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읍 무성서원(武城書院)
    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0. 1. 19. 14:10

    정읍 무성서원은 정읍 칠보면 무성리에 위치한다. 사적 제166호, 세계문화유산이다.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존인물을 모시는 생사당(生祠堂)을 짓고 태산사(泰山祠)로 시작하였다. 1483년(성종 14) 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고, 1549년(명종 4) 신잠(申潛)의 생사당을 짓고 태산사에 배향하였다, 1630년(인조 8) 정극인, 안세림(安世琳), 정언충(鄭彦忠), 김약묵(金若默)을, 1675년(숙종 1)에 김관(金灌)을 추가 배향하였다. 1696년(숙종 22)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에 무성(武城)이라고 사액(賜額)되었으며 1992년에 정읍군수 김성연이 이를 기려 건립하였다. 서원의 명칭은 대부분 배향된 인물의 호를 따거나 했는데 여기 무성(武城)은 중국을 본받는다는 뜻인가 싶다. ‘논어’ ‘陽貨’의 제4장은 "子之武城하사 聞弦歌之聲하시다. 夫子께서 빙그레 웃으시며 말씀하셨다. “닭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느냐.” 즉 공자의 제자인 자유(子游)가 작은 시골마을인 무성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백성에게 예악(譽樂)을 가르치는 것을 보고, 그릇이 큰 사람인데 작은 고을을 다스리고 있는 것이 안타까워 한 말이다.  공자의 핵심사상인 예악이 바로 이곳에서 행해짐을 상징하여 무성서원(武城書院), 현가루(絃歌樓)라 이름하였다. 하여 '弦歌之聲' 성어와 ‘割鷄에 焉用牛刀리오’라는 속담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弦은 거문고와 비파 등 올바른 고전음악을 연주하는 현악기를 말한다. 弦歌之聲은 올바른 음악의 음색을 가리킨다고 볼 수도 있고 현악기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 소리를 가리킨다고 볼 수도 있다.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큰 도구는 필요하지 않다는 뜻이다. 할계(割鷄)는 닭을 잡는 것뜻 말고 작은 재능을 시험해 보는 일로, 흔히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 일을 말한다. 

     

    무성서원 명륜당의 전면과 대청 그리고 후면을 촬영하였다. 마지막 사진은 무성서원 유생들의 기숙공간 강수재(講修齋,동재)이며 1887년(고종24)에 건립하였다. 서재는 소실되었는지 이름만 흥학재(興學齋)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전학후묘(前學後廟) 구조를 가진 무성서원인지라 서원 뒤쪽에 태산사(泰山祠)가 위치한다. 태산 군수 8년간 선정을 베푼 고운(顧雲)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존인물을 모신 생사당(生祠堂)을 짓고 태산사라 이름하였다. 생사당이라니 당시 최치원의 명망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겠다. 신라의 천재신동으로 18세에 당(唐)의 빈공과를 장원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 '격황소서(檄黃巢書)'로 문명을 떨치다가 귀국하여 아찬 벼슬을 하였다.  1483년(성종 14) 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으며. 지금 건물은 1844(현종10)에 중수하였다. 최치원을 主壁(주벽)으로 하여 좌우에 신잠. 정극인. 송세림. 정언충. 김약묵, 김관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고등학교 한문과 국어에서 쓸쓸함과 그리움으로 심금을 울렸던 '추야우중(秋夜雨中)'을 아래에 소개한다. 

     

    위가 신용희불망비申瑢熙 不忘碑, 통정대부(通政大夫) 전 비서감승(前秘書監丞) 역임. 아래는 서호순불망비(徐灝淳 不忘碑), 강당재건에 공을 세운 현감이었으며 1849년 哲宗(철종) 卽位年(즉위년) 건립.

     

    무성서원 丙午倡義紀蹟碑(병오창의기적비), 乙巳條約(을사늑약) 후 崔益鉉(최익현)이 遯軒(돈헌) 林炳瓚(임병찬)과 의병을 일으켜 순창 부근까지 진격했으나 관군에 패해 대마도로 귀양가서 고종 44년(1907) 순국하였다. 대마도 여행의 포인트가 최익현을 만나는 백미였다.(최익현 https://ktk84378837.tistory.com/2460 ). 좌측은 崔永大永世不忘碑閣(최영대 영세불망비각). 중앙은 丁汶述重修義助碑閣(정문술중수의조비각).

