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장산, 장흥초목류 wild flower/종합세트 synthesis 2019. 4. 20. 21:29
피나물 Forest poppy, 노랑매미꽃, 선매미꽃, 도두삼칠(刀豆三七), 하청화(荷靑花), 하청화근(荷靑花根), 학명 Hylomecon vernalis Maxim. 양귀비과. 줄기에 상처를 내면 붉은색 유액이 나오기에 피나물이다. 자방이 피침형이고 매미꽃과 유사하지만 꽃줄기에 잎이 달려 있다. 어린순을 데쳐서 우려내고 나물로 먹는다. 항염증, 진정제, 항균, 항종양에 약효 있다. 아직까지 매미꽃을 만나지는 못하였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789
개별꽃, 학명 Pseudostellaria hoterophylla, 들별꽃, 이엽가번루, 생약명 태자삼(太子蔘)은 주로 호흡기, 소화계 질환을 다스리며 강장제로 쓴다.. 석죽과의 어러해살이풀.
곰보버섯 Morel, 학명 Morchella esculenta, 곰보버섯과, 프랑스에서 즐겨 먹으며 우표 도안으로도 사용한다. 신들의 음식으로 여길만큼 가치가 귀하다.
자주알록제비꽃(Purple variegated-leaf violet), 학명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https://ktk84378837.tistory.com/4550
큰괭이밥 Large wood sorrelshamrock-sorrel, 학명 Oxalis obtriangulata Maxim,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보다 잎이 크고 꽃이 1개만 달리며 흰색이다, 깊은 산의 계곡에 았다. 속명에 obtriangulata는 역삼각형이란 뜻인데 잎의 모양에서 비롯된다.
토종민들레를 드디어 만났다. 여기서 만나지 못하고 남녘에 가서 만났다. 흰민들레와 함께 바깥쪽 조각은 뒤로 젖혀지지 않는 것이 서양민들레와 다르다. 주로 소화기 질환 및 해독과 해열에 효험이 있다. 민들레 dandelion , 학명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금잠초(金簪草), 지정(地丁), 포공영, 앉은뱅이꽃.
흰민들레 white-dandelion 역시 토종이다. 학명 Taraxacum coreanum Nakai, 본초명을 구공영(鳩公英,), 복공영(僕公英), 지정(地丁), 포공영(蒲公英)이라 하는데 주로 소화기와 방광 질환 다스리며 간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토종민들레와 함께 바깥쪽 조각은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서양민들레 dandelion, 들민들레, 포공영(蒲公英), Taraxacum officinale Weber, 북미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서양민들레의 바깥쪽 조각은 민들레와 달리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지는 것으로 구분한다. 나물로 먹는다.
연복초(連福草, moschatel), muskroot, 학명 Adoxa moschatellina L. 복수초가 피고 진 후에 연이어서 꽃이 핀다고 해서 연복초라고 한다. 연복초과로 1종1속의 특산인데 식장산은 연복초의 보고다.
내장금창초(金瘡草 Decumbent bugle), Ajuga decombens, 보라색 꽃을 피우는 금창초와는 달리 분홍색이며 내장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붙인 이름이다. 내장금란초라고도 한다. 꿀풀과. https://ktk84378837.tistory.com/8030
금창초(金瘡草 Decumbent bugle), Ajuga decombens, 가지조개나물, 섬자란초, 금난초, 학명 Ajuga decumbens, 꽃색은 내장금창초와 달리 보라색이다. 부스럼(瘡) 난 곳에 쓰는 풀이라는 뜻이고, 한방에서는 백모하고초(白毛夏枯草)라해서 기침, 천식, 해열재, 부스럼, 종기에 사용한다. 항암효과도 있다. 꿀풀과
송악 english-ivy, Japanese Evergreen Ivy, 상춘등(賞春藤), 파산호(爬山虎), 상록아이비(evergreen ivy), 담장나무, 학명 Hedera rhombea, 두릅나무과, 첨엽벽려(尖葉薜荔), 토고등(土鼓藤)은 祛風(거풍), 利濕(이습), 平肝(평간), 해독의 효능이 있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4376
골담초(骨擔草, Chinese Peashrub), 야황기(野黃芪), 금계아(金鷄兒), 선비화(禪扉花 ), 버선을 닮아 버선꽃이라 하는데 꿀이 들어 있어 어릴적 주전부리로 인기가 좋았다. 학명 Caragana sinica, 콩과의 관목. 해수, 대하, 고혈압, 타박상, 신경통에 처방한다.
사과꽃(沙果), 학명 Malus pumila, 장미과의 소교목.
러넌큘러스 Ranunculus, 개구리를 뜻하는 라틴어 라이나(Rana)에서 유래한다. 원종이 습지 출신임을 유추할 수 있겠다. 미나리아재비과
페튜니아 Common garden petunia, 학명 Petunia, 남미원산의 가지과 한해살이풀. 무늬가 불가사리를 연상시키는 느낌이다. 페튜니아를 개량하여 화초로 키울 수 있도록 한 사람이 농학자 우장춘이라고 한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633
보리밭 Barley, 학명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화본과의 두해살이풀. 오곡(五穀 쌀, 보리, 조, 콩, 기장) 중 하나, 1960년대까지는 춘궁기(春窮期)를 보릿고개라 하였다. 전라도에서는 신초를 나물로 먹는다.
밀밭 wheat, 학명 Triticum aestivum, 벼과, 터키 북미 아시아 원산.
개구리자리 Cursed buttercup, 놋동이풀이, 늪바구지, 학명 Ranunculus sceleratus, 본초명 석룡예(石龍芮), 야근채(野芹菜), 호초채(胡椒菜), 미나리아재비과의 두해살이풀.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며 윤기가 있다. 비슷한 개구리갓은 광택이 없고 일년초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710 젓가락나물 https://ktk84378837.tistory.com/1496
벼룩나물, 벌금자리, 개미바늘, 애기별꽃, 들별꽃 Rice-paddy stitchwort, 학명 Stellaria alsine var, 석죽과 두해살이풀. 빈터나 논, 밭둑에서 흔하게 자라며 나물로 먹는다. 전초를 天蓬草(천봉초)라 하여 傷風感冒(상풍감모), 이질, 痔漏(치루), 타박상을 치료한다.
황새냉이 flexuous-bittercress, 학명 Cardamine flexuosa, 만곡쇄미제(彎曲碎米薺), 쇄미제(碎米薺), 십자화과
수리딸기 a kind of wild strawberry, 연구자(沿鉤子), 懸鉤子는 止渴(지갈), 祛痰(거담), 해독, 醒酒(성주)의 효능이 있다. 痛風(통풍), 筋肉(근육) 류머티즘類(류), 丹毒(단독), 遺精(유정)을 치료한다, 학명 Rubus corchorifolius,
장딸기 https://ktk84378837.tistory.com/4583
나도물통이 Serrate nanocnide, 학명 Nanocnide japonica Blume, 한국원산의 쐐기풀과 여러해살이풀.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대 끝에 달리고 암꽃은 연한 붉은 빛이며 짧은 꽃대 끝에 달린다. https://ktk84378837.tistory.com/8029 물통이 https://ktk84378837.tistory.com/2662 모시물통이 https://ktk84378837.tistory.com/1803
'초목류 wild flower > 종합세트 syn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군도를 찾아서 (1) 2019.05.03 아, 4월 (0) 2019.04.30 보문산 (0) 2019.04.15 한밭수목원 (0) 2019.04.14 보문산 (0)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