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
서산 개심사(開心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6. 4. 21. 18:00
이응노 화백의 스승인 해강 김규진의 서 상왕산 개심사 현판. 충남문화재자료 제358호인 심검당과 보물 제43호인 대웅전. 대웅전은 1484년(성종 15)에 건립한 건물이며, 내부에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심검당은 그 남쪽으로 ㄴ자형의 다른 요사와 함께 연결되어 있고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며, 주심포계양식의 건물로서 그 형태가 단아하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무량수각은 자연석 초석 위에 원주의 기둥을 사용하였고, 포작(包作)은 익공계이며, 처마는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다. 안양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내부의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개심사(開心寺))]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보물 제1..
-
벚꽃이 일품인 공주 마곡사(麻谷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6. 4. 21. 17:34
충남민속문화재자료 제66호인 해탈문 옆에 자리잡고 활짝 핀 벚나무 노거수엔 연등이 주렁주렁. 창덕궁 부용정과 익산 송광사 범종루에서 보았던 십자형 범종루. 충남문화재자료 제62호인 동종이 보인다. 송광사 범종루 http://ktk84378837.tistory.com/7149 창덕궁 부용정 http://ktk84378837.tistory.com/7046 충남 문화재자료 제64호인 명부전. 백범 김구는 명성황후를 시해한 일본군 중좌 살해범으로 인천교도소 복역중 탈옥하여 1896년 이곳에 은거하다가 출가 후 법명을 원종(圓宗)이라 하였다. 백범 김구선생이 은거했던 백범당과 1946년 광복 후 선생이 식수한 것으로 전해지는 향나무. 전면에 보이는 대광보전은 마곡사 중심법당으로 보물 제802호이며 뒤로 보이는 대..
-
구례 화엄사華嚴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6. 3. 24. 21:37
문수동자상. 보현동자상. 금강역사. 동방지국천왕.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 북방 다문천왕. 2023년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求禮 華嚴寺 塑造四天王像)은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求禮 華嚴寺 塑造四天王像)과 함께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 2224호. 420년만에 복원된 범종. 법고루. 왼쪽이 각황전, 오른쪽이 대웅전. 대웅전 현액은 선조의 제8왕자 의창군 광(義昌君 珖,1589~1645)의 필체로 당시 왕실을 풍미하던 한석봉체의 장중한 필법으로 알려져 있다. 국보 제67호인 각황전(華嚴寺覺皇殿). 본래 이 자리에는 2층 4면 7칸의 화엄경을 돌에 새기고 황금장육불상을 모신 장육전을 의상조사께서 조성 하였으나 임진란때 소실 되었다. 조선 숙종 25년(1699)부터 약 4년에 걸쳐 중건 되었으며 정..
-
국보41호인 용두사지 철당간 鐵幢竿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6. 2. 29. 22:46
용주사당간기. 용두사지 철당간(龍頭寺址鐵幢竿, 국보 제41호) 당(幢:법회 같은 행사가 있을 때 절에 다는 기)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한다.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치간(幟竿)·번간(幡竿)·범장(帆檣)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나무·돌·구리·쇠 등으로 만든다. 갑사철당간(甲寺鐵幢竿, 보물 제256호)과 용두사지철당간(龍頭寺址鐵幢竿) 등에 당간이 남아 있으며, 석제당간(石製幢竿)으로는 나주동문외석당간(羅州東門外石幢竿, 보물 제49호)·담양읍내리석당간(潭陽邑內里石幢竿, 보물 제505호) 등이 남아 있다. 그외 대부분의 당간은 파괴되어 지주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김희일(金希一)이 30단의 철통을 주조하고 이어 60척의 당주(幢柱)를 세웠다고 하였으나 지금은 20단..
