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운교
-
단묘(檀廟)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5. 1. 3. 22:04
남은 일력 한 이파리가 찬바람에 팔랑거리는 날 대전 원정림동의 단묘(檀廟)를 찾았다, 순종떄 평안감사 지낸 조충현(趙忠顯)의 손자인 조병호趙柄鎬,1914∼2005)가 진잠에 단군전을 세운 남지훈(南芝薰, 1918~1997)과 결혼하고, 계룡시 신도안으로 확장하여 단묘를 세웠으나 1984년 육군본부 들어서면서 정림동으로 이주하였다. 동학교주가 세운 수운교는 살아남았는데 국조를 모시는 단묘는 쫒겨났다. 조선시조신성황제묘정비 세우고 삼일신고와 단군팔조교를 새겼다. 1993년 단묘를 대전대학에 기증하였으나 대학측의 관리소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어천절(御天節, 단군승하일인 음력 3월 15일)과 개천절(음력 10월 3일)에 제를 지낸다. 또다른 단묘(檀廟)는 독립운동가 김재형(金在衡, 1890~1966)이..
-
수운교 水雲敎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4. 12. 24. 21:34
갑작스런 영하의 날씨지만 상쾌하다 수운교 솔숲을 걸으니.범종각과 광덕문, 문화재 제335호 수운교 종각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된 범종. 종각은 육각형 평면에 육모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 아래에는 다포식 공포와 함꼐 화려한 단청이 장식되어 있다. 범종은 한국 전쟁 때 사용된 탄피를 녹여 만든 것으로 범종 겉면에는 '금룡산 36도솔천 범종' 그리고 '나무아미타불'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육모정의 종각에는 「금룡산 도솔천 범종」이라 명명한 대형 종이 현종되었는데, 범종은 매일 새벽, 정오, 저녁 3회 타종한다. 육모정의 종각은 외 11포, 내 15포의 포집으로 최고 걸작의 건물이다.광덕문(廣德門) 지붕의 잡상(雜像). 조선도교사 朝鮮道敎史에 의하면, 궁궐의 전각과 문루의 추녀마루 위에..
-
무환자나무 無患子 Chinese Soapberry초목류 wild flower/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2024. 11. 17. 14:29
무환자나무 無患子 Sapindales. Chinese Soapberry. 목환자(木患子), 비주자(肥珠子), 흑단자(黑丹子), 세수과(洗手果), 학명 Sapindus mukorossi. 무환자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키 10~20m. 5~6월에 지름 4~5mm인 엷은 황록색 또는 적갈색의 작은 꽃이 핀다. 9~10월에 지름 2~3cm인 황갈색의 둥근 핵과가 달린다. 까만 씨앗은 돌덩이같이 단단하고 만질수록 더욱 반질반질해져 스님들의 염주 재료로 쓴다. 그래서 염주나무, 또는 보리수라고도 한다. 無患子는 말 그대로 환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환상의 나무다. 중국에서는 無患樹가 근심과 걱정이 없는 나무로 통한다. 이수광의 《지봉유설》 에 무환주(無患珠)라 하였다. 도교를 믿던 사람들이 즐겨 심은..
-
천도교중앙대교당문화 culture/기독교문화 Christian Culture 2022. 4. 26. 11:52
저녁에 마실을 나갔다. 천도교중앙대교당, 운현궁 서쪽 경운동에 3대교주 손병희가 교인들로부터 성금을 모아 1918-21년에 건축하였다. 지금은 작아보이지만 당시엔 종현성당(명동성당), 조선총독부 청사와 더불어 서울의 3대 건축물이었다. 서울시유형문화재 제36호. 천도교는 철종 때인 1860년 최제우가 동학이념을 바탕한 경천사상과 시천주(한울님)사상으로 세웠다. 동학(東學)은 서학(西學)의 반대 개념이었으나 나중에 천도교로 바뀌었다. 천도교중앙대교당 홈페이지 이미지. 천도교는 1905년 손병희가 창시했으며 동학을 모태로 하고 있다.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과 최시형의 사인여천 사상을 계승하여, 손병희는 인내천 사상을 전개했다. 제1세 교주인 최제우를 대신사, 제2세 교주인 최시형을 신사, 제3세 교주인 손병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