragonia 번향, 갯시금치, 갯상추, 우리나라에선 유일한 번행초과의 다년초. 학명 Tetragonia tetragonoides 남부 해안 모래땅에 분포하며 여름에 노란꽃이 피고 30~60cm로 자란다. 식용하거나 전초를 암, 장염, 패혈증 등의 치료에 약재로 쓴다. 국어사전엔 석류풀과. 본초명이 번행, 번향초추, 빈와거인데 해열, 해독, 소종의 효능이 있다. 울산 대왕암. 번행초 http://ktk84378837.tistory.com/5003 http://ktk84378837.tistory.com/6788 석류풀 http://ktk84378837.tistory.com/4192 송엽국 http://ktk84378837.tistory.com/701
-
번행초 Tetragonia tetragonoides초목류 wild flower/번행초과 Aizoaceae 2013. 8. 26. 11:28
번행초(蕃杏草) common-tetragonia 번향, 갯시금치, 갯상추, 우리나라에선 유일한 번행초과의 다년초. 학명 Tetragonia tetragonoides 남부 해안 모래땅에 분포하며 여름에 노란꽃이 피고 30~60cm로 자란다. 식용하거나 전초를 암, 장염, 패혈증 등의 치료에 약재로 쓴다. 번행초 http://ktk84378837.tistory.com/5003 번행초 / 유희봉 생채를 샐러드해서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쓰는 식용식물 위를 부드럽게 보호하는 흰 액체 시금치를 닮은 도톰한 잎 생선의 내장을 꺼내고 채워 넣으면 필수 냉장고라며 권하는 나의 말에 그녀는 시장에 가면 널린 것이 만들어서 파는 음식이란다 비닐끈처럼 질기고 나에게 토사광란을 일으킨 것은 수입 우렁이가 아니라 지나친 방부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