-
완주 송광사 松廣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6. 2. 21. 22:43
순천 송광사 말고 익산 송광사가 야트막한 종남산 아래 펼쳐 있다. 송광사 개창기에, 고려 보조국사 지눌이 이곳에서 신비로운 샘물을 발견하고 언젠가 절을 세우겠다고 작정하였다. 순천 조계산에 송광사를 세운 뒤 제자들에게 종남산 자락을 가리키며 훗날 길이 번창하는 도량이 설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1622년에 후학들이 절을 세웠으니 지눌이 세운 송광사의 이름을 그대로 따다 붙였다. 일중 김충현이 쓴 종남산송광사 편액이 걸린 일주문을 들어선다. 우관 김종범 서예가의 금강문 현판이 보이고 금강역사(인왕역사라고도 한다)가 눈을 부릅뜨고 있다. 그 힘이 코끼리의 백만 배가 넘는데다 입을 열고 소리를 지르며 사찰문을 지키는 있는 나라연금강과 이를 보좌하는 동자상이 단정하고 고우며 부처의 비밀한 사적을 듣기 위해 입을 ..
-
사적 12호인 공주 공산성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5. 12. 23. 15:07
이제는 세계문화유산의 하나가 된 공산성의 금서루와 공산정. 판축공법으로 쌓았는데 흙을 시루떡을 쌓듯 켜켜이 쌓는 기술이다. 공산성으로 집결된 온갖 지방수령들의 공적비. 이괄의 난 때 인조가 피천시 머물렀다는 충남문화재자료 49호 쌍수정. 처음 이름은 삼가정. 이조 피난시 사적을 기록한 충남문화재자료 35호 쌍수정사적비. 방화용 물을 저장했다고 전해지는 연못.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8호. 2009년에 복원한 영동루. 큰오색딱따구리가 나무껍질속 애벌레를 잡아내고 있다. 500년(동성왕 22) 봄에 왕경인 웅진(熊津)의 궁성 동쪽에 세웠다는 연회장인 임류각(臨流閣). 측면에서 보는 임류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인 명국삼장비. 정유재란 때 공주에 주둔하면서 주민을 편안하게 보호..
-
부여 백제문화단지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5. 12. 23. 11:29
사비궁(泗沘宮)의 정문인 정양문(正陽門), 정양은 하루 중 모든 기운이 가장 왕성한 때를 가린킨다. 중국 베이징(北京)에 있는 쯔진청(紫禁城)의 정문도 정양문이다. 정전의 출입문인 천정문(天政門) 정전인 천정전(天政門), 신년하례식, 외국사신접견 등 국가및 왕실의 중요 행사를 하던 곳이다. 서궁 외전인 인덕전(麟德殿), 태평성대에 나타난다는 기린의 덕을 뜻한다. 서궁 정전인 무덕전(武德殿), 무덕전은 사비궁 중 서쪽에 위치한 서궁전의 중심건물이다. 무관도 덕을 행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업무를 보던 곳이다. 능사의 강당으로 불법을 설법했던 자효당(慈孝堂) 왕릉 주변에 세운 능사(陵寺)의 오층목탑, 능사는 목탑터에서 발견된 국보 제288호인 창왕명석조사리감의 명문을 통하여 567년에 성왕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
-
오랜만에 찾은 논산 관촉사(灌燭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5. 12. 7. 18:04
대광명전(大光明殿) 문짝에 새겨진 귀면상은 벽사의 상징이다. 인도 아잔타 석굴사원의 키르티무카 - 사악한 무리를 경계하는 벽사의 화신 정면의 얼굴에 실에 꿴 진주다발 같은 것을 입에 물고 있는 상으로 우리나라 사찰 귀면상의 원류이기도 하다. 대광명전(大光明殿) 문짝에 새겨진 연꽃 문양. 대광명전에 모셔진 삼존불. 대광명전.관촉사는 과거제도를 들여온 고려 광종(968년) 때의 스님인 혜명이 창건할 당시, 석조미륵상이 발하는 촛불같은 빛을 좇아 중국에서 명승 지안(智眼)스님이 와 예배했다고 하여 관촉사(灌燭寺)라 하였다.대광명전(大光明殿), 대광보전(大光寶殿), 대적광전(大寂光殿)은 모두 비로자나불을 모신 절이다. 한 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과 같은 공덕이 있다는 윤장대. 팔각형으로 된 책궤인데 밑에는 바..