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해미읍성(海美邑城)
    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3. 4. 12. 21:52

    해미읍성 진남문(鎭南門), 조선초 태종17년(1417)-세종3년(1421)에 서해안 방어를 위해 축성되었으며 충청병마절도사가 지휘하던 곳이다. 고창읍성, 낙안읍성과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읍성이다. 왜구를 막기 위해 성이지만 1,000여 명의 천주교 신도들이 잡혀와 고문 받던 순례지로 더 유명한듯 하다. 사적 116호.

    조선시대 병장기

    잘 가꾼 단풍나무

    해미읍성 회화나무. 기념물172호, 충청도사투리로 호야나무, 선비를 상징하는 학자수(學子樹), 수령3백년 추정. 1790-1880년대 옥사에 수감된 천주교 신자들을 이 나무의 동쪽끝 가지에 철사줄로 머리채를 매달아 고문하였으며, 철사줄이 박혀 있던 흔적이 남아 있다. 폭풍에 부러진 곳이 부패되어 외과수술을 거쳐 보호되고 있다.

    옥사(獄舍)

    민가(民家)

     

    擣衣詞(도의사, 다듬이질 노래) / 설손偰遜(미상~1360)

     

    擣擣閨中練 (도도규중련) 규방에서 다듬고 또 다듬어

    裁縫如霜雪 (재봉여상설) 서리 눈처럼 재봉질하여

    緘題寄邊庭 (함제기변정) 묶고 써서 변방에 부치자니

    中有淚成血 (중유누성혈) 그 속에 눈물이 피가 되네

    婦人得所歸 (부인득소귀) 아녀자는 시집 가면

    終始惟一節 (종시유일절) 끝내 절개를 지켜야 하니

    云胡妾薄命 (운호첩박명) 첩은 어찌 이토록 박명하여

    與君長相別 (여군장상별) 그대와 이리 오래도록 이별할꼬

     

    *: 찧을 도, : 봉할 함,

     

    부뚜막

    민가 지붕을 덮은 배꽃

    호서좌영(湖西左營) 앞의 느티나무 보호수, 지정번호8-14-12-1-383. 지정일 1982년. 수령200년. 유형 정자목.

    충청도 5군영의 하나인 호서좌영(湖西左營), 내포지방 12개 군현의 군권 장악은 물론 호서지방의 행정중심 역할을 하였다. 이 문을 통과하면 동헌(東軒)이 나온다.

    동헌(東軒)은 지방 관아에서 고을 원(員)이나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 및 그 밖의 수령(守令)들이 공사(公事)를 처리하던 공간으로 이청(吏廳), 무청(武廳), 향청 (鄕廳) 등 각종 관아 건물의 중심이며 아헌(衙軒)으로도 불린다.  

    복사꽃이 화사하다

    이스라지 분홍꽃이 담장을 물들였다

    하얀 옥매가 눈부시다 

    내아(內衙)는 지방 관아에 잇던 안채. 관리와 가족들이 생활하던 관사(官舍)건물로 동헌(東軒)이 고을의 공무를 수행하는 곳인데 반해, 내아는 살림집이다. 발굴조사와 고증을 거쳐 2000년에 복원하였다.

    객사 앞의 소나무가 그림 같다

    객사(客舍)는 건물의 중앙 정청(政廳)에 궐(闕)자가 새겨진 위패를 모시고 삭망(매월초하루, 보름)ㅔ 관아의 대소 관원들이 국왕에 대한 예를 올렸으며, 양편 익실(翼室)은 조정이나 상부에서 파견된 관원 및 귀빈의 숙소로 사용하였다. 발굴과 고증을 거쳐 1999년 복원하였다.

    성벽에 나부끼는 깃발에 령(令), 순시(巡視)  등의 글씨가 보인다. 군사들의 서릿발 같은 기상, 부국강병, 왕권강화 등을 상징한다.

    어시스트님에서 빌려온 청허정(淸虛亭), 청허정은 해미읍성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이곳에 올라서면 천수만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과거 시회를 하거나 문인들이 시를 읊었던 곳이다. 청허(淸虛)라는 뜻은 "참된 생각이 없어 마음이 말고 깨끗하다"라는 뜻이다.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부임한 조숙기(曺淑沂, 1434-1509)가 성종 22(1491)에 세웠다

     

     

    청허정차운정이절도(淸虛亭次韻呈李節度, 청허정에서 차운하여 이손(1439~1502) 절도사에게 증정하다) /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

     

     

    조란근대백운전(欄近對白雲) 아름답게 꾸민 난간 구름위로 뻗어있고

    자갑창염옹후전(紫甲蒼髥擁後前) 붉은 갑옷입고 회색수염을 쓰다듬는다

    원수연연요격해(娟娟遙隔海) 아득히 바다너머 산들은 아름답게 보이고

    평원막막담생연(平原漠漠淡生烟) 아스라이 들판에선 안개가 피어오른다

    주변가공병삼만(邊可控兵三萬) 변방의 군략을 세워 삼만의 병사를 거느리고

    무경료변주십천(景聊酒十千) 절경에 도취되어 술잔을 만병이나 비웠다

    완대경구무일사(緩帶輕無一事) 일없어 갑옷 벗고 허리띠를 푸니

    향응화극일여년(香凝畵日如年) 향기가 창끝에 엉 키어 하루가 일 년 같다

     

    **: 새길 조, 독수리 조, : 꼭대기 전, : 구렛나루 염, : 안을 옹, :산굴 수, : 헤아릴 주, 투호살 주, : 당길 공, : 어루만질 무, : 쓸 변, : 느릴 완, : 가죽옷 구, : 창 극

    '문화 culture > 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아라메길  (0) 2023.06.22
    청송심씨 송소고택  (2) 2023.05.28
    고성 왕곡(旺谷)마을  (2) 2022.11.27
    고성 청간정(淸澗亭)  (2) 2022.11.25
    국립청주박물관  (2) 2022.11.2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