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모금에 삼만 리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24. 12. 31. 22:12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영명 yellow-billed grosbeak. 고지새. 중명 蜡嘴雀(랍취작), 부리는 엷은 주황색이며 끝은 검은색. 수컷의 머리와 뺨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 목 뒤와 등은 회갈색 날개는 광택이 있는 검은색. 날개깃 끝과 첫째날개덮깃은 흰색. 가슴과 배는 담황색, 허리는 엷은 회색, 꼬리는 검은색. 암컷의 머리와 등은 회갈색이다. 낙엽활엽수림의 나뭇가지 위에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기는 5-6월이고, 한배의 알은 4-5개이다. 교목 관목의 다양한 씨앗과 열매를 주로 먹는다. 한국 중국에서 여름에 번식하고 애만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나그네 새다. 밀화(蜜花)는 꿀처럼 노란 호박(琥珀)이며, 부리가 마치 노란 호박 보석처럼 생긴데서 유래한다. 2018년 ..
-
열매의 계절초목류 wild flower/녹나무과 Lauraceae 2024. 12. 31. 21:15
겨우내 직박구리의 식량은 호랑가시나무, 피라칸다, 산수유, 백당나무 등 나무의 열매다. 호랑가시나무 열매(Ilex cornuta Lindl. & Paxton), 호랑이발톱나무(노호자, 老虎刺), 고양이 발톱을 닮았다 하여 묘아자(猫兒刺), 크리스마스 씰에 등장하는 주인공이어서 홀리나무(Horned holley)라고도 한다. 감탕나무과. 한국 중국 원산의 상록활엽관목으로 4-5월경 향기로운 꽃이 피고 10-12월경 열매가 붉게 익는다. 한밭수목원. 서양호랑가시나무(Holly) / 박선협 수난 속가시관을골고다 언덕위에붉은 피뚝뚝뿌린죄없는 죄값으로로빈새서러운 단심 예수나무 되었네
-
검은점겨울자나방 Inurois membranaria동물 Animal/나비와 나방 butterfly & moth 2024. 12. 31. 21:03
아무리 겨울나방이라지만 만병초 위에서 비박 가능할까? 검은점겨울자나방 Inurois membranaria. 자나방과. 잎을 엮어 집을 만들고 그 속에서 산다. 녹색 몸에 흰 세로줄이 여러 개 있고, 위쪽 가운데 양옆의 흰 줄은 굵다. 개체에 따라 몸이 갈색인 경우도 있다. 초봄에 나와 6월쯤 번데기가 되고, 이듬해까지 그 상태로 지낸다. 우리나라에 네 종이 기록되어 있지만, 애벌레 상태에서 구분하기는 어렵다. 검정날개겨울자나방 Alsophila bulawskii, 흰띠겨울자나방 Alsophila japonensis, 얇은날개겨울자나방 Inurois fumosa, 좁은날개겨울자나방 Inurois tenuis, 한밭수목원.
-
수운교 水雲敎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4. 12. 24. 21:34
갑작스런 영하의 날씨지만 상쾌하다 수운교 솔숲을 걸으니.범종각과 광덕문, 문화재 제335호 수운교 종각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된 범종. 종각은 육각형 평면에 육모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 아래에는 다포식 공포와 함꼐 화려한 단청이 장식되어 있다. 범종은 한국 전쟁 때 사용된 탄피를 녹여 만든 것으로 범종 겉면에는 '금룡산 36도솔천 범종' 그리고 '나무아미타불'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육모정의 종각에는 「금룡산 도솔천 범종」이라 명명한 대형 종이 현종되었는데, 범종은 매일 새벽, 정오, 저녁 3회 타종한다. 육모정의 종각은 외 11포, 내 15포의 포집으로 최고 걸작의 건물이다.광덕문(廣德門) 지붕의 잡상(雜像). 조선도교사 朝鮮道敎史에 의하면, 궁궐의 전각과 문루의 추녀마루 위에..
-
죽복령(竹茯苓) Phyllostachys bambusoide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24. 12. 17. 16:41
유성5일장에 나온 죽복령(竹茯苓, Phyllostachys bambusoides).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구멍장이버섯과 복령(伏靈, Wolfiporia extensa)과 마찬가지로 남부지방의 키큰 참대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혹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기혈의 흐름이 막힌 것을 뚫어주는 작용을 하는데 가래, 관절염, 신경통, 고질적인 퇴행성 관절염, 견비통, 요통, 해수, 천식, 여성의 생리불순을 다스린다. 복령과 비슷하나 비슷하지 않은 송근봉(松根峰, Selaginella tamariscina)은 말 그대로 혹처럼 자란 소나무의 뿌리다.
-
계룡산 신원사의 암자들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24. 12. 13. 16:34
신원사 소림원(小林院)의 대웅전, 암자엔 암 자가 붙는데 원 자가 있어 낯설어 새로운 곳인가 했다. 조선 시대의 건물은 지을 때부터 용도와 권위가 있어 전(殿), 당(堂), 합(闔), 각(閣), 재(齊), 헌(軒), 루(樓), 정(亭)의 순서로 서열에 매겨졌다. 이러한 팔품계를 근거로 사찰에서는 주로 전(殿), 당(堂), 각(閣), 누(樓)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사(寺)는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관사였으나 스님이 머물면서 사용된 말이고, 도량(道場)은 불법을 수행하는 도장(道場)의 음역이다. 가람(伽藍)은 승려들이 수행하는 곳으로 범어 승가람마의 약자이다. 정사(精舍)는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범어로 비하라(머무는집)의 의미를 지닌 곳이다. 선원(禪院)은 스님들이 참선수행하는 곳이다. 사찰(寺刹)은 법당..
-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24. 12. 9. 22:22
생태사진전문가 김정래 제공 바다의 신 포세이돈(Poseidon)이 던진 삼지창(三枝槍) 같다는 생각이 퍼뜩!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영명 great crested grebe. 논병아리목 논병아리과의 조류. 몸길이 약 56cm이다. 머리에 짙은 갈색 도가머리가 눈에 띈다. 겨울깃은 전체적으로 희게 보이고 부리는 분홍색이다. 날 때 날개의 흰색 띠가 뚜렷하다. 여름깃은 도가머리가 더 길고 머리 옆면에 갈색 깃털이 난다. 둥지는 호수·못·습지의 갈대밭이나 줄·골풀 등이 무성한 수면 또는 물가에 잎과 줄기로 접시 모양으로 튼다. 물고기가 주식이나 올챙이·연체동물·수생곤충과 갈대의 싹도 곧잘 먹는다. 번식기에는 검붉은 색인데 겨울깃은 색이 많이 빠져 흐린갈색이다. 부리도 연분홍색으로 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