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
물오리나무 Manchurian alder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2. 11. 26. 15:49
물오리나무 Manchurian alder 산오리나무, 털물오리나무.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20m. 잎은 어긋나며 겹톱니가 있다. 잎 뒷면이 회백색이며 갈색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3-4개씩 달리며 밑으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3-5개가 달린다. 열매는 흑갈색으로 익는다. 계족산. 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454 물오리나무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4393 사방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54 두메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09 산(山) / 김소월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산새는 왜 우노,..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vii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2. 6. 5. 21:20
소사나무 Korean Hornbeam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소교목으로 특산종, 학명 Carpinus turczaninovii. 서어나무(西木) 보다 작다고 小西木가 소서에서 소사로 변했다. 마니산 단군 제사 터에 천연기념물 502호가 있다. 뿌리껍질을 대과천금(大果千金)은 피로와 무력증에, 타박상, 종기, 소변불량에 사용한다. 분재로 애용된다. 소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85 http://ktk84378837.tistory.com/134 서어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795 http://ktk84378837.tistory.com/5386
-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2. 5. 28. 18:17
물박달나무 black birch. 소단목(小檀木),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학명 Betula davurica Pall. 높이 20m, 잎은 어긋나기이며 달걀모양이고 이중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녹색이며 뒷면에는 지점(脂點)이 많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황록색이고 7 ~ 8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잎자루는 털이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피며 수꽃차례는 아래로 처지고 암꽃이삭은 곧게 선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회색이고 흰 선점이 있고 잘게 갈라져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물에 젖어도 불에 잘 탄다. 열매는 9월 하순에 익으며 10월에 떨어진다. 계족산. • 자작나무 : 나무껍질이 백색이다. • 사스래나무 : 나무껍질은 회적갈색,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
자작나무 Japanese White Birch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2. 3. 8. 09:23
나무를 태울 때 자작 자작 소리가 난다고 자작나무랍니다. 북한에서는 봇나무라 하고, 한자어로는 백화수(白樺樹)라 부릅니다.'닥터 지바고'에서 시베리아 평원에 펼쳐진 자작나무 숲을 보고 입을 쩌억 벌린 적이 있었지요.'아름다운 인생'에서 나누던 톨스토이 노부부가 거닐던 자작나무 숲도 눈에 선해요. 파랭이님이 모스크바에서 담은 사진을 봐도 자작나무 펼쳐진 정원이 참 멋졌어요. 어느 글에 결혼식을 뜻하는 말로 자작나무 樺가 빛날 華로 변한 화촉(華燭)을 밝힌다 하는데, 초가 귀하던 시절 자작나무에 불을 붙여 어둠을 밝히고 행복을 빌었다는 데서 유래를 찾는군요. 급체 설사에 찾는 정로환(征露丸)에 얽힌 이야기가 있습니다. 러일전쟁때 만주를 거쳐 시베리아로 진출하던 일본군이 설사로 죽어나가자 자작나무에서 추출한 ..
-
물개암나무 Manchurian hazel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1. 8. 18. 13:15
처음 만난 물개암나무는 앗 대한민국 땅에 웬 나무늘보? 볼케이노의 징조라도 있었던 걸까 정글을 쓸어버리겠다는 화마라도 달려온다던가 한두 마리도 아닌 떼거지로 엉금거리는데 아무리 바둥거려도 내내 제자리다 거꾸로 매달려 있기만 한다. 거꾸로 봐야 제자리다 세상은 그렇다... 개암나무는 개+밤나무>개얌나무>개암나무가 되었다. 전라도 충청도에서는 깨금나무라 부른다. 이 중에 물개암은 습기 많은 골짜기에, 개암나무는 매마른 야산에 산다. 물개암나무 Manchurian hazel 모진(毛榛), 호진자(胡榛子),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2-5m 정도. 잎은 넓은 거꿀달걀모양이며 윗부분에 결각이 있고 7-9쌍의 측맥과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과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3월에 피..
-
사방오리(砂防五里)나무 Alder tree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1. 4. 26. 10:24
옛날에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5리(五里)마다 이 나무를 심었다. 하여 오리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니 우습기도 하지...3공때는 헐벗은 산에 사방 사업용으로 많이 심었기에솔잎까지 갈쿠리로 걷어가니 걸핏하면 산 사태가 일어났는데 당연 줄었다.오리나무 덕에 땔감 걱정도 많이 줄었다.이 오리나무 위로 이름 모를 새가 꺼이꺼이 울어댄다.삼수갑산 가는 길은 그리 녹녹하지만은 않았다. 사방오리나무 japanese green alder, 학명 Alnus firma ,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7m, 잎은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거치가 불규칙하고 측맥(側脈)은 5∼10쌍이다. 3월에 꽃이 피며 웅화수(雄花穗)는 가지 끝에 3∼6개씩 밑으로 처지며 원주형이고 꽃이 많이 달린다. 수꽃은 수술은 5개이..
-
개암나무 Siberian Hazel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10. 3. 31. 08:20
개암나무 Hazel 깨금, (榛, 榛樹), Siberian Hazel, 榛, 산반율, 진율,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는 약간 갈라졌으며, 갈라진 곳은 잔톱니처럼 되어 있다. 잎의 길이와 너비는 5~12cm 정도이며, 꽃은 암꽃과 수꽃이 잎이 나오기 전에 따로따로 핀다. 밤보다 조금 못하다는 뜻으로 ‘개밤’이라고 불리다가 ‘개암’이 되었다. 개암은 단백질과 당분이 풍부하여 맛이 고소하며, 지방이 많아 기름을 짜서 식용유로 이용하는 만큼 훌륭한 야생 견과다. 진자(榛子)라고 하며 이는 기력을 돕거나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데 쓰인다. 수꽃이삭 또는 화분을 민간에서 부스럼, 단독, 습진, 화상, 동상, 젖앓이, 타박상 등에 외용하고 간염복수, 신염부종에 쓴다. 잎 ..
-
서어나무 Japanese Loose-flowered Hornbeam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09. 10. 25. 22:26
서어나무 Japanese Loose-flowered Hornbeam, Red-Leaved Hornbeam, 학명 Carpinus laxiflora,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서목(西木)의 우리말이 서나무였는데 서어나무가 된 것으로 짐작한다. 높이 15m, 잎은 타원형이며 어긋나기로서 붉은빛이 돌다가 녹색으로 되며 붉은 단풍으로 물든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잎보다 먼저 4~5월에 피며 수꽃은 각 포에 1개씩 적황색을 띠고 피며 수술은 8개이다. 암꽃차례는 새 가지끝에 나고 열매는 넓은 달걀꼴로 10월에 성숙한다. 서어나무는 아무래도 독특한 수피에 먼저 눈이 가기 마련이다. 서어나무와 아주 비슷한 개서어나무가 있다. 잎 끝이 꼬리처럼 길고 표면에 털이 없는 것이 서어나무, 잎 끝 꼬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