     

    무성서원을 나오며 차가워진 하늘에 우뚝 솟은 홍살문을 넣었다.

     

    서원에서 몇 백미터 떨어진 논바닥에 삼층석탑이 덩그런하다. 인가를 지나는데 밭둑에 열매가 많이 열도록 하는 가수(嫁樹)가 보인다. 나무 시집보내기라고 하는데 모과나무 시집보내는 모습을 선사한 마을은 무성리가 처음이다. 붙기를 좋아하는 특성상 대부분 대추나무 시집보내기를 한다. 풍속지인 "열양세시기"에 정월 보름날 과일나무 가지에 돌을 올려 놓는 것이다. 대추나무나 오얏나무는 섣달 그믐날, 석류나무는 정월 초하룻날에 한다, 전라북도에선 가지에 옷까지 입히고, 경상남도에선 감나무에 치마를 둘렀다. 감탄을 쏟을만큼 소박하고 아름다운 풍습이다.

    무성리삼층석탑(武城里三層石塔)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석탑의 상륜부에는 보륜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결여되어 있으나 고려시대 후기 석탑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때 일본인에게 매각되기 직전 홍순석(洪淳錫)이 사들여 칠보국민학교 교정으로 이건(移建)한 것을 무성리 출신 도강후인(道康后人) 김진섭(金鎭燮) 창섭(昌燮) 석공(錫公) 삼형제가 이곳으로 옮겼다.

    한국의 서원 https://ktk84378837.tistory.com/8712 갈산서원 ktk84378837.tistory.com/7990

    노강서원 ktk84378837.tistory.com/8309 도동서원 ktk84378837.tistory.com/9010  도산서원 ktk84378837.tistory.com/898

    돈암서원 ktk84378837.tistory.com/912 ktk84378837.tistory.com/8804 무성서원 ktk84378837.tistory.com/9012

    병산서원 ktk84378837.tistory.com/8549 소수서원 ktk84378837.tistory.com/8342 숭현서원 ktk84378837.tistory.com/7972 

    용강서원 ktk84378837.tistory.com/8398 월봉서원 ktk84378837.tistory.com/8207 자운서원 ktk84378837.tistory.com/3102

    죽림서원 ktk84378837.tistory.com/541 청풍서원 ktk84378837.tistory.com/8397 필암서원 ktk84378837.tistory.com/8208 

    합호서원 ktk84378837.tistory.com/8403 화양서원 ktk84378837.tistory.com/3060 

     

     

    현가루 (絃歌樓)  /  이주언

     

     

    햇살 기대앉은 담장의

    문루에 올라

    현을 뜯었다 하는

     

    눈부신 그날의 노래 흩어지고 없어라

    소리하던 그 사내 흘러가고 없어라

     

    담장 밖의 그대여

    끊어진 시간의 현 이어보아라

    잊혀진 두 마음 비춰보아라

     

    눈부신 그날의 노래 햇살로 쏟아져

    환청으로 듣고 있는 이 마음 당겨보아라

     

     

    무성서원에서 / 이은봉

     

     

    정읍시 칠보면 무성서원에서도

    많은 사람들 모여

    우르르 악착같이 공부했지

     

    공부하는 것보다 나은 것

    무엇인가 그러니 나도 너도

    부지런히 공부했지

     

    이곳은 최치원이

    맨 처음 자리 잡은 곳

    정극인이 봄맞이 노래

    상춘곡을 지은 곳

     

    왕의 사액을 받던 못 받던

    그때 이래 공부하는 전통들이 모여

    이 나라 이 만큼 키워냈지

     

    앞으로도 열심히 공부해야지

    정성 들여 나도 너도

    저 자신 키워내야지

    이 세상 키워내야지

     

    이번 생에는 공부하는 것보다

    더 재미있는 것 없지

    특별히 더 나은 것 없지.

     

     

    ―《시와소금2015년 겨울호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