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k8837 2023. 3. 4. 21:44

꽃잎이 밀납 모양의 매화라 하여 납매(蠟梅), 섣달에 피는 매화라 하여 납매(臘梅).

납매 臘梅 Wintersweet,. 학명 Chimonanthus praecox 'Luteus'. 소심납매(素心蠟梅), 납매(蠟梅), 당매(唐梅), 눈 속에서 노란꽃 피우는 황설리화(黃雪裏花), 답설화, 황매(黃梅), 납매과였다가 받침꽃과로 바뀌었다는 말도 있고 녹나뭇과로 분류한 곳도 보인다. 중국 원산. 납(臘)은 섣달을 가르키고 납매는 섣달에 피는 매화라는 뜻이다. 꽃은 1∼2월에 암꽃과 수꽃이 별도로 한그루에 피는데 잎보다 먼저 핀다. 그러나 장미과의 매화와는 다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금강수목원.

 

 

납매 蠟梅 / 양만리楊萬里(南宋, 1127-1206)

 

 

江梅珍重雪衣裳(강매진중설의상강변의 매화는 눈옷을 진기하고 소중히 여기고

薄相紅梅學杏裝(박상강매학핵장) 천박한 모습의 홍매는 살구꽃 차림을 배웠네

渠獨小參黃面老(거독소참황면로너 홀로 부처님을 닮아서

 額間艶艶發金光(액간염염발금광) 이마에 곱디고운 금빛이 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