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나성동 독락정(獨樂亭) 역사공원
    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5. 11. 18:12

    독락정(獨樂亭). 2013년 겨울에 와서 일출촬영을 한 기억이 있다. 고려 후기 충신이자 부안임씨 전서공파 파조인 임난수(林蘭秀 1342~1407) 장군의 절개와 의리를 기리기 위하여 아들 임목이 조선 세종 19년(1437)에 지은 정자로 그 후 여러 차례 고쳤다. 임난수 장군은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과 함께 탐라를 정벌하여 큰 공을 세우고 전서(각부의 장관)의 벼슬에까지 올랐으나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한 하늘에 두 임금을 모실 수 없다 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지금의 세종시 연기면 양화리로 낙향하여 생애를 마쳤다. 독락정은 생사축와형(生蛇逐蛙形,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고자 강가까지 쫓아 내려온 형국)으로 금강가 언덕 끝에 금강을 내려다보고 서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으로 후열 가운데 칸에 창호를 달아 마룻바닥을 만들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하였다. 기단은 화강석 장대석이며 8각 장초석에 원형 기둥을 세우고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조성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 세종시 갈매로(나성동) 208.

     

    임씨가묘(林氏家廟) 및 임난수신도비. 세종특별시 향토문화유산 제42호.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世宗 林蘭秀 은행나무)가 세종시 기념물 제8호 연기세종리은행나무라는 이름으로 지정 보호 받다가 2022년  5월 12일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다. 전월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는데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단풍 들었을 때 찾아볼 요량이다.

     

    의병장 임대수(林大洙)공적비,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된 뒤 항일운동에 참여, 그 뒤 19개군에 걸쳐 충남 일대의 의병장으로 활약. 1907년 의병 50명을 인솔하여 일본군 은진헌병분견소를 습격하고 총기·탄약과 서류 등을 탈취, 구금중이던 애국지사 여러 명을 구출. 1911년 공주에서 일본군과 교전중 동지 6명과 함께 전사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본래 금강변에  덜렁 독락정만 있던 것을 역사공원으로 꾸며 지금도 공사 진행 중이다.

    독락정 이름을 가진 정자는 옥천 안남에도 있고, 독락당(獨樂堂) 이름으로는 회재 이언적(1491∼1553)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 경주에 돌아와 지은 집이 있다. 

     

     

    공주독락정(公州獨樂亭) / 서거정(徐居正)

     

     

    소년 시절의 명성과 값어치가 누가 감히 그대만 하겠는가 ( 少年聲價孰如君 소년성가숙여군)

    만리 길 청운의 높은 벼슬길을 발밑보다 낮고도 평범한 것으로 여겼네 ( 脚底平看萬里雲 각저평간만리운)

    잠시 조정대신의 반열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은거하였으나 ( 暫屈朝班還舊隱 잠굴조반환구은)

    다시 영광된 벼슬이 따르고 높은 공훈에 책록되었구나 ( 更從榮宦策高勳 갱종영환책고훈)

    공을 세워 이름을 날리는 것이란 조물주의 진짜 희롱거리와도 같은 것 ( 功名造物眞如戲 공명조물진여희)

    사내대장부가 나간 곳은 쉽게 논할 수 없는 것 일 뿐 ( 出處男兒未易論 출처남아미이론)

    다만 두려운 건 조서를 받든 사자가 길 오르길 재촉하는 것 ( 却恐鳴騶催上道 각공명추최상도)

    북산의 원숭이와 학이 다시 옮겨가는 명분의 글을 새김일세 ( 北山猿鶴更移文 배산원학갱이문)

    독락정이라고 이름 한 동산은 금강을 누르듯이 나직하게 자리했는데 ( 名園並壓錦江低 명원병압금강저)

    내가 옛날 찾아 가던 길에 길을 잃고 헤메였었지 ( 我昔相尋路自迷 아석상심로자미)

    어떤 성씨 보다도 임씨의 정자가 가장 멋진 곳이라네 ( 何氏林亭知最勝 하씨림정지최승)

    두보가 오동잎에 시를 쓴 것과 같은 시를 쓰지는 못하고 ( 杜陵桐葉不曾題 두릉동엽불증제)

    수레 기름 쳐서 은자로서 살 수 있는 반곡에 가지 살지 못함은 한스럽지만 ( 膏車恨未從盤谷 고거한미종반곡 )

    어느 눈 온 밤 나룻배를 타고 친구를 찾아 가듯, 은자가 사는 독락정을 찾아갈 터이니 ( 雪艇終須訪剡溪 설정종수방섬계)

    부디 여울물에 흔적을 감추고 안개 속에 거두지 마시지요 ( 莫遣藏湍仍斂霧 막견장단잉렴무)

    들으니 독락정은 세상에 이미 복숭아나무나 자두나무의 밑에 길이 난 것과 같이 유명하다고 하더라 ( 似聞桃李已成蹊 사문도리기성혜)

    戊戌孟秋徐居正題(무술맹추서거정제, 무술년 초가을 서거정)

    - 신증동국여지승람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