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위
-
관동화 款冬花 Tussilago farfara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5. 3. 16. 16:51
한밭수목원. 겨울 자나기를 못 기다리고 설핏 고개를 내민 관동화(款冬花). 관동화 款冬花 Tussilago farfara L. 중국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선 재배식물이다. 한방에서 봉두채(蜂斗菜)라 하는 머위를 닮아 관동머위라 부르기도 한다. 두산백과에 따르면 겨울을 지내다가 얼음을 가르고 나오기 때문에 과동(顆凍)이라고 하였다가 관동(款冬), 또는 관동(款凍)이라고 와전되었다 한다. 관(款)이란 지낸다는 지(至)의 의미로 겨울을 지내고 꽃을 피운다는 뜻이다. 또한 얼음과 눈을 뚫고 가장 먼저 봄을 알린다하여 찬동(鑽凍)이라고도 하였다. 머위처럼 나물로도 먹고 꽃줄기와 꽃봉오리를 말려 약재로도 사용하는데 호흡기 분비물 증가로 진해작용, 호흡흥분과 광조불안, 혈관수축작용, 소아의 급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
털머위 leopard-plan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2. 11. 19. 16:38
털머위 leopard-plant. 갯머위, 넓은잎말곰취. 북한명 말곰취. 학명 Farfugium japonicum (L.) 독각련(獨脚蓮), 연봉초(蓮蓬草), 염엽로(艶葉蕗), 후엽로(厚葉蕗). 국화과 털머위속의 상록성 다년초. 남부지방 산지에 분포한다. 높이가 30-50cm.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수과는 길이 5~7mm 정도의 흑갈색이고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와 잎을 식용하고 전초를 蓮蓬草(연봉초)라 하며 風熱感氣(풍열감기), 咽頭腫痛(인두종통), 癰腫(옹종), 정창, 나력, 타박상을 치료한다. 민간에서는 상처, 습진, 생선 해독제로 사용한다, 여수. 털머위 http://ktk84378837.tistory.com/4388 머위 http://ktk84..
-
머위 Petasite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12. 3. 31. 18:23
머위 butterbur. 머국, 머우, 흑남과(黑南瓜), 사두초(蛇頭草), 학명 Petasites japonicus. 봉두채(峰斗菜) 잎은 꽃이 진 다음에 뿌리잎이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산방 꽃차례로 핀다. 5~7월에 원통 모양의 수과가 달린다. 말린 머위의 꽃줄기와 꽃봉오리를 관동(款冬)이라고 하며 어린 잎은 식용하고 주로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털머위 http://ktk84378837.tistory.com/4388 머위 http://ktk84378837.tistory.com/348 머위(Sweet-Scented Tussilage) / 박선협 큰 비늘 조각잎에 이삭이..
-
머위 butterbu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4. 1. 09:56
동의보감에 머휘로 나오는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방에서는 머위의 꽃봉오리를 관동화라 부른다. 산지 자갈밭에서 자라는 개머위는 산머위라고도 부른다. 털머위나 멸가치를 개머위로 혼동하기도 하는데 제각기 다른 식물이다. 머위 butterbur. 머국, 머우, 흑남과(黑南瓜), 사두초(蛇頭草), 학명 Petasites japonicus. 봉두채(峰斗菜) 잎은 꽃이 진 다음에 뿌리잎이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산방 꽃차례로 핀다. 5~7월에 원통 모양의 수과가 달린다. 말린 머위의 꽃줄기와 꽃봉오리를 관동(款冬)이라고 하며 어린 잎은 식용하고 주로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