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무지개 double rainbow풍경 landscape 2023. 7. 26. 21:11
장마가 주고간 상처도 크고 많았지만 좀 미안했던지 물러나면서 선물을 놓고 갔다. 좀처럼 보기 어려운 쌍무지개다, 24mm 렌즈 프레임에 다 들어오지 않을만큼 가까이에 무지개다리를 놓은 것이다. 무지개가 완벽한 아름다움을 지녔기에 홍예(虹霓)라고 부른다. 워즈워드의 시에서처럼 내 가슴은 한참을 뛰고 있었다. 서양말로는 아치(arch)형이다.
쌍무지개에서 밝고 고운 쪽을 수무지개, 엷고 흐린 쪽을 암무지개라고 부른다. 믈>물, 물+더위>무더위에서 처럼
믈+지게>믈지게>므지게>무지게>무지개
무지개'의 어원 / 홍윤표(洪允杓) / 연세대학교
무지개'를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나타내는 반원 모양의 일곱 빛깔의 줄'이라고 사전적 풀이를 하면, '무지개'가 우리에게 주는 아름다운 연상이 사라질 정도로 '무지개'는 아름다운 우리말이다. 국어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하면 '무지개'가 '물'과 '지개'로 분석될 수 있다는 사실에 언뜻 수긍하지 못할 것이다. '무지개'는 원래 '물'과 '지개'의 합성어인데, '불지불식(不知不識)'이 '부지불식'이 되듯, 'ᄌ' 앞에서 'ᄅ'이 탈락하여 '무지개'가 되었다고 하면, '물'은 이해가 되겠는데 '지개'는 무엇이냐고 물을 것이다.
1103년에 편찬된 『계림유사』에는 '虹曰陸橋'(무지개를 육교라고 한다)라고 하여 '무지개'인 '홍'(虹)의 우리말 발음을 표시하지 않고 그 뜻을 한자어로만 표시하고 있어서 '무지개'에 대한 12세기 초의 형태를 알 길이 없다. 처음 보이는 형태는 '므지게'인데 15세기의 『용비어천가』나 『석보상절』과 같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문헌에 등장한다.西方애 힌 므지게 열 둘히 南北으로 여 잇더니 <석보상절(1447년)> 내 百姓 어엿비 너기샤 長湍 건너싫제 힌 므지게 예 니이다 <용비어천가(1447년)>
'므지게'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물'(水)의 15세기 형태인 '믈'에 '지게'가 합쳐진 것인데, '지게'의 'ᄌ' 앞에서 '믈'의 'ᄅ'이 탈락한 것이다. '무지개'에 '물'이 관계되는 것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게'는 등에 짐을 질 때 사용되는 '지게'는 아니다. '지게'는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제주 지역에서 '지게문'('노형, 조수, 인성, 서홍, 김녕' 지역) 또는 '구들셋문'('가시' 지역)이라고 말하는, '짝문'(오른쪽과 왼쪽의 두 문짝으로 이루어진 문)을 뜻한다. 한자로는 '문'(門)이나 '호'(戶)를 '지게'라고 하였지만, '門'보다는 '戶'를 지칭하는 것에 많이 쓰이었다.
문 호(戶) <신증유합(1576년)> 지게 호(戶) <석봉천자문(1583년)> 지게 문(門) <백련초해 중간본(17세기)>
'문'(門)은 '대문이나 정문' 등의 문을 뜻하지만, '호'(戶)는 이보다는 작은 문을 일컫는 말이었다. 이 문의 윗부분이 대개 무지개의 윗부분처럼 둥근 타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무지개를 '물로 된 문'으로 명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므지게'가 음운변화를 겪은 결과로 '무지게, 므지개, 무지개' 등의 형태가 생겼다.
'므지게'에서 '므'의 'ᅳ'가 원순모음화를 겪어 '무지게'가 된 것은 17세기이다.큰 믈이 급히 드러와 동대문 길히 막히고 무지게 엇더라<산성일기(1636년)> 무지게() <몽유편(1768년)> 무지게(虹) <방언유석(1778년)> 빗츨 게 샹셰 이에 녕고의 무지게 흐르던 졀의 이시니 <윤음(1784년)>
'무지게'에 보이는 '게'의 '에' 모음이 어두음절이 아닌 곳에서 중화되어 '에'가 '애'로 변화해서 오늘날의 형태인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무지개 홍(虹) <정몽류어(1884년)> 무지개 홍(虹) <부별천자문(1913년)> 무지개 홍(虹) <통학경편(1916년)>
결국 '믈(水) + 지게(戶)'가 합쳐져서 '믈지게'가 되었던 것이 'ᄌ' 앞에서 'ᄅ'이 탈락하여 '므지게'가 되고(15세기에 이미 나타난다) 이것이 원순모음화를 일으켜 '무지게'가 되고(17세기), 이것이 다시 '에'와 '애'의 중화 현상으로 '무지개'가 된 것이다(19세기).
연지에 내리는 오란비(장맛비)
오란비는 장마의 우리 고유어로 두시언해(분류두공부시언해)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당나라 두보의 시를 번역한 두시언해는 1481년에 나온 초간본과 1632년에 나온 중간본이 있어 15세기와 17세기 한글음운변천과정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다.
天涯歇滯雨(천애헐체우) 粳稻臥不飜(갱도와불번)
하ᄂᆞᆳ ᄀᆞᅀᆡ 오란 비 歇ᄒᆞ니 볘 므레 누워 두의티디 몯ᄒᆞ얫도다
-출전 分類杜工部詩卷之十六(분류두공부시 권16)
-해석 ; 하늘 가에 장마 그치니 벼가 물에 누워 번드치지 못하였도다
'풍경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불루문 Super Blue Moon (0) 2023.08.31 코스모스와 여뀌가 있는 바닷가 (0) 2023.07.31 봉정사 구상나무 Abies koreana 와 통일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0) 2023.07.10 다슬기잡이 (0) 2023.06.29 최초의 슬로시티 창평 삼지천마을 (0) 202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