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
국립부여박물관 탐방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11. 12. 21:56
국보 제287호 금동대향로는 백제문화를 상징하는 최고의 걸작이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모작이 있다.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盧)는 백제에서 520~534년 사이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 향로는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후 정치적 안정을 되찾은 6세기 초의 백제인들의 정신세계와 예술적 역량이 함축되어 이루어진 백제공예품의 진수라 할 수 있다. 전체 높이가 61.8cm이며 용 모양의 향로 받침, 연꽃이 새겨져 있는 향로의 몸체, 산악도가 솟아있는 향로 뚜껑, 뚜껑 위의 봉황 장식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황과 향로 뚜껑은 하나의 주물로 제작되어 있어, 제작 과정에서 세 개의 주물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로 본체의 가운데 테두리의 구름 문양 아래에는 연꽃이 핀 연못이 있고, 그 위인..
-
국화로 물든 궁남지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11. 12. 21:52
궁남지 근처에 사는 과부가 용(=왕)과 통정하여 낳은 아들이 서동이라는 연고 때문인지 서동공원으로 개명. 백제의 서동(薯童:백제 무왕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민요 형식의 노래가 서동요이다.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화(說話)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조(武王條)에 실려 전한다. 즉, 무왕이 어릴 때 진평왕의 셋째딸인 선화공주(善花公主)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사모하던 끝에 머리를 깎고 중처럼 차려 신라 서울에 와서 마[薯]를 가지고 성 안의 아이들에게 선심을 쓰며 이 노래를 지어 그들에게 부르도록 하였다. 내용은 선화공주가 밤마다 몰래 서동의 방을 찾아간다는 것인데, 이 노래가 대궐 안에까지 퍼지자 왕은 마침내 공주를 귀양보내게 되었다. 이에 서동이 ..
-
국보 제9호 정림사지오층석탑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11. 12. 21:49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2 기만 남아 있는 백제시대의 석탑. 높이 833㎝. 석탑의 구조는 기단 위에 탑신부가 있고 상륜부는 복발을 제외하고는 모두 없어졌다. 기단은 단층으로 얕으며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어 있다. 1층 탑신은 4개의 우주를 별석으로 세우고 그 사이에 2매의 면석을 끼웠는데, 우주는 목조건축의 기둥에서처럼 위는 좁고 아래는 넓게 표현되어 있다. 2층의 옥신 높이가 현격히 줄어들었지만 3층부터는 체감률이 완만하다. 옥개석은 얇고 넓으면서 끝이 약간 반전되어 있고, 층급받침은 2단으로 얕게 표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림사지 탑은 큰 규모의 석조물이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주며, 마치 다층누각 형태의 목조건물을 보는 듯하다. 일본는 호류사[法隆寺] 5층탑과도 비교된다..
-
부여 부소산성(扶餘扶蘇山城)과 고란사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11. 12. 21:46
삼충사 - 백제충신 성충, 흥수, 계백을 모신 사당 군창지. 군창지 맞은편의 영일루. 석파정 https://ktk84378837.tistory.com/4956 영일루 http://ktk84378837.tistory.com/6188 옥류각 http://ktk84378837.tistory.com/8279 함벽정 http://ktk84378837.tistory.com/7148 고란사(高蘭寺, 皐蘭寺). 부소산(扶蘇山)에 있는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백제의 멸망과 함께 소실된 것을 고려시대에 백제의 후예들이 삼천궁녀를 위로하기 위해서 중창하여 고란사(高蘭寺)라 하였다. 이곳에서 처음 발견되어 고란초 이름이 유래된 식물도 있고(고란초 https://ktk84378837.tistory.com/4139), 辜蘭..
-
국내유일의 일본식 사찰 동국사(東國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6. 26. 22:32
동국사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일본식 사찰이다. 일본 조동종(曹洞宗) 승려 우치다[內田佛觀]가 1909년 8월 군산의 외국인 거주지에 세운 포교소 금강선사[금강사]에서 출발한다. 1955년에는 '불교 전북 종무원'에서 인수하여, 김남곡[1913~1983]이 이제부터는 ‘우리나라[海東國] 절이다’는 뜻으로 '동국사'로 등기를 내고 선운사에 등록하였다. 등록 문화재 제64호인 대웅전은 건축 자재를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사찰과 달리 승려들의 거처인 요사와 복도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정면 5칸, 측면 5칸의 정방형 단층 팔작 지붕 홑처마 형식의 대웅전은 일본 에도 시대 건축 양식으로 외관이 무척 단조롭다. 지붕 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 외벽에 창문이 많으며, 용마..
-
구례 사성암(四聖庵)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3. 23. 21:08
약사전인 유리광전(琉璃光殿) 사성암은 구례 오산(鰲山)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화엄사의 말사로서, 백제 성왕 22년(544년)에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창건하고 난 이듬해에 이곳 사성암(四聖庵)을 창건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오산사(鰲山寺)로 불리었으나, 그 후 원효대사, 의상대사, 도선국사, 진각국사등 4명의 고승들이 이곳에서 수도를 하였다 하여 사성암(四聖庵)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사성암의 기록에 의하면 오산이 금자라 형국이어서「금오산」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바위를 뚫고 나온 듯한 '약사전'과 바위 위에 살짝 얹어 놓은 듯 단아한 '대웅전' 등 모든 구조물이 산과 하나되어 고운 자태를 뽐낸다. 대웅전 옆으로 난 좁은 길을 돌면 아래로 섬진강이 돌아 흐르고 구례읍과 지리산 노고단이 한눈에 들어온다. 사..
-
대전 고촉사(高燭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1. 27. 17:11
고촉사에서 내려다보는 대전시. 고촉사 전경. 가운데 촛대바위가 고촉(高燭)의 근원이다.대웅전과 삼존불 시루봉 올라가다 내려다 본 대웅전과 촛대바위. 왼쪽 하단에 보은 바위동굴 속에 나한전이 있다. 나한전. 나한전을 휘돌아 나가면 신선각이 나타나고 신선상이 객을 맞는다. 곳곳에 배치된 동자승.고촉사 http://ktk84378837.tistory.com/5505 http://ktk84378837.tistory.com/7664청년광장에서 만난 고촉사 신도회장 김창규 씨에 이끌려 시집 자랑을 들으면서 종무소에 들렀다.이번에 를 출간했으니 안 받았으면 한 권 가져가라는 것이다.건양대 송정란 시인이 서평을 쓰게 된 연유는 고촉사 시주자인 건양대 이사장이 왔을 때 부탁한 것이었다고... 하다가 2011년에 낸 ..
-
경주 불국사(佛國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3. 12. 10. 10:26
전신사리(全身舍利)가 된 동방 보정세계(寶淨世界)의 부처 다보여래의 사리를 모신 다보탑(多寶塔). 국보 제20호 다보탑과 석가탑(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제21호)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 높이도 10.29m, 10.75m로 비슷하다. 절내의 대웅전과 자하문 사이의 뜰 동서쪽에 마주 보고 서 있는데, 동쪽탑이 다보탑이다. 다보탑은 특수형 탑을, 석가탑은 우리나라 일반형 석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多寶佛)이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가 설법할 때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게 탑으로 구현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석가탑을 보면 2단의 기단(基壇)위에 세운 3층탑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