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
서향(瑞香) Daphne odor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14. 2. 25. 13:13
2월 22일 혼슈 시즈오카의 오차노사토 녹차박물관 인근 주택지에서 만난 서향. 2월 15일 부여 백제원에서 만난 서향. 서향(瑞香) Winter Daphne. 팥꽃나무과의 상록성 관목. 학명 Daphne odora. 중국 원산. 속명인 Daphne는 희랍의 여신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종명이 odora인 것처럼 꽃에 향기가 있는데 향기가 천리를 간다는 의미로 천리향(千里香), 좀 더 과장하여 만리향이라 할 정도로 향이 강하다. 송나라 도곡이 쓴 《청이록(淸異錄)》에 의무려산(醫巫閭山)에서 수도하고 있던 한 여승은 꿈속에서 복 이를 찾아내어 수화(睡花)라고 불렀는데 사람들이 상서로운 꽃이라 여겨 집집마다 심으면서 서향화(瑞香華)라고 불렀다. 1254년 《보한집(補閑集)》에 처음으로 서향화(瑞香花)가 등장한..
-
삼지三枝닥나무 Oriental Paper Bush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14. 2. 18. 11:05
팥꽃나무과 삼지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 ~ 2m. 성함은 닥나무지만 팥꽃나무과이며 중국 원산의 낙엽관목이다. 학명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Edgeworthia papyrifera. 종명 ‘papyrifera’에는 종이란 뜻이 들어 있어서 종이 만들기에 쓰이는 나무임을 나타내고 있다. 황서향나무, 삼아나무라는 이명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막질이며 넓은 피침형이고 털이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열매는 수과이고 달걀모양의 6월 초에 성숙한다. 한방에선 몽화(夢花)라는 생약명으로 靑盲(청맹-녹색색맹), 角膜白斑(각막백반), (예장-각막박예), 多淚(다루-淚液分泌過多症(누액분비과다증)), 羞明(수명-시신경이 쇠약하여 빛을 싫어하는 증상), 夢精(몽정), 虛淋(허림)..
-
팥꽃나무 Daphne genkw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14. 2. 18. 11:03
팥꽃나무 Daphne genkwa, 높이 1m.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거수(去水), 두원(杜元), 원화(芫花), 다프네(Daphne)는 희랍신화에 나오는 아폴론의 끈질긴 구애를 피하여 월계수가 되어버린 아름다운 여신 다프네에서 따왔다. 꽃은 3 ~ 5월에 개화하며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전년지 끝에서 3 ~ 7개씩 산형으로 달린다. 팥을 심는 시기에 팥과 비슷한 색깔의 꽃을 피운다 하여 팥꽃나무, , 이때쯤 조기가 잘 잡힌다 하여 조기꽃나무라고도 한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백색이며 투명하고 잘 결실되지 않는다. 조기꽃나무, 이팥나무라고도 하는데 수수꽃다리와 흡사하다. 팥꽃나무라는 향명으로 부르기도 하니 혼동하기 쉬울 듯. 팥꽃나무는 잎과 동시에 꽃이 나고 수수..
-
서향 瑞香 Daphne odor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13. 3. 11. 23:02
서향(瑞香) Winter Daphne. 팥꽃나무과의 상록성 관목. 학명 Daphne odora. 중국 원산. 속명인 Daphne는 희랍의 여신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종명이 odora인 것처럼 꽃에 향기가 있는데 향기가 천리를 간다는 의미로 천리향(千里香), 좀 더 과장하여 만리향이라 할 정도로 향이 강하다. 송나라 도곡이 쓴 《청이록(淸異錄)》에 의무려산(醫巫閭山)에서 수도하고 있던 한 여승은 꿈속에서 복 이를 찾아내어 수화(睡花)라고 불렀는데 사람들이 상서로운 꽃이라 여겨 집집마다 심으면서 서향화(瑞香華)라고 불렀다. 1254년 《보한집(補閑集)》에 처음으로 서향화(瑞香花)가 등장한다. 1316년 고려 충숙왕이 원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다가 귀국할 때 가져왔다. 《양화소록》에는 서향화를 두고 “한 송이..
-
팥꽃나무 Daphne genkw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08. 4. 28. 20:50
팥꽃나무 Daphne genkwa, 높이 1m.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거수(去水), 두원(杜元), 원화(芫花), 다프네(Daphne)는 희랍신화에 나오는 아폴론의 끈질긴 구애를 피하여 월계수가 되어버린 아름다운 여신 다프네에서 따왔다. 꽃은 3 ~ 5월에 개화하며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전년지 끝에서 3 ~ 7개씩 산형으로 달린다. 팥을 심는 시기에 팥과 비슷한 색깔의 꽃을 피운다 하여 팥꽃나무, , 이때쯤 조기가 잘 잡힌다 하여 조기꽃나무라고도 한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백색이며 투명하고 잘 결실되지 않는다. 조기꽃나무, 이팥나무라고도 하는데 수수꽃다리와 흡사하다. 팥꽃나무라는 향명으로 부르기도 하니 혼동하기 쉬울 듯. 팥꽃나무는 잎과 동시에 꽃이 나고 수..
-
삼지(三枝)닥나무 Edgeworthia papyrifer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08. 2. 25. 21:31
삼지닥나무에 은빛 꽃봉이 많이도 역광에 귀엽게 매달렸다.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중국 원산이다. 목질부가 쉽게 꺾어지는 것과는 달리 껍질에는 인피섬유(靭皮纖維)라는 질기고 튼튼한 짧은 실 모양의 세포가 들어 있다. 죽을 때 제 이름 부르고 죽는 나무는? 닥나무, 질긴 껍질을 옛 사람들이 닥이라고 하는데 닥을 얻는 나무란 뜻으로 닥나무가 되었다. 며칠 뒤면 노란 꽃이 줄렁줄렁 앞다투어 보란 듯이 피어날 것이다. 닥나무이니 종이의 원료가 될 것이고 가지가 3개씩 갈라지므로 삼지닥나무라고 하였다. 한방에서는 어린 가지와 잎을 구피마(構皮麻)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마비 동통과 타박상,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팥꽃나무과 삼지닥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 ~ 2m. 성함은 닥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