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4. 28. 10:19
당매자나무 Poiret Barberry, 학명 Berberis poiretii,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당소벽(唐小檗), 소얼(小櫱), 산석류(山石榴), 중국매자. 높이는 1.0-1.5m. 잎은 어린가지에서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뭉쳐난다. 4~5월에 노란 꽃이 앞면에 붉은색을 띠며 열매는 9월에 타원형으로 붉게 익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삼과침(三顆針)이라고 하는데 이질, 장염, 황달, 후두염, 안구 충혈 등에 효과가 쓴다. 산매자나무는 진달래과이니 혼동하지 않도록.매자나무 구분 http://ktk84378837.tistory.com/268 당매자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299 일본매자 & 당매자 http://ktk84378837.tis..
-
깽깽이가 피었습니다 Twin leaf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3. 26. 20:19
깽깽이풀 Twin leaf,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황련, 산련풀, 학명 Jeffersonia dubia.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다년초. 지구상에 딱 2종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있고, 북미 원산의 미국깽깽이풀이 있다. 높이 20cm.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나며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다. 충매에 의한 번식을 하는데 씨앗을 개미가 개미굴로 가져가 씨앗에 붙은 달콤한 엘라이오솜을 먹고 버리므로 자연스럽게 싹이 돋는다. 한방에서는 모황련(毛黃蓮)이라 하여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惡心), 장염, 설사, 구내염, 안질 등에 처방한다. 깽깽이풀 http://ktk84378837.tistory.com/3433 http://ktk84378837..
-
깽깽이풀 Dubia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3. 23. 22:34
깽깽이풀 Twin leaf,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황련, 산련풀, 학명 Jeffersonia dubia.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다년초. 지구상에 딱 2종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있고, 북미 원산의 미국깽깽이풀이 있다. 높이 20cm.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나며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다. 충매에 의한 번식을 하는데 씨앗을 개미가 개미굴로 가져가 씨앗에 붙은 달콤한 엘라이오솜을 먹고 버리므로 자연스럽게 싹이 돋는다. 한방에서는 모황련(毛黃蓮)이라 하여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惡心), 장염, 설사, 구내염, 안질 등에 처방한다. 이름 참 묘하다. 깽깽이?늘 궁금한게 직업병인지 그 유래가 궁금하다.지금도 악기나 악기를 다루는 사람들을 ..
-
빗물 먹은 남천(南天) Nandina domestica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1. 21. 15:16
중국 남천지방에서 발견되어 남천인 이 나무는 http://cafe.naver.com/rimga.cafe 의 나무그늘님의 해설이 가장 신뢰가 간다. 신선이 먹는 식품으로 잎을 쌀에 섞어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고 노인이 젊어지기 때문에 성죽(聖竹)이라 불린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정초에 열매가 달린 남천나무를 사서 사당이나 집을 장식하며 노인에게 선물하기도 한다. 남천가지로 젓가락을 만들어 사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고 믿는다. 일본에서는 남천나무 잎이 해독과 부패방지 작용을 한다고 생각하여 생선회 밑에 무채와 함께 깔거나 집안 경사 때 짓는 팥찰밥 위에 얹어 다른 집에 보내기도 한다.열매는 겨울의 보석이라 할 만큼 영롱한 붉은 색을 자랑한다. 또다른 아름다움은 3월이 되어 다른 나무들의 마른가지에서 파릇파릇한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