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23. 7. 3. 19:06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갯골무꽃. 한신초(韓信草), 꿀풀과 골무꽃속의 다년초. 높이 40cm.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둥글며 양면에 털이 다소 있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상부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밑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서고 수술은 4개이다.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모서리를 따라 위를 향해 잔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분과이며 둥근 돌기가 있다. 유사종인 왜골무꽃은 털이 약간 있고 능선에만 위를 향한 털이 있다. 한밭수목원. 골무 / 오정방 한 번이라도 껴본 적이 있는가 귀..
-
금창초 金瘡草 Ajuga decumbens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23. 4. 26. 14:01
금창초(金瘡草) decumbent-bugle.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라 난 자리에서 또 나는 끈질긴 녀석이다. 내장금란초. 근골초(筋骨草), 산혈초(散血草), 백혈초(白血草), 섬자란초, 가지조개나물, 학명 Ajuga decumbens Thunb. 금창초의 창은 부스럼을 뜻하는 말이니 그 약효를 보자. 금창초(金瘡草)는 부스럼(瘡) 난 곳에 쓰는 풀이라는 뜻이고, 한방에서는 백모하고초라해서 기침, 천식, 해열재, 부스럼, 종기에 사용한다. 보라색 금창초와는 달리 분홍색 꽃을 피우는 내장금창초는 내장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붙인 이름이다. 선암사.
-
사루비아 salvia officinalis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22. 9. 12. 22:08
사루비아 salvia officinalis L. 깨꽃, 약불꽃, 서미초(鼠尾草 쥐꼬리풀). 유럽, 남미 브라질 원산의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높이90cm. 늦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작고 뾰족한 꽃이 꽃줄기에 이어 나며 핀다. 꽃은 6-10월 붉은색에서 보라색, 분홍색 등 다양하며 종류는 50여 종에 이른다. 아랫입술이 위입술보다 짧으며 세 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 숙근샐비어는 보라색꽃이다. 옥천 샐비어 곁에서 / 이기철 혈서가 아니라서 안심한다짚동에 다가가면 화근(火根)이다와옥(瓦屋) 한 채사 금방 불태운다연두에서 분홍으로 분홍에서 또 선홍으로 굽이치다가그래도 안 되면 잉걸불이다그런데 왜 그 아래 새똥도 타지 않지?그렇다, 샐비어딴 사람이 다 쓴 말은 쓰지 말라고비 오는 날 너는 내게 말했지내일은 ..
-
콜레우스 Coleus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22. 8. 31. 22:11
콜레우스 크림슨 골드 Coleus × hybridus 'Crimson Gold' 꿀풀과. 아시아 아프리카 원산. coleus’는 그리스어 koleos에서 유래하며 칼집이나 덮개의 뜻이 있어 콜레우스속의 꽃 수술이 모여 있는 모양새에 따라 ‘수술이 합쳐져 있다’는 뜻이다. 꽃은 두 장의 잎술꽃잎으로 되어 있어 작고 푸른색이며 8-9월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개화한다. 꽃보다 잎이 화려하다. 콜레우스 트리소이데우스 역시 키가 1m에 달하며, 7cm 정도의 밝은 푸른색 꽃을 피운다. 이 밖에 다른 식물들은 ‘flame nettle’, ‘painted leaves’, painted nettle’, ‘Spanish thyme’, ‘Indian borage’, ‘country borage’, ‘flowering b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