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
-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 비늘고사리 Leatherly wood fern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10. 5. 6. 11:05
고사리는 고사리목 고사리과이며 고비는 고사리목 고비과 식물이니 형제다. Bracken, 오각(烏角), 소각(小角), 고사리근(高沙利根), 학명 Pteridium aquilinum var. 높이 1m. 어린 잎은 궐(蕨)이라 하여 식용하고 청열(淸熱), 윤장(潤腸), 강기(降氣), 화담(化痰)의 효능이 있다. 뿌리는 궐근(蕨根)이라 하여 청열(淸熱), 이습(利濕)의 효능이 있다. 훈몽자회나 두시언해에도 고사리를 사용하였다. 한자어 궐채(蕨菜)는 고사리와 고비를 동시에 가리켰다. '동언고략(東言攷略)'에는 곡사리(曲絲里) 즉 실처럼 가늘고 굽은 것을 고사리라 하였다. 서정범은 고비사리 즉 고비의 고 + 사리(새=풀)로 해석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고사리는 곱(曲)+사리(둥근 뭉치)>고사리거나, 곱(曲)+사리..
-
거미고사리 Asian walking fern초목류 wild flower/꼬리고사리과 Aspleniaceae 2010. 3. 8. 10:10
거미고사리 Asian walking fern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Asplenium ruprechtii Sa. Kurata 거미고사리와 꼬리고사리의 교잡종을 거미꼬리고사리(A. castaneo-viride Baker)라고 한다. 습기가 많은 바위나 썩은 나무 등걸에 붙어 산다. 거미일엽초라고도 한다. 거미 항문에서 나오는 액처럼 길게 꼬리가길어보이니 붙은 이름일 것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외상이나 자궁 출혈의 지혈제로 사용한다고. 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558 고비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527 꿩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085 00고사리 http..
-
돌좀고사리 Wall-rue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10. 2. 16. 16:13
돌좀고사리 Wall-rue. 은행잎고사리, 학명 Asplenium ruta-muraria L.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흑갈색 비늘조각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8cm, 연한 녹색으로 선형의 비늘조각이 붙어 있다. 잎몸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 길이 2-7cm, 폭 1-2.5cm,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깃꼴잎은 1-3쌍으로 서로 어긋난다. 갈래조각은 둥근 마름모꼴 또는 부채꼴로 길이와 폭은 각각 3-6mm,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으로 얕게 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선형, 길이 1-3mm, 가장자리가 갈라진다. 석회암지대의 지표식물이라 할 수 있다. 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558 고비고사리 htt..
-
고사리 Bracken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09. 11. 2. 15:09
고사리가 무슨 말일까.서정범교수는 고사리에 대한 어원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고사리는 '고'와 '사리'가 합친 말이다. '사리'는 풀(草)의 뜻을 지니는 말로서 억새의 '새'와 동원어(同源語)다. '새'는 '삳〉살〉살이〉사이〉새'의 변화로서 풀의 뜻을 지닌다. 고사리 궐(蕨)〈字會上 14〉. 새(草)〈法華 2:244〉, 梨 새지비로소니(一草堂)〈杜初7:2〉. 새가 풀의 뜻으로 문헌에 보인다. 싸리(荊條)는 '사리'로 소급되는데, 어근 '살'은 역시 풀의 뜻을 지니는 '살'과 동원어다. 잎새의 '새'도 '삳〉살〉살이〉사이〉새'의 변화로 풀의 뜻에서 '잎, 잎새'와 같이 쓰인다. seri(芹)〈日〉, solgi(菜)〈나나이〉. 미나리의 뜻을 지니는 일본어 seri(芹)는 국어 '살(草)'과 동원어다. 고..
-
잔고사리 Hairy hayscented fern초목류 wild flower/면마과 Dryopteridaceae 2009. 5. 16. 11:15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Mett. & Miq. 양지고사리.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바위트이나 낭떨어지에 서식한다. 길이 15-35㎝, 잎자루와 더불어 백색 또는 갈색 털이 밀생하며 2회 깃꼴겹잎이다. 잎조각은 긴 삼각 모양의 바소꼴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에서는 더욱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 또는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각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달리고 얕은 컵처럼 생기며 포막에 털이 있다. 포자낭군이 달리지 않은 잎은 보다 작다. 구충작용, 抗(항)비루스作用(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다. 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558 고비고사리 http://ktk84378837.t..
-
거미고사리 Asian walking fern초목류 wild flower/꼬리고사리과 Aspleniaceae 2009. 5. 3. 08:45
거미고사리 Asian walking fern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Asplenium ruprechtii Sa. Kurata 거미고사리와 꼬리고사리의 교잡종을 거미꼬리고사리(A. castaneo-viride Baker)라고 한다. 습기가 많은 바위나 썩은 나무 등걸에 붙어 산다. 거미일엽초라고도 한다. 거미 항문에서 나오는 액처럼 길게 꼬리가길어보이니 붙은 이름일 것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외상이나 자궁 출혈의 지혈제로 사용한다고. 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558 고비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527 00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085 http://kt..
-
딘풍(丹楓)고사리삼 Botrychium nipponicum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삼과 Ophioglossaceae 2009. 3. 1. 22:50
고사리삼 Botrychium nipponicum 오각(烏角), 소각(小角), 궐기근(蕨其根), 꽃고사리. 고사리삼과의 다년초. 수수의 이삭 모양을 하고 있는 모습의 홀씨주머니 무리. 좁쌀알 같은 알갱이가 포자낭이다. 생약명 음지궐(陰地厥)은 주로 염증을 다스리며, 간장 질환에 효험이 있다. 2001년 발견된 제주고사리삼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제주도 곶자왈에만 드물게 자라는데 나도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이 식물은 6천만 년 전에 살았던 아주 오래된 식물이다. 그런데 250만 년 전에 화산활동으로 생긴 제주도에 자라고 있으니 그 자체로 신비로운 일이다. 여름내 눈에 띄지 않다가 한겨울에 파랗게 자라는 습성 때문에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고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55..
-
고비고사리 Oriental bamboo fern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08. 11. 21. 14:25
고비고사리 Oriental bamboo fern 고사리목 봉의꼬리과 고비고사리속의 상록성 다년초. 산혈연(散血蓮), 활혈연(活血蓮). 학명 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잎자루는 길이 40-70cm, 연한 녹색이며 아래쪽에 자줏빛이 돈다. 포자낭군은 잎맥을 따라서 가장자리에서 5mm 정도 떨어진 곳까지 달린다. 포자는 6-9월에 형성된다. 한 템포 늦은 인생은 사람만이 아닌 모양이다. 다른 녀석들은 가까이 올 추위를 이미 알고 있는가 보다. 바람 불 때를 놓치지 않고 우수수 옷을 털어버렸다. 그런데 담장 밑 느티나무 숲 아래 고비고사리는 꿈쩍도 않는 폼새다. 그러다 얼지나 않을런지 염려된다. 온기가 남아 있고 습도가 적절하니 일찍 들어갈 필요도 없었겠다는 건 건방진 생각이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