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유년
    풍경 landscape 2017. 1. 5. 22:37

    온천1동 벽화.

     

     

     

    칭따오 덕태호텔이 있는 마을 새벽시장.

     

    신윤복의 '닭'

     

     

    제변상벽모계영자도(題卞相璧母鷄領子圖)  /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변상벽은 변고양이로 불렸으니 卞以卞猫稱(변이변묘칭)

    고양이 그림으로 이름 떨쳤지. 畫猫名四達(화묘명사달)

    이제 다시 닭 병아리 그림 그리자 今復(금복회계)

    한 마리 한 마리가 붓끝에서 살아나네. 箇毫毛活(개개호모활)

    어미 닭은 까닭 없이 잔뜩 성이 나 母鷄無故怒(모계무고노)

    낯빛이 파르르 사나운 모습. 顔色猛峭巀(안색맹초찰)

    목털은 고슴도치처럼 곤두서 있어 頸毛逆如(경모역여위)

    건드리면 있는 대로 성낼 듯해라. 觸者遭(촉자조진갈)

    더러운 땅 방앗간 가리지 않고 煩壤與번양여대랑)

    언제나 밭 갈듯이 땅 파헤치지. 地恒如(파지항여발)

    낟알을 얻고서도 짐짓 쪼는 척 得粒佯득입양탁지)

    괴로이 굶주림을 견디어낸다. 苦心忍飢渴(고심인기갈)

    아무것도 안 뵈는데 두리번대니 瞿瞿視無形(구구시무형)

    숲 끝에 소리개 지나가누나. 影度林末(치영도림말)

    아아! 자애로운 그 성품이야 嗟哉慈愛性(차재자애성)

    하늘이 준 것이니 뉘 빼앗으랴. 天賦誰能(천부수능발)

    병아리 떼 어미 둘레 따라가는데 群雛母行(군추요모행)

    황갈색 여린 깃이 탐스럽구나. 茸嫩(용용눈황갈)

    말랑말랑 부리는 갓 여물었고 軟初凝(납취연초응)

    붉은 벼슬 바른 듯이 연하기만 해. 朱冠淡如抹(주관담여말)

    두 녀석이 쫓아가고 쫓겨가는데 二雛方追(이추방추분)

    허둥지둥 어이 그리 서두르는고. 急急何佻撻(급급하조달)

    앞선 놈은 부리를 바싹 낮췄고 前者有垂(전자주유수)

    뒤엣놈은 빼앗으려 하는 참일세 後者意欲奪(후자의욕탈)

    두 놈은 한 마리 지렁일 다퉈 二雛爭一(이추쟁일인)

    같이 물고 둘이 서로 놓지를 않네. 兩不(쌍함양불탈태)

    한 녀석은 제 어미 등에 올라타 一雛乘母背(일추승모배)

    가려운 곳 스스로 긁고 있구나. 處方自((양처방자발)

    한 녀석 홀로 오지 않으니 一雛獨不至(일추독불지)

    채소 싹을 혼자서 따먹고 있다. 菜苗方自(채묘방자랄)

    모습마다 섬세함이 진짜 같아서 形形細(형형세핍진)

    넘실대는 기운을 막을 길 없네. 滔滔氣莫(도도기막알)

    듣자니 그림을 처음 그릴 때 傳聞新繪時(전문신회시)

    수탉들이 잘못 알고 난리 났다지. 雄鷄誤喧聒(웅계오훤괄)

    또한 고양이를 그린 그림도 亦其烏圓圖(역기오원도)

    쥐 떼를 겁먹게 하였으리라. 可以群鼠(가이군서게)

    빼어난 재주가 이에 이르니 絕藝乃至(절예내지사)

    손으로 매만지며 놓지 못하네. 意未割(마사의미할)

    엉터리 화가가 산수 그리면 師畫山水(추사화산수)

    손놀림만 어지럽게 거창하다오. 狼藉手勢闊(낭자수세활)

     

    ;그림 회, ; 병아리 추, ; 낱 개,  ; 가파를 초, ; 높고가파를 찰

    ; 고슴도치 위,  ; 성낼 진, ; 방아 대, ; 긁을 파, ; 갈 발

    ; 쫄 탁, ; 솔개 치, ; 뺄 발, ; 두를 요,  ; 무성할 용, ; 어릴 눈,

    ; 털옷 갈, ; 부리 취,  ; 바를 말, ; 달아날 분, ; 방정맞을 조,

    ; 매질할 달,  ; 부리 주, ; 지렁이 인, ; 재갈 함, ; 벗을 탈,

    ; 가려울 양, ; 다스릴 발, ; 집어딸 날, ; 닥칠 핍,  ; 막을 알, ;

    의젓할 훤, ; 떠들썩할 괄, ; 쉴 게,  ; 이 사=, ; 만질 사,

    ; 거칠 추, ; 어지러울 낭,  ; 깔개 자,  闊 ; 트일 

    '풍경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성을 지키는 겨울나무  (0) 2017.01.28
    와편(瓦片)꽃담마을  (0) 2017.01.09
    2016 마지막 단풍  (0) 2016.12.30
    수암골3  (0) 2016.12.20
    유성오일장  (0) 2016.12.14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