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양 학사루와 상림공원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24. 5. 21. 15:52
몇 년을 빼물다 기회가 닿은 학사루(咸陽 學士樓)는 그러나 안타깝게도 부처님오신날 행사 준비로 입장이 어려운 데다가 전세버스 잠깐 세울 만한 공간도 없어 차창 밖으로 기웃거렸다. 김종직이 아들 잃은 슬픔을 이기기 위해 심었다는 천연기념물 407호 느티나무도 물론 볼 수가 없었다. 학사루는 천령태수를 지낸 최치원이 자주 올라 시를 지은데서 유래하였다. 김종직이 이곳 군수로 있을 때 학사루에 걸린 유자광의 시를 내리도록 한 것이 원인이 되어 무오사화(1498)가 일어났다고 한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2층 누각으로, 지붕 옆 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경남유형문화재 90호.
학사루 중수 1795년 안의현감 연암 박지원이 함양군수 윤광석의 부탁으로 쓴 함양군학사루기(咸陽郡學士褸記)에 “고을 사람들은 고운 선생을 사후 호칭인 최문창후(崔文昌候)라 부르지 않고 반드시 생전의 호칭인 학사(學士)로 불렀으며, 송덕비를 세우지 않고 누각에 그 이름을 붙였다. 그것은 그가 신선이 되었다는 말을 믿지 않고 이 누각 안에서 서로 만날 듯이 여겼기 때문이다.” 학사루는 최치원, 김종직, 박지원 3대 명환(名宦)의 자취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이다. 김재웅도의원. 연합뉴스 참조.
상림의 고목
이게 뭘까요? 모야모에선 윤노리라는 답변이 올라오고, 인디카에서는 답급이 없고...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장미과 윤노리나무속(미국과 중국에선 홍가시나무속)의 낙엽할엽관목 으로 높이5.m .남부지역 산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름이 흥미로운데 윷놀이의 윷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한데서 비롯되었다. 소리나는 대로 적으니 더욱 어려운 이름이다. 나무 재질이 단단해서 소(牛) 코뚜레로 사용하여 우비목(牛鼻木)이라고도 불려진다. 뿌리를 모엽석남근(毛葉石楠根)이라 부르며 설사에 효과가 좋다. 10월에 빨갛게 익는 열매는 새들의 먹이로 적당하다. 떡잎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는 해안가에 자라며 윤노리나무에 비해 잎자루가 짧다. 꽃말이 전통이라니 상림공원과 딱 맞아 떨어진다.
함양 상림공원(=최치원공원)의 사람주나무, 나도밤나무.
사운정(思雲亭)은 경유림과 정3품 박정규, 김득창이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857~908))을 추모하기 위하여 1906년(고종46)에 건립
문창후최선생신도비(文昌侯 崔先生神道碑), 신라 진성여왕(887-897)때 천령군(함양) 태수였던 최치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23년 문중에서 세웠다. 자는 고운, 해운, 시호는 문창. 당나라 유학중 빈공과에 합격하여 중국에서 활동하다가 신라로 돌아와 태산현(정읍), 부성현(서산), 천령현(함양) 태수, 해인사에 은거하다 종적을 감추었다. 상림은 태수시절 민심을 바르게 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둑을 쌓고 나무를 심었다고 전한다.
함양 이은리석불, 경남유형문화재 32호
유서 깊은 상림에 웬 흰개미? 흰개미=일본흰개미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 1968. 일본 한국 분포. 바퀴목 흰개미과. 일개미(worker)는 몸이 희고 병정개미(soldier)는 턱이 발달되어 있어 구분이 된다. 군비(Swarm) 즉 짝짓기 비행에 필요한 날개 달린 개미는 유시충(alate)이라 하며 생식개미다. 날개가 붙은 생식개미 몸은 검은색이다. 나무를 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나 주로 부식된 나무를 먹는다. 마른나무흰개미(drywood termite) 대표 종은 크립토털미스 도메스티쿠스(Cryptotermes domesticus)이다. domesticus는 애완동물, 집안의 뜻이다.
원앙부부
추야우중(秋夜雨中) / 최치원
秋風唯苦吟(추풍유고음) 가을 바람에 오직 괴로운 마음으로 읊조리니
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 세상에 나를 아는 사람이 적구나.
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 창 밖에 밤 깊도록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등불 앞에는 만 리를 향한 마음만이 서성이네.
'문화 culture > 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박물관 (7) 2024.07.20 영동 성장환고택(永同 成章煥 古宅) (2) 2024.06.11 전주 풍남문 豊南門 (0) 2024.04.04 산청 남사예담촌 (0) 2024.03.19 종묘(宗廟)엘 가보자 (4) 2024